•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기후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 문인숙;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33
    • /
    • 2021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의생활 실천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현상과 원인, 영향(환경적·경제적·사회적), 대응(완화·적응)'를 기후변화의 교육 내용 체계로 선정하고, 이를 가정 교과 의생활 단원의 분석 준거로 활용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6종을 자료유형(읽기 자료, 그림 자료, 활동 자료) 및 의복사용주기(생산, 구매, 사용, 폐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추출한 의생활 영역에서의 기후변화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수업 자료 및 매체를 활용하여 총 12차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가정 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기후변화의 현상과 원인, 영향, 대응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학생 스스로 깨닫고, 이를 의생활 행동 실천으로 이어 가정과 사회에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쾌적한 상태에서 계절별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불감증설과 온열 생리 요소들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Insensible Perspiration and Thermo Physiological Factors during Wearing Seasonal Clothing Ensembles in Comfort)

  • 이주영;최정화;박준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00-170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계절별 의복을 착용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불감체중손실과 온열 생리적 요소들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계절별 실내 환경이 인공기후실에 조성되었고 (봄/가을 환경 기온 평균 22.5, 여름 24.7, 겨울 16.8),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총 26 종의 계절별 한벌의복이 선정되었다(봄/가을 옷 8종, 여름 옷 7종, 겨울 옷 11종). 다섯 명의 젊은 여성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감체중손실(IL)은 봄/가을 의복을 착용한 경우 $19{\pm}5g{\cdot}m^{-2}{\cdot}hr$, 여름 옷 $21{\pm}5g{\cdot}m^{-2}{\cdot}hr$, 겨울 옷 $18{\pm}6g{\cdot}m^{-2}{\cdot}hr$으로, 겨울 환경보다 여름 환경에서 더 컸다(p<.001). 2) 호흡기를 통한 불감수분손실(IWR)은 불감체중손실과 반대의 경향을 보여 주어, 겨울옷을 입은 경우 $6{\pm}1g{\cdot}m^{-2}{\cdot}hr$, 여름 옷을 입은 경우 $5{\pm}1g{\cdot}m^{-2}{\cdot}hr$ 였다(p<.001). 3) 불감수분손실 (IW)에서 호흡기를 통한 불감수분손실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름 옷을 착용한 경우 평균 28%, 겨울 의복의 경우 38%였다(p<.001). 4) 쾌적한 상태에서, 산열량 중 불감수분손실이 차지하는 비율은 봄/가을 의복을 착용한 경우 25%, 여름옷의 경우 27%, 겨울옷의 경우 23%였다. 5) 불감체중손실과 의복의 보온력 간, 그리고 불감체중손실과 피복면적 간에는 모두 약한 역상관 관계가 관찰되었다. 6) 불감체중손실은 기온, 기습, 에너지 대사, 환기량, 평균피부온도, 의복내 습도 등의 요소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상관계수들은 모두 0.5 이하였다. 결론적으로, 불감체중손실과 온열 생리 요인들 간에는 약한 상관이 존재했으나, 피험자들이 온열 쾌적을 유지하는 경우 착용한 의복 종류 및 노출 기온에 상관없이 불감체중손실량은 좁은 범위를 유지했다.

남한의 겨울철 주.야간 체감 온도의 공간적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Winter Daytime and Nighttime Apparent Temperature in South Korea)

  • 최광용;강철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7-246
    • /
    • 2002
  • 본 연구는 최근 30년 (1971-2000) 최한월 (1월) 평균 기온 및 풍속, 일사량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겨울철 주.야간 바람냉각지수의 분포를 바탕으로 남한의 겨울철 생리 기후지역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 주.야간 바람냉각지수는 기온, 풍속, 일사량 등의 기후요소뿐 아니라 해발고도, 해륙풍, 지형, 해류 등의 기후인자의 영향을 받아 남한은 크게 5개의 생리기후지역으로 세분되었다: 주간 서늘-야간 추움 지역, 주간 쌀쌀-야간 추움 지역, 주간 쌀쌀-야간 매우추움 지역, 주.야간 모두 추움 지역, 주간 추움-야간 극도로 추움 지역, 특히, 남해안을 제외한 해안-도서지역은 계절풍 및 해륙풍의 영향으로 주간에는 싸늘함(Keen), 야간에는 매우 추움(Very Cold)의 체감도를 보였다. 또한, 해발고도가 높은 대관령 지역에서는 기온 감률 및 계절풍의 영향으로 주간에는 추움(Cold), 야간에는 극도로 추움(Extremely Cold)의 체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다양하게 나타나는 주야간 바람냉각지수의 분포를 바탕으로 남한의 겨울철 생리기후 지역을 구분함으로써 의복 및 건축 등의 단열에 관한 의사결정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쾌적한 군복 설계를 위한 의복기후 분포 (Distribution of clothing microclimate for making comfortable military uniform)

  • 김양원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1호
    • /
    • pp.231-247
    • /
    • 2003
  • To get the basic data for making comfortable military uniforms an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clothing microclimate, seasonal fluctuations of skin temperature, subjective sensation, and clothing microclimate were measured from 10 males. The subject were questioned on thermal comfort in experiment.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at breast, skin temperature at four sites (breast, upper arm, thigh, leg), deep body temperature at eardrum( tympanic temperature), and subjective sensation were measured for an hour in the controlled climatic chamber. The subjects felt comfortable when skin temperature were recorded $34.43^{\circ}C$ at breast, $33.53^{\circ}C$ at upper arm, $32.9^{\circ}C$ at thigh, and 32.50 at leg. Then mean skin temperature was $33.55\pm$$0.63^{\circ}C$.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ranged from 31.2 to $33.8^{\circ}C$, and clothing microclimate humidity ranged from 49.80~52.41%. In the comparison of these results with the microclimate of military uniforms, it needs more insulation in clothing for military uniforms. It also says that military uniforms should be made of the textiles which can control humidity.

  • PDF

벨벳과 안감의 소재 조합에 따른 의복의 열저항에 관한 연구 (Thermal Properties on combination of Velvet and Lining)

  • 계명대학교의류학과;이욱자;류덕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purpose of getting fundamental information requisite to wear velvet clothes that is more comfortable for the human body and also the environment. It was carried out in a human wearing test and thermal manikin test at the same time in a controlled-condition chamber.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had a ambient temperature of 15$\pm$0.5$^{\circ}C$ with the relative humidity at 5$^{\circ}C$$\pm$5% and with air velocity at less that than 0.2m/sec. Velvet differ from common plain weaves in thermal properties because it's constructed in two parts one is ground part and the other part is pile par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hermal resistance of velvet eight different combination of 4 velvet kinds and 2 lings kinds as experimental clothes. [(4 velvet kinds : Acetate cuprammoium Rayon Cotton Wool) (2 lining kinds : acetate viscose rayon)longrightarrow8 combination: Aa, Av, Ra, Rv, Ca, Cv, Wa, Wv: the simplified charac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For the regional thermal resistance the differences in eight clothes as well as differences in each part were significant. As a whole the breast part showed the highest thermal resistance and the leg part was higher than the shank part. The rank of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was put at Wa>Wv>Ca>Cv>Aa>Av>Ra>Rv in this order. 2. Considered clothing microclimate microclimate temperature has a similar tendency to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It showed a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s of eight clothes and each parts. the belly part was highest in every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for clothing humidity there was a significance between back and breast part only in the human wearing test. 3. It was indicated that CLO value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lothings' weight and showe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ir permeability.

  • PDF

한반도의 기후적 요인에 따른 한국 전통 특수의상연구 - 조선시대 기층민 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 홍보라;간호섭
    • 복식
    • /
    • 제66권3호
    • /
    • pp.107-12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functions in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the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y focused on clothes worn by common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Climate change has been a major global issue in recent times, and it has been a hot topic in social, cultural, scientific, economic, and industrial communitie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and finding ways to cope with unusual temperatures. This thesis studies the development of special costumes in preparation for unusual climates, and requirements of the costume in accordance with the climatic factor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Its biggest significance lies in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research data on special costume studies, and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which have been fairly insufficient up to this point. After the Little Ice Age, the Joseon Dynasty period faced poor external environment due to unusual temperatures. The results of studying the costumes of the commoners are as follows: The climate of the Korean peninsula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eason, so the form, material, and appearance of the seasonal clothing items showed clear differences, and the difference in the crops cultivated according to the climate led to difference in material and material preference shown in the costumes. This meant that costumes differed based on region. In addition, difference in social hierarchy, regulations on costume according to class, and farming oriented social background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slowed the development of costumes of commoners, but appear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pecial costumes. We anticipate more succeeding studies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and special costumes in the future. We hope more costumes that can wisely respond to the approaching changes in temperature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designed via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침상내 기후와 수면과의 관계 (Thermal Comfort and Sleep under Different Room Temperatures)

  • 이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1-36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수면환경의 열적 쾌적도의 측정방법으로서 생리적 반응 뿐만 아닌 국소자극의 반응에 대한 평가법 (Allesthesial Response)에 의 한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19세에서 22세의 건강한 독일 여자 대학생 5명이며, 실험은 12월과 1월 독일의 KASSEL에 있는 Marburg대학 연구소의 인공기후실에서 이루어졌다. 사용의복은 면 $100\%$의 잠옷이며, 침구는 메트리스와 Wool 담요(두께 180 mm)를 사용하였다. 국소자극 반응의 온도는 $20.0^{\circ}C,\;22.5^{\circ}C,\;25.0^{\circ}C,\;27.5^{\circ}C,\;30.0^{\circ}C,\;32.5^{\circ}C$의 set가 사용되었으며, 온도자극은 Pottier Thermode type PKE 36 HO2-1 (독일, Peltroil사)로서, 온도의 도달정 밀도는 60내지 90초 동안에 각 자극온도의 변화조절이 가능하였다. 수면환경 온도는 $15^{\circ}C,\;18^{\circ}C,\;21^{\circ}C,\;24^{\circ}C,\;27^{\circ}C$의 다섯 환경으로 조절하였으며, 습도는 RH $45\%$였다. 수면환경 $18^{\circ}C$에서 $24^{\circ}C$까지에서는, 수면전, 수면후 모두, 피험자는 약간의 Hypothermia의 경향을 보였지만 Neutral Situation과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면전과 수면후의 체온조절 반응의 차이가 Allesthesial Response와 국소의 쾌적한 온도 선택의 두 실험결과 모두에서 현저히 나타났다. 생리적 반응의 결과에서도 $18^{\circ}C$에서 $21^{\circ}C$까지의 수면환경이 가장 쾌적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결과에서 행동적 온도 조절 반응이 생리적 반응에 앞서 보다 민감하게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 PDF

쾌적한 의복기후를 위한 피복구성에 관한 연구 ( I ) -착의양과 한서감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lothing Composition to the Comfortable Clothing Climate; Clothing Weights and Thermal Sensation( I ))

  • 박우미;이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3
    • /
    • 1983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standard value of proper clothing weights in the change of thermal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lothing weight and thermal sensation have been collected from 160 college student in Seoul and Kwangju area in April, July, October. Results are as follows : 1. Subjects were in Comfortable condition, particularly in Spring and Autumn. But in summer they were in warm condition and the case were reversed in winter when they were under cool condition. 2. The frequency of comfortable thermal sensation were low below 16.5 degree, above 27.5 degree, and were high between 16.5 degree and 23 degree on room temperature. 3. Generally, the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clothing weights and thermal sensation. 4. Clothing weights and thermal comfort were as follows. Season : Spring, Autumn, Room Temperature(${\circ}C$) : 16.3$\~$23, Clothing Weights($g/m^2$) : 589.9$\~$750.6, Season : Summer Room Temperature(${\circ}C$) : 27$\~$32, Clothing Weights($g/m^2$) : 362.4$\~$432.5, Season : Winter, Room Temperature(${\circ}C$) : 12.5$\~$19.3, Clothing Weights($g/m^2$) : 913.7$\~$1206.2

  • PDF

미나리 작업자를 위한 작업복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the protective clothing for a dropworts cropping workers)

  • 최정화;백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266-1275
    • /
    • 2000
  •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a dropworts working environment and to develope the clothing to reduce the work road. The actual conditions of working environment, working position and clothing were survey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chamber and in the field. In the chamber, rectal temperature, 11 points skin temperatures(forehead, chest, abdomen, upperarm, forearm, dorsum manus, palm, thigh, calf, dorsum pedis and pelma), heart rates, microclimates inside clothing on the chest and subjective sensations were measured for comparing between 2 different types o garments. In the field, rectal temperature, abodomen skin temperature, 3 points microclimates inside clothing(chest, back and thigh), heart rates, the volume of EMG and subjective sensation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tal temperature between a old type protective clothing and a new type both in the chamber and the field. 2. Subjects wearing a old type clothing responded \"a little cold\", \"a little uncomfortable\" and subjects wearing a new type protective clothing responded \"normal\", \"comfortable\" both in the chamber and the field. 3. In the field test results, abodemen skin temperature in a old type clothing was higher and microtemperatures inside clothing of chest, back and thigh in a new type protective clothing were higher. 4. The volume of EMG was lower in the new type protective clothing than in the old one.protective clothing than in the old one.

  • PDF

북한의 1월.8월 인체보온지수 분포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January and August Clo-Unit Distribution in North Korea)

  • 강철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57
    • /
    • 2004
  • 1월의 clo 값은 대체로 삼지연 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장전 일대의 동해안 지역이 가장 낮게 나타난다. 또한 해안 지역보다 내륙 지역이, 동해안보다 서해안이 clo 값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지형적 영향과 기온과 풍속의 지역적 차이에 기인한다. 8월에도 삼지연, 해산 일대, 개마고원 등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형적 영향으로 기온 저하와 풍속의 증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특히 8월에는 삼지연을 중심으로 북동-남서 내륙지역으로 등치선이 만곡하고, 이 축을 중심으로 한 이외의 지역이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위도, 지형 및 장마 이후의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과 강한 일사에 의한 지면 복사열의 방출에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