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패턴설계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초

가상 의복 제작 프로세스 활성화를 위한 드레스의 모델링과 정밀 패턴의 설계 및 검증 (3D dress modeling and Its 2D pattern development to activate the use of 3D virtual design process)

  • 이지영;홍경희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39-48
    • /
    • 2011
  • 3D스캔-인체 및 의복 모델링-시뮬레이션-패턴 제작 및 검증의 전체 3D 의복제작 프로세스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3D 그래픽과 CAD 시스템 그리고 3D-2D 직접 패턴 전개 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는 데 이 때 장애가 되는 것은 3D 시뮬레이션한 가상의복으로부터 정확한 패턴을 추출하는 것이 어렵고, 전반적 과정의 호환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정확히 밀착된 부분과 드레이프가 있는 비대칭형 드레스를 대상으로 전체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3D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Maya로 범용성 3D 인체 모델을 만들고 이 3D 바디 모델에 맞는 3D 드레스를 디자인하고 모델링한 후, Rapidform, 2C-AN 프로그램과 YukaCAD를 이용하여 정확한 2D 패턴을 제작하는 과정의 호환성을 해결하며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한 패턴을 실제 의상으로 제작하여 착의 시킨 후 3D 의복 모델과의 여유분 분포를 3차원 측정 기술로 검증하였고 실물 드레스의 드레이프의 모양과 시뮬레이트된 드레스의 모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면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게 정량적인 3D 의복 제작 프로세스를 운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의복용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위한 평면형 직물공진기의 설계 및 연구 (Analysis and Design of Planar Textile Resonator for Wearable Magnetic Resonance-Wireless Power Transfer)

  • 강석현;정창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8호
    • /
    • pp.119-12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의복용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평면형 직물공진기를 제안하고, 공진기에 사용된 의복용 직물기판의 재질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평면형 직물공진기는 공진주파수가 1-10 MHz가 되도록 직물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로 루프 및 코일을 평면 설계하였다. 의복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면을 직물기판으로 사용하였으며, 평면 루프와 코일은 동테이프(copper tape)와 실버페이스트(silver paste)로 설계하였다.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적용된 직물의 재질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를 대칭으로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낮은 유전상수 및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진 직물기판과 표면저항이 작은 도체성 재질의 패턴(루프 및 코일)으로 제작되었을 때, 의복용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이 높은 전송효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평면형 직물 공진기는 무선전력전송 기술의 영역을 의복용으로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계층적 공간 분할 방법을 이용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loth Simulation System based on Hierarchical Space Subdivision Method)

  • 김주리;조진애;정석태;이용주;정성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9-116
    • /
    • 2004
  • 본 논문은 여러 옷감 조각들을 이용하여 가상의 3차원 인체 모델에 옷을 입히기 위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의복은 서로 꿰매지는 2차원 재단 패턴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3차원 인체 모델 파일과 2차원 재단 패턴 파일을 읽어 들인 다음에 질량-스프링 모델에 기반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의복을 착용한 3D모델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의복을 구성하는 삼각형 사이의 충돌을 검사하고 반응 처리를 수행하였다. 인체를 구성하는 삼각형의 수가 매우 많으므로, 이러한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 수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실적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었고 수초 이내에 가상 인체 모델에 의복을 입힐 수 있었다.

  • PDF

복부비만 노년 여성의 의복패턴설계를 위한 체형연구 (An Analysis of Body Shapes in Aged Abdominal Obese Women for Apparel Pattern Design)

  • 김수아;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690-1696
    • /
    • 2006
  • 본 연구는 복부가 비만한 노년 여성의 의복의 패턴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들의 체형특성을 분석하고 일반 노년 여성과의 상반신 및 하반신 체형특성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0세 이상 서울 및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노년 여성 318명-복부비만 251명, 일반인 67명-이며 직접측정을 실시하였다. 복부비만의 기준은 허리엉덩이둘레비(WHR)가 0.85 이상인 피험자로 하였다. 높이항목, 두께항목, 너비항목, 길이항목 및 몸무게로 구성된 총 33개 측정치 및 측정치를 토대로 한 계산치 및 지수치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T검정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복부돌출요인에 따라 의복구성에 고려해야 할 체형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일반 노년 여성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복부비만 노인은 일반 노인보다 높이항목과 어깨너비 등 어깨관련항목을 제외한 두께, 둘레, 길이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로러지수와 버벡지수, 체간부의 편평률에서도 유의차를 보여 전체적 인 비만도가 높으며 체간부 형태가 원통형을 나타낸다. 또한 복부비만 노년 여성의 경우 상관관계 분석결과 엉덩이둘레보다 배둘레나 엉덩이외포둘레가 패턴 설계에 필요한 주요 항목들과 더 높은 선형적 상관성을 보이므로 패턴의 기준항목 설정시 이를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The Standardization of Graded Sizes through Comparing Bodice Patterns by Draping Method and Studied Flat Pattern Method -Using Replica Body-

  • 심규남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99-403
    • /
    • 2004
  • 대학에서 의류학과 교육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하나 의복구성은 의복제작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의복디자인분야 부터 품질관리에 이르기까지 기본과목으로 되어있다. 의복제작은 인체의 이해에 따른 기본원형의 설계로 시작된다. 기본원형은 활용이 다양하여 모든 종목의 의복 패턴 제작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각 인체 치수에 맞는 사이즈를 등급화하여 초보자라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기본원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초반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입체재단 방법에 의한 기본원형을 제작하여 등급별로 표준화된 치수를 산출하고 연구된 평면재단 방법에 의한 길의 기본원형을 비교 검정하여 적합성을 비교하였다. 석고법에 의하여 제작된 인체모형에서 드레이핑된 기본원형과 연구된 평면재단 방법에 의한 기본원형을 비교 검정한 결과 5단계로 치수를 등급화 하였다. 착장평가 결과 다양한 체형에 만족힌 결과를 얻어 의복구성을 시작하는 초보자들에게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체형별 남성상의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Basic Bodice Patterns According to Somatotypes)

  • Kim, Jinsun;Lee, Wonj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54-176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적합성과 기능성이 고려된 체형별 남성 상의 원형 패턴을 개발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인체계측자료와 측면체형 사진에 의해 선정하고, 체형은 굴신체형, 표준체형, 반신체형으로 분류하였다. 체형별 실험 원형 패턴의 평가를 위하여 기존원형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의평가 결과 표준체형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적합하였으나, 굴신체형과 반신체형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앞길이와 등길이 뿐만 아니라 여유량과 윗 가슴둘레에 서 나타난다. 앞품과 뒤품은 외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증가된 옆품은 앞품과 뒤품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실험패턴은 기존패턴보다 각 체형에 더욱 적합하며, 체형 적합성과 동작기능성이 고려된 의복 제작을 위한 패턴설계는 인체의 구조와 동작연구에 의해 가능하였다. 2. 기본원형 패턴 설계를 위한 필요치수는 목뒤높이, 등길이, 앞길이, 윗 가슴둘레, 앞품과 뒤품이며, 체형분류의 기준은 윗 가슴둘레, 앞품, 뒤품, 앞길이, 등길이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가슴둘레 선은 [(B/2+B/10), 뒤진동깊이는 [(B/10+목뒤높이/10)]로 설정하고, 앞내림은 1.5cm로 하였다.

  • PDF

A Study on Men's Classic Shirts Patterns -Focusing on the Textbook of Clothing Constructio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19-1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남성복 의복구성 교재를 중심으로 클래식 셔츠의 패턴 설계 방법을 비교하였다. 3D 가상착의 평가를 실시하여 20대 남성에게 적합한 셔츠 패턴제도법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패턴제도법에 따라 적용치수에 차이가 있으며, 지정된 치수를 적용하는 부위도 많았다. 셔츠 패턴의 앞뒤가슴둘레, 앞뒤허리둘레는 대부분 같게 설정되었으나 가슴둘레와 허리둘레에 앞뒤 차가 있는 경우에 맞음새가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상착의를 통한 외관평가, 색분포도 및 mesh 상태를 통한 의복압 등의 항목에서 B패턴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B패턴이 20대 남성에게 가장 적합한 제도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제7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 보고서의 20대 평균 치수를 적용한 것이므로 이를 20대 전체에 적용하는 데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실제 착용감 연구와 다양한 20대의 체형과 소재에 따른 패턴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의류 생산설계 업무의 디지털화에 과한 연구 - 여성 자켓 디자인 및 패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apparel design process)

  • 송지영;천종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63
    • /
    • 2001
  • 본 논문의 국내 패션 업체에서 상품기획 과정 중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했던 디자인 및 패턴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key word를 통해 효율적으로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여성 자켓 분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류업체 종사자 48명과 의류학 전공 대학원생 54명, 패턴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디자인 및 패턴의 분류 기준과 의류 생산기획 업무의 디지털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의류업체에서는 상품기획시 국외패션잡지와 collection지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디자인 및 패턴 DB 프로그램에 대한 효용성 기대와 수용도 기대에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자켓 디자인 DB를 위한 구성요소 분류 기준은 7가지고 선정되었고, 이미지 형용사 분류 기준은 6가지로 선정되었다. 또한 자켓 제작을 위한 block pattern 분류 기준은 4가지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켓 디자인 선택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한 후 실험 참가자들에게 효용성 및 사용가능성을 다시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제시 전 조사결과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자료 활용시 이미지 형용사를 통한 검색보다는 구성요소를 통한 검색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의복패턴을 위한 2.5D 맵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2.5D Mapping System for Cloth Pattern)

  • 김주리;정석태;정성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11-619
    • /
    • 2008
  • 본 논문에서 구현한 2.5D 맵핑(mapping) 시스템은 다양한 질감과 패턴에 따른 패션 의상의 모델 사진 이미지를 그대로 살려 외각선 영역 위에 드레이핑(draping)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고, 직접 샘플이나 시제품을 제작하지 않고도 시뮬레이션만으로 의상 작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원단 디자인과 최종 제품의 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원단과 모델 사진 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쉽고 빠르게 드레이핑함으로써 패션 업계의 경쟁력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2.5D 맵핑 시스템은 보다 자연스러운 드레이핑을 위하여 메쉬 워프 알고리즘 모듈, 명암 추출과 적용 모듈, 맵핑 영역 추출 모듈, 메쉬 생성과 변형 모듈, 2.5D 맵핑 모듈로 구성하여 구현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는 2.5D 맵핑 시스템의 구현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3D 의복 기술과 3D 인체 구현 기술을 접목한 3D 패션 디자인 시스템을 연구하여 2.5D 맵핑 기술의 표현 한계를 극복할 계획이다.

의복원형설계 관련 연구의 동향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원형설계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Development of Basic Patterns of Clothing -Focus on Research Reported in Korean Journals-)

  • 오송윤;최혜선;김은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96-161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udies of development of apparel basic pattern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the trends in related studies. It also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theses of domestic journals of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KSI) which were published until December 31, 2009 and retrieved by a keyword related to the design of basic apparel patterns. The data was classified by the journals,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theme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They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overall distribu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by time. The number of theses for the analysis was 73 published in 11 Journals total. Reviewing the theses by dividing the times into 7 Chronicles of 5 years in each term since the first thesis was published in 1968, it was found that more active research had been done as time went by. The theme of the theses in most cases was the composition of western apparel. As for items, most cases were on the study of bodice torso basic patterns. Since the period of 5-6 Chronicles, studies in the pattern of underwear, jacket, shirts blouse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of patterns using elastic materials are increasing as well. Women were dominant in the studies as subjects and so were young people of both sexes. Unlike the studies in earlier times that focused on the average figure, studies on developing patterns for various figure types have been made since the 5-6 Chronicles. However, there were limited studies on the figures of infants, male youth, seniors, and obese males.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re were common processes for validity testing of patterns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human figure, survey of customers and companies, designing pilot patterns, and wearing trials. The studies showed characteristic the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