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치수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의복구성을 위한 인체측정항목(직접계측방법)에 관한 연구

  • 천종숙;정승현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36
    • /
    • 2003
  • 인체치수 및 기능에 관한 정보는 인간의 생활에서 사용하는 의복이나 가구, 생활용품의 설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이다. 인간공학과 의류학 및 인체 측정과 관련된 학문 분야에서는 인체치수와 인체의 활동 기능에 대한 연구, 인체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인간의 체격이나 체형에 적합한 제품의 디자인을 위해서는 인체치수의 정보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중략)

  • PDF

The Standardization of Graded Sizes through Comparing Bodice Patterns by Draping Method and Studied Flat Pattern Method -Using Replica Body-

  • Shim, Kue-Nam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6 no.3
    • /
    • pp.399-403
    • /
    • 2004
  • Education of clothing and textiles in the university is various according to the purposes. Among that clothing construction and practice is what is needed the most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apparel producing, and is the basic subject of areas from apparel designs to quality management. Producing apparel starts from planning the bodice pattern according to the human body shape. Basic bodice pattern should be highly practical so that production of all items of apparel patterns can be possible. Also, a basic bodice pattern needs to be planned in the way that even beginners can use it by classifying sizes according to each body measurements. Thus in this study. bodice patterns will be produced in way of draping method subjecting university students in early 20s. standardized and classified sizes will be calculated from it and bodice pattern made by studied flat pattern method will be examined and compared so that finally suitability will be compared. As a result of examining and comparing bodice patterns made by draping method and studied flat pattern method on the model of the human body produced by plaster method, sizes were classified into 5 levels.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creation. satisfying consequence from various body shape was acquired and it is expected of the beginners who are stating from clothing construction and practice to be educated by u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Development of Custom-made Suit Production System for the Interactive Garment Design Creation (대화식 의복 디자인 생성을 위한 맞춤양복제작 시스템 개발)

  • Kim, Kwang-Tae;Kim, Ki-Hyun;Park, Hyun-Woo;Lee, Dong-Hoon;Yun, Tae-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475-480
    • /
    • 2008
  • In this paper, I will propose a Custom-made Suit Production System. The system does not only help the customers to edit and measure their size by creating the landmarks in the 2D human body images which is taken from the camera, but it also visualizes the virtual cloth by using the landmarks and the modeling data of the virtual cloth. In this system is a new technology for the digital and the automation which is not handmade way of using Custom-made Suit industry. It will be generally useful in the various contents of the clothing industry.

  • PDF

The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Apparel Color Preference by Influential Factors -Focusing on fashion involvement, age, body size and body-cathexis (영향 변인에 따른 색채 선호도와 의복색 소유도의 차이 -유행 몰입도, 연령, 신체 치수 및 신체 만족도를 중심으로-)

  • 이명희;김미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2
    • /
    • pp.188-199
    • /
    • 2003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general & apparel) color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apparel color preference(POA) by influential factors(fashion involvement, age, body-size and body- cathexis). We collected data from 303 females in the ages of 20's and 40's living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fashion involvement was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coordinating fashion involvement, opinion-leading fashion involvement, and innovating fashion involve 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involvement groups in the color preference and POA.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s and POA by ages and body-size were found. But in the analysis based on body-cathexis, no noticeable variance between different groups were found.

Body Shape Change with Aging -Focused on Elderly Males-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3-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이즈코리아에서 2015년 이루어진 제7차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중 60대 남성의 치수와 2014년에 이루어진 고령자인체치수조사 데이터의 70대와 80대 남성의 치수를 분석하여 신체적인 노화가 주로 나타나는 연령 구간과 노화에 따른 노년 남성 체형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년 남성의 경우 대체로 66-68세 사이와 75-77세 사이 그리고 84-85세 사이에 급격한 노화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60대와 70대에는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다가 대체로 80대에 들어서면서 노화가 심화되어 신체적으로 체형의 변화가 급격히 나타나게 된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의 현상으로 신체의 둘레, 너비, 높이 등에서는 변화가 심화되나 둘레, 너비, 높이에 비해 두께의 경우에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노년 여성의 경우에는 등이 굽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노년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과는 반대로 뒤로 젖혀진 체형이 나타나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복패턴 제작 시 앞중심길이와 등길이 설정에 있어서 노년 여성과는 반대로 등 길이를 짧게 하는 패턴상의 수정이 요구된다.

  • PDF

Effects of BMI, Fitting size,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Body Management (BMI, 의복치수,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신체관리에 미치는 영향)

  • Jun, Daegeun;Park, Sungmi;Park, Soonjee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9 no.6
    • /
    • pp.795-803
    • /
    • 2017
  • This research aim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physical features such as BMI, garment size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body man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for women in their 40's and 50'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197 women recruited in Daegu and the surrounding area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actor analysis, ANOVA, cluster analysis and regression was done using SPSS 23.0 to analyze the results. Among 3 clusters divided by BMI, normal group showed higher body cathexis compared with overweight group and obesity group. S-size group showed higher body cathexis rather than M, L-size groups. L-size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nonsurgical body management factor. Self-esteem(+)/depression(-) group showed highest body cathexis among 4 groups clustered by self-esteem and depression levels. On the other hand, self-esteem(-)/depression(+) group showed the lowest body cathexis and highest surgical body management and nonsurgical body management factors. This result meant that the lower in self-esteem and the higher in depression, body cathexis decreased and desire for body management increas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BMI, garment size, self-esteem, depression level on body management, depression was a significant factor on surgical body management; depression and garment size were critical factors on nonsurgical body management.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Clothing Construction in Korea - Focused o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01 through 2010 - (한국 의복구성학 분야의 연구동향 - 2001~2010년까지 학회지를 중심으로 -)

  • Choi, Hae-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63 no.3
    • /
    • pp.138-15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subject matter in clothing construction field in clothing and textiles and to suggest the inform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s for fashion business and research. 2737 articles with clothing and textiles subject matter, 350 articles with clothing construction fiel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rom 2001 through 2010 were analyz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lothing construction field took 12.8% with 350 articles in the researches of the Journal Publications in 2000s. 2. Clothing construction field showed more proport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decade. 3. Clothing construction field were classified into 5 topics : topic of basic pattern and pattern for apparel, topic of body types, topic of functionality of clothing and protective clothing, topic of size system of apparel, topic of sew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4. In clothing construction field, topic of basic pattern and pattern for apparel took the most proportions. 5. Topic of body types, topic of functionality of clothing and protective clothing, topic of size system of apparel, topic of sew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were followed.

Body Type of 20's Male (20대 성인남성의 체형)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67-26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신체밀착형 의복의 유행으로 맞음새가 우수한 의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20대 나성을 대상으로, Size Korea의 제 7차 인체치수조사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신 체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전신 체형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20대 전반 남성의 의복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대 남성의 체형은 4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둘레 및 너비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몸통길이와 발목/종아리 굵기, 엉덩이처짐 요인 높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짧고 굵은 몸통새다리 체형'이다. 유형 2는 어깨너비와 길이, 몸통길이의 적재량이 높고, 둘레 및 너비와 어깨처짐 요인의 적재량이 낮으며, 높이요인의 적재량이 높은 '가는 역삼각형 체형'이다. 유형 3은 발목/종아리 굵기 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높이요인, 둘레 및 너비와 몸통길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짧고 가는 몸통 굵은 다리 체형'이다. 유형 4는 높이요인과 엉덩이처짐, 어깨처짐 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어깨너비와 길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긴 삼각형 체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