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착용상황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s Smart Photonic Safety Clothing ( 어린이의 스마트 포토닉 안전의복의 개발 및 평가)

  • Soon-Ja Park;Dae-jin, Ko;Sung-eun, Ja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2
    • /
    • pp.129-140
    • /
    • 2023
  • Following ISO 20471, in this study, first, two sets of safety clothes and safety vests were made by designing and attaching animal and bird patterns preferred by children to retroreflective films and black fabrics on those fluorescent fabrics and retroreflective materials prescrib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Second, by mounting a smart photonic device on the safety clothing so that the body can be recognized from a distance even without an ambient light source at night, children can emit three types of light depending on the situation with just one-touch of the button. From a result of comparison with visibility a day and night by dressing a mannequin in the made smart safety clothing, the difference in visibility was evident at night, it was confirmed that we can see the figure of a person even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70 m.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traffic and other accidents on the road, as the drivers driving at night or in bad weather can recognize a person from a distance. Third, in case of the energy is exhausted and cannot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light-emitting function of the optical faber, we can use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the light-emitting time will be extended. As a result it comes up to emit light stably for a long time. And this prove that smart photonic safety clothing can also be used for night workers. Therefore, optical fiber safety clothing is expected to be highly wearable not only in real life but also in dark industrial sites due to stable charging by applying the energy harvesting provided by solar cells.

A Typology of Apparel Usage Situations Among Female Consumers (의복착용상황의 유형에 관한 연구)

  • 박은주;이은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9 no.5
    • /
    • pp.713-722
    • /
    • 199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apparel usage situations percieved by female consumers. Data (N=132)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developed on the focused stoup interviews and previous studie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alysis, two dimensions of perceptual criteria on apparel usage situations are identified: formality, and normative aspects of apparel style. Results indicate that apparel usage situations perceived by female consumer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major types: (1) Formal-Normative Situations, (2) Informal-Normative Situations, (3) Informal-Normless Situations, and (4) Formal-Normless Situations.

  • PDF

한복 교재 분석을 통한 성인 여자 저고리의 패턴제작에 대한 소고

  • 이영혜;강순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33
    • /
    • 2003
  • 우리 민족의 고유 의복인 한복은 민족의 의생활 정서를 그대로 담아낸 우리의 전통 복식으로서 오랜 역사성을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일상복이라기보다 예복 및 행사용 의복으로 입혀지고 있다. 이처럼 한복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착용 빈도가 줄기는 하였으나 과거 경험과 눈대중에 의했던 한복제작에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실제로 한복구성을 위해 출간된 교재들은 최근까지 수십 종에 이르고 있으며, 이론과 실습을 겸한 패턴 제시와 함께 자세한 바느질 방법까지 설명되어 있어, 우리 옷의 구성에 문외한이던 학생들에게도 좋은 안내서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PDF

Video Ethnography를 위한 컴퓨터 지원 분석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이지현;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65-69
    • /
    • 1998
  • 기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시 다양한 사용자 니즈들이 수집되고 이러한 정보들의 효과적 활용을 위하여 여러 가지 분석방법들이 활용, 개발되고 있다. 그중 Video Ethnography는 특정 시스템 상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행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내의 변화를 비디오를 이용해 저장하고 저장된 상황 의 변화요인을 해석 체계에 의거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는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해 사용자의 자연스 러운 작업의 수행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계획된 실험에서 얻 을 수 없는 시스템에 관한 발견점을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Video Ethnography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사용성 정보들이 총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분석되지 못하고 있고, 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 관리하는데 필요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Video Ethnography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 니즈를 체 계적으로 수집,해석, 관리하는 효과적인 도구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특정한 사용상황에 맞추어 수집 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니즈들은 먼저 컴푸터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과업의 목적, 주변상황,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의 과정을 통해특정 시스템 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도출되고 새로운 디자인 해결안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은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며 추후 제품 개발의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사 용환경에 대한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 PDF

중년남성 수트디자인에 따른 연상디자인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 박순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6-4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20∼5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중년 남성의 의복디자인에 따른 시각효과를 연상디자인적인 면에서 고찰하여 중년남성의 체형에 가장 적합한 의복디자인을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중년남성의 체형을 균형화 시키는 연상디자인 시각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신사복 정장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년남성이 외출복으로 착용하는 정장스타일의 수트를 선정하여 의복디자인의 형태구성요인이 다르게 조합된 연상디자인 시각효과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체형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의복의 형태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사회적 상황에서 중년남성들이 표출하고 싶은 시각적 느낌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체형에 대해서 적절하며 또한 효과적인 의복디자인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이와 관련된 소재에 따른 시각적 평가가 다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어 소재별 시각효과, 여밈 및 단추 수의 변화, 체형에 따른 시각효과의 차이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Causal Relationships of Apparel Buying Behavior on Usage Situation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의복착용상황과 소비자특성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인과적 관계)

  • 박은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26
    • /
    • pp.145-16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ituational vari-ables, and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s of apparel buying behavior on usage situation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viaa questionnaire developed on the previous studies from 386 housewives living at Seoul and Pusan, and analyzed by T-test,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pparel buying intention on the types of apparel usage situations. The communi-cation situation was found to be composed of Printed Information and Interpersonal Infor-mation, and the buying situation to be composed of Consumer Conditions, such as weather or mood, Shopping Company, Store Atomosphere, Display, and Store Service. The product char-acteristics considered by consumers in apparel buying process were composed of Practically, Fashionability, Brand, and Approval of others. The causal relationships of apparel buying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types of usage situations and the degree of clothing in-volvement.

  • PDF

The Desired Self-Images and the Fashion Product Unities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ituation (남자대학생의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와 패션상품통일체)

  • Bae Hye-Jin;Chung Ih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7 s.155
    • /
    • pp.1135-114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sired seIf-images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to construct fashion product unities bought by male college students for different situation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male students at 4 universities and 2 colleg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during June 2005, and 346 were analyzed, eliminating incomplete ones. Subjects were required to respond to 32 desired image words in 4 different situations respectively: school, meeting girlfriends, ceremonies, and exercise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desired self-image words, 5 factors were determined: refined image, sporty image, classic image, natural image and simple image. Based on the desired self-image factors, male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selective image management group, passive image management group, and active Image management group. Fashion product unity of male college students for the school setting was consisted of round shirts, jeans, running shoes, bags and watches. Aloha shirts/knitted shirts/V-neck shirts, cotton pants/jeans/semi -formal pants, formal shoes/running shoes and watches were the fashion product unity for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For the setting of ceremonies, the fashion product unity included Y-shirts, formal dress, formal shoes, neckties and watches. And for the setting of exercises, the fashion product unity included cotton shirts, training suits, running shoes/jogging shoes/basketball shoes, armguard and caps.

Manufacture of Water-proof Vapor-permeable Fabric Treated with Octadecane containing Microcapsules, and its Properties (PCMs함유 마이크로캡슐처리 투습.발수직물의 제조 및 물성)

  • 정혜진;조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92-95
    • /
    • 2003
  • 스포츠웨어는 착용 중의 쾌적함을 위하여 자연환경의 변화, 인체의 운동 및 활동 상황에 맞추어 그 기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인체는 체온 조절을 위해 땀을 흘리고 이 땀이 의복 밖으로 원활히 방출되지 못하면 덥고 습한 온열 생리적 불쾌감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온열적 불쾌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스포츠웨어가 가져야 할 중요한 기능이다. 이러한 환경 및 인체변화에 대응하여 투습ㆍ발수 소재가 일상 스포츠 웨어의 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다. (중략)

  • PDF

The Effect of Women′s Life-Style on Image Evaluation and Selection in Clothing Styles (라이프스타일이 의복스타일 이미지평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류숙희;김보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2
    • /
    • pp.227-23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women's life-style on image evaluation of clothing styles, and on their selection of clothing styles by situation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was 441 women above 20 living in Daegu. 6 types of clothing styles including classic, casual, elegant, dramatic, romantic, and mannish and 7 social situations including shopping near house, shopping in a busy street, cultural center, wedding ceremony, eating out, alumni meeting or fraternity meeting, and couples meeting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ackage, which includ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luste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NOVA, and $\chi$$^2$-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dult women could be classified into 5 groups including activist, in-activist, the leisured well-off, the wholesomely economical, and the appearance showing-off by their life-styles. 2. The clothing image according to the 6 clothing styles was different. In the image evaluation of each clothing style by life-style groups, in-active group thought classic style most functional and leisured well-off group, mannish style. Elegant style and dramatic style were estimated positively by the leisured well-off and the appearance showing-off. 3. Selection of clothing style differed according to situations. More formal the situation was, more formal style tended to be selected and for less formal situation, active and mannish style was se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