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평가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3초

소비자에 기초한 의복디자인의 구성요소와 평가기준 -F/W 겉옷을 중심으로- (Consumer-based Apparel Design Elements and Evaluation Criteria -Focus on F/W Outer-)

  • 이지현;김선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015-1027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consumer-based apparel design elements and evaluation criteria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pparel desig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consumer consumption and attitude;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examined them.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cues for an apparel industry suffering from dramatically fluid market situations. Based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researchers establish three categories (basic elements, elements generated by apparel, and elements experienced by consumer) of apparel design elements that are consistent with nine elements (shape, materials, color, pattern, detail, subsidiary materials, overall image & style, fit, and overall balance). The results provide 137 types of conceptualized apparel design evaluation criteria. They developed 56 initial themes, 23 evolved themes, 23 sub categories, and 12 kinds of theme categories with abstract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explicates the critical role that consumer-based apparel design is the competitive advantage within the apparel industry.

의복의 기능성 측정을 위한 관절각도법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Range-of-motion test methods for measuring Clothing Mobility)

  • Kim, Young-H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74-138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의 기능성 측정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관절각도측정의 방법들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개발, 이를 기존의 방법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의복의 기능성 측정 및 기능적 디자인 개발에 기여함에 있다. 미국 Kansas 지역의 전문 소방수를 대상으로, 선택된 10가지 실험동작에서의 관절각(range-of-motion)을 computer-aided method, Leighton flexometer, goni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순서는 무작위 순서(random order)로 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3종류의 측정방법(computer-aided method, flexometer, goniometer)이며, 종속변인으로는 선택된 동작에서의 관절각(range-of-motion)이다. 또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측정한 통계처리결과, 각 측정방법들 간에 긍정적이며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관점의 의복 디자인 평가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대 의류-패션 디자인 전공 여대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Apparel Design Evaluation Criteria with Consumers' Perspectives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arel-Fashion Design in their 20s-)

  • 김선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84-404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apparel design evaluation criteria and the details of each criterion by exploring how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arel design in their 20s evaluate apparel design based on an exploratory approach.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ategorization method of qualitative data after collecting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identified the six evaluation criteria of apparel design (functional usefulness, convenience, aesthetics, psychological self suitability, social activity usefulness, and fashion trend). Functional usefulness and convenience assessed the extent to which primary features of apparel are reflected in apparel design, and aesthetics evaluated the aesthetic beauty of apparel design. Psychological self suitability estimated the extent to which apparel design expressed psychological self properly, and social activity usefulness appraised the extent to which apparel design contributed to the social activities of wearers. Last, fashion trend assessed the extent to which apparel design reflected fashion trend. The study result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wards an apparel industry that wants to develop apparel design that appeals to consumers,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im to cultivate well-trained professionals in the apparel industry, and consumers who want to purchase clothes of satisfactory design.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A Study on Clothing Image Evalua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elf-Image Classification of the Middle-Aged Women)

  • 심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608-1617
    • /
    • 2006
  •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fashion, it is important for consumers to find out under what kinds of reasons consumers choose and prefer the clothing products as consumers are interested in clothing and have variety of their styles to choose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elf-image of the middle-aged wome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also to inquire into the evaluation of clothing by each group. Data a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4 to October 31, 2005 from 350 middle-aged women in Daegu; 275 a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analysis is performed using SPSS Package, which included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self-image, the five factors which are intelligent image, social image, fashionable image, female image, bold image are extracted. Beside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three types which are female-type, neuter-type, male-type are classified. 2. The middle-aged women regard the classic style as their best style for outgoing and then they like the casual style, elegant style, dramatic style in order. 3.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clothing image, the four factors which are dignity, attraction, simplicity activity are extracted. 4. According to self-image types, there are differences for clothing image and preferring clothing styles. While female-type groups choose the elegant style, neuter-type groups regard the classic style as their best style and male-type groups regard the casual style as their best style. In case of daring style, the preference shows the lowest among all the types unrelated to self-image types.

작업부하에대한 심리/환경적 영향 평가기법 개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박창순;조영진;김정룡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4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작업자 개인이 느끼는 심리/환경적 부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척도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들이 간단한 기구와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은 기존 연구와 현장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도가 높다고 인정되는 심리부하 측정 요소를 결정하였고, 문헌과 모의 검사를 통하여 부 담감이나 편의(bias)를 줄일 수 있도록 문항수 및 어휘를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설문은 다양한 문체 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형태를 선정하였다. 환경적 작업부하 측정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요소를 결덩하였고, KS 규격을 기존으로 새로운 환경부하 측정 지침서를 개발하였고, 현장 예비조사가 실시되었다. 또한, 환경부하 측정결과를 지수화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과, 심리적척도와의 통합을 위 한 수리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문 문항과 환경조사방법은 작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 제로 그 효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제까지 소홀히 여겨왔던 작업자의 심리적/환경적 부 하를 정량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정량화한 심리/환경 부하 척도는 이제 까지 주로 조사되었던 생체역학적/생리적 부담도와 더불어 종합적인 작업부하 평가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척도에 의한 결과는 현장 근로자들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하여 노/사/ 정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방차원의 안전관리에도 응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 PDF

의복과 그 직물에 대한 평가의 재현성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ability in ratings for clothing and their woven fabrics)

  • 유경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60-568
    • /
    • 2001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easure intra-individual consistency in clothing and fabric evaluation and to examine its relation to the ratings. A sample of 93 female and 97 male university students rated clothing of 4 styles of daytime wear and 2 fabrics on 15 pairs of polar adjectives twice in 7-days interval.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two ratings for each subject, intra-individual consistency in the evaluation, ranged from -0.12 to 0.89 and mean coefficient was 0.63 of female and -0.01 to 0.78 and mean coefficient was 0.54 of male. Based on the coefficien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 medium, and low intra-individual consistency. Analysis of variance of mean ratings by the three group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24% of female and 23% of male in 90 combinations of 6 clothing and 15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Female of subjects with high intra-individual consistency were most likely definite to evaluate clothing, whereas the ones with low were least. But male subjects were not definit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style evaluation subscales of female was 0.39, but male was 0.44. Amo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high stability in the two ratings was observed for the synthetic clothing evalu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clothing obtained from the mean score of the subjects in each semantics differential scale were around 0.98, including that the mean scores of the subjects in each scale could yield excellent stability in clothing eval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