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평가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ender Differences of Mail-Catalog Shoppers in Shopper Tendencies, Patronage Motive Strength, and Patronage Behaviors (카탈로그 구매자들의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에 관한 성별 차이 연구)

  • Yoh, E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551-15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카탈로그 구매자들이 의복쇼핑과 관련한 변인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총 207명의 의류카탈로그 소비자들을 남성그룹 (N=97)과 여성그룹 (N=110)으로 나누어 카탈로그 의복쇼핑과 관련하여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을 비교하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유희적, 가격 중시, 편리성 중시 구매자 성 향을 높게 보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남성 에 비해 카탈로그 쇼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더 높게 나타내었고, 특히 편리성, 용이성, 유희성, 안전성, 경제성 면에서 더 높게 평가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유일한 항목은 카탈로그의 브랜드 구색이었다. 이처럼 카탈로그 의복쇼핑의 만족도에 관한 성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카탈로그를 통한 의복쇼핑 행동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의류 카탈로그 업체를 위한 마케팅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 PDF

중년남성 수트디자인에 따른 연상디자인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 박순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6-4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20∼5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중년 남성의 의복디자인에 따른 시각효과를 연상디자인적인 면에서 고찰하여 중년남성의 체형에 가장 적합한 의복디자인을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중년남성의 체형을 균형화 시키는 연상디자인 시각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신사복 정장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년남성이 외출복으로 착용하는 정장스타일의 수트를 선정하여 의복디자인의 형태구성요인이 다르게 조합된 연상디자인 시각효과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체형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의복의 형태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사회적 상황에서 중년남성들이 표출하고 싶은 시각적 느낌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체형에 대해서 적절하며 또한 효과적인 의복디자인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이와 관련된 소재에 따른 시각적 평가가 다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어 소재별 시각효과, 여밈 및 단추 수의 변화, 체형에 따른 시각효과의 차이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Clothing Pressure Evaluation of Girdle and Waist Nipper and Related Wearing Conditions (거들 및 웨이스트니퍼 착용에 의한 의복압 평가 및 관련된 착용변인)

  • Lee, Heeran;Hong, Kyunghi;Kim, Yang Weon;Park, Se Ji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1
    • /
    • pp.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dequate clothing pressure of upper and lower body foundation garment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those compressive foundation depending on various wearing conditions. Eighteen women in their 30s and 40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for this study to evaluate the level of clothing pressure of girdle and waist nippe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wearing habits of foundation, one is the group of wearing foundation garment 'tightly' and the other is 'loosel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earing foundation garment 'loosely' was much more sensitive than the group of 'tightly' in everyday life. The adequate pressure of upper foundation, waist nipper was about $1.5{\pm}0.8$ kPa which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er body foundation, girdle.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level was higher when subjects are wearing waist nipper compared with wearing girdle. Therefore, precise pattern making process is necessary to meet the adequate level of pressure of the upper body foundation such as waist nipper, specially for those who used to wear clothing loosely.

  • PDF

Development of "ZIGTECHnology" Apparel for Body Shape Renovation of New Senior Life Generation

  • Cha, Su-J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1
    • /
    • pp.157-166
    • /
    • 2020
  • In this study, I tried to develop ZIGTECHnology clothing for renovation that can correct the body shape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aging and delay the change of body shape. Develop and suggest corrective clothing for elderly women with easy movement that can alleviate symptoms and delay changes in body shape by analyzing body types for each symptom, such as bending of shoulders, back and waist caused by aging and diseases such as spinal curvature. As a result of the wear evaluation of the developed ZIGTECHnology clothing designs 1, 2, and 3, in terms of functionality, Design 1 was evaluated as excellent by reducing the back angle by 3.17°, but design 3 was evaluated as the most excellent considering the fit. In the clothing of elderly women, the need for clothing that complements physical shortcomings increases, so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development of body shape relief devices should be made.

The Effect of Evaluation for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on Their Appearance - according to clothing attitude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가 여교사의 외모관리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미치는 효과)

  • Yoo, Kyung-Ok;Chung, Myung-Sun;Wee, Eun-Hah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9 no.3
    • /
    • pp.133-14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a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based on appearance according to the clothing attitude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evaluation can be broken down into four ability areas: leaning guidance, living guidance, human relations, and learning management. Likewise the clothing attitude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lothing oriented group, the trend-individuality group, and the chastity oriented group. The trend-individuality group of students felt that female teachers' appearanc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guidance and human relations ability while parents thought that there was little relationship or that it has a moderate effect on the role of learning guidance. Because the concerns of students and parents about female teachers' clothing has an effect on female teachers' role performance evaluation, when directing a student group with a high concern for clothing, female teachers need to be sensitive about their appearances and it's affect on learning guidance, human relations, and class 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students and parents felt that female teachers' appearances have an effect on their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clothing attitudes.

  • PDF

Study on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 According to the use of Internet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구매 평가기준, 정보원에 대한 연구)

  • Jang Nam-Kyung;Ko Eun-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4 no.7
    • /
    • pp.15-26
    • /
    • 2004
  • The internet is one of the modern facilities that has been diffused very rapidly in recent years and tremendously influenced on our life. Although the adolescents are major users of internet, the literature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has not addr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use and cloth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 according to the use of internet.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Duncan 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convenience sample of 57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Korea. The use of internet was partial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s.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frequency and purpose of fashion website tended to be related more than the amount and purpose of internet did. Marketing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re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Multi-channel Temp & Humi Distribution Tester (다채널 온습도 측정기 개발)

  • 김성환;지용주;이성수;김태훈;김묘향;한화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11-215
    • /
    • 2001
  • 실내나 의복내 열적쾌적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빠른 응답특성을 갖는 센서와 측정시스템이 필요하다. 더욱이 의복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소형, 경량으로 인체에 부착하기 쉬워야하며 측정기의 부착이 피험자에게 부담을 주어서는 안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이 자유롭고 장시간 측정이 가능한 큰 Data 저장용량, 실시간 측정 기능, 손쉬운 온습도 변환장치등을 갖춘 의복내 및 실내 온습도 측정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온습도 측정기와 이에 필요한 센서를 개발하고 개발된 측정기의 선형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for Smart Battlefield Jacket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평가 기술 개발)

  • Park, Seon-Hyung;Lee, Joo-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51-52
    • /
    • 2007
  • 미래의 '정보전장'에서는 모든 전투 개체가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게 되며, 병사 또한 하나의 체계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가 내장된 스마트 전투복을 입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선진국들은 여러 해 전부터 스마트 전투복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병사 구성품과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복 내에 포함시켜 설계함에 있어서 병사의 동작과 체형에 적합한 설계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을 착용한 후 그 사용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병사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내장한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스마트의류의 사용성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전투복 프로토타입의 사용하여 사용성평가의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고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 평가 척도와 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Stor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and Purchasing Behavior for Casual Wear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중국 대학생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점포 평가 기준, 의복 평가 기준 및 캐쥬얼 의류 구매 행동)

  • Chang, Soo-Kyung;Ok, Keum-He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5 no.1 s.66
    • /
    • pp.98-11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tor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and purchasing behavior for casual wear among groups with different types of shopping orien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75 female and 169 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Beijing, and analys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VA, Duncan 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Chinese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shopping orientations; fashion-pursuit type, individuality-pursuit type, practical type, and apathetic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or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ashion-pursuit type and individuality-pursuit type were more influenced by store location and service, product attributes, and fashion. They purchased more frequently and spent more money. Esthetic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by the individuality-pursuit type than the others, and symbolic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by the fashion-pursuit type.

  • PDF

Optimal Slit Length Limit of Tight Skirts in Movement and Physiological Response (동작에 따른 타이트 스커트 최소 적정 트임량과 생리적인 반응)

  • Kim, Hee-Eun;Lee, Jung-Su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90-1396
    • /
    • 2003
  • 본 연구는 타이트 스커트의 트임의 개수가 왼쪽 옆선에 1개 있을 때와 왼쪽 옆선, 오른쪽 옆선에 각각 1개씩 모두 2개 있을 때 평지 보행, 계단 승강, 버스 승강 등과 같은 일상동작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타이트 스커트의 적정 트임 길이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아울러 각 동작시의 트임 길이에 따른 생리적인 반응을 의복압, 산소 섭취량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평균보폭은 4m 구간을 평상시대로 걸을 때의 발자국간 평균거리를 이용하였으며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1997)에 의한 평균체형을 가진 9명의 피험자를 정하였다. 스커트의 형태는 무릎길이인 타이트 스커트로 정하였다. 스커트의 트임은 왼쪽 옆선에 1개 있는 경우와 왼쪽 옆선, 오른쪽 옆선에 각각 1개씩 있는 경우의 2종류이다. 트임이 1개인 스커트는 2cm 간격으로, 트임이 2개인 스커트는 1cm 간격으로 트임 위치를 표시하여 길이를 조정하였다. 적정 트임 길이는 Likert 척도에 의한 만족도 평가로 측정하였으며 의복압은 air-bag system으로, 산소 섭취량은 Quark $B^2$ 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커트의 최소 적정 트임 길이는 트임 1개일 때 평지 보행시 4cm, 계단 승강시 12cm ,버스 승강시 18cm이며, 트임 2개일 때 평지 보행시 2cm, 계단 승강시 8cm, 버스 승강시 15cm로 나타났다. 2. 의복압의 경우, 동일 트임 길이에서 트임 1개의 의복압이 트임 2개의 의복압보다 높았지만 트임 개수에 따른 전체 트임 길이로 보면 트임 1개의 의복압이 트임 2개의 의복압 보다 낮게 나타났다. 동작별로는 버스 승강의 의복압이 가장 높고 계단 승강, 평지 보행 순으로 낮아졌다. 3. 산소 섭취량의 경우, 동일 트임 길이에서 트임 1개와 트임 2개의 산소 섭취량은 거의 비슷하였다. 트임 개수에 따른 전체 트임 길이로 보면 트임 1개의 산소 섭취량이 트임 2개의 산소 섭취량보다 낮게 나타났다. 동작별로는 버스 승강의 산소 섭취량이 가장 높고 계단 승강, 평지 보행 순으로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