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이미지 선호도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눈썹유형별 의복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Image Preferences According to Eyebrows Shapes)

  • 김수동
    • 감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01-109
    • /
    • 2006
  • 판매원이 소비자의 얼굴외모를 보고 구매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면 이에 대응하는 판매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선결과제는 얼굴외모에 따라 구매 선호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눈썹유형별로 의복 구매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관상학적인 방법으로 눈썹유형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눈썹유형에 따라 의복 구매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눈썹 끝이 처진 사람들은 눈썹 끝이 오른 사람들에 비하여 평범한 이미지, 단순한 이미지, 점잖은 이미지, 얌전한 이미지의 의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의복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 황진숙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65-17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은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스타일 선호는 섹시스타일에 대한 선호, 타이트한 정도에 대한 선호, 어두운 색상에 대한 선호, 허리 강조에 대한 선호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은 그 부위에 관련된 의복스타일 선호와 관계가 있었다.

  • PDF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류제품평가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according to Self-Image and Clothing Attitudes)

  • Lee, Sun-Jae;Kim, Eun-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24-1433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에 있어 개인적ㆍ심리적 요인인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는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외관적, 성능적, 외재적, 표현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라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의복선호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이들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는 감성이나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의류시장의 경향에 부합하여 시장세분화의 효과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를 통해 세분화된 표적시장 소비자들이 보다 중요시하는 의류제품평가의 차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지각자의 성격특성이 의복의 시각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황미선;이명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2-42
    • /
    • 2004
  • 본 연구는 의복의 시각적 이미지 평가의 차원을 조사하고, 지각자의 내향성-외향성 성격특성과 의복비, 의복스타일에 따른 이미지평가의 차이를 조사하며, 성격특성과 의복비에 따른 의복스타일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중략)

  • PDF

의복 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Fashion Image Segmentation of 20's Female Apparel Market and Apparel Color Preferences)

  • 김영인;고애란;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segment 20's female apparel market using consumer's fashion image preference in formal wear, and 2) to identify the group differences in seasonal color (hue and tone) and color image (image associate with lightness and chroma) preference as well as in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53 females in their late twenties living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2 -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ur fashion image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using consumer's fashion image preference: Elegant image group, Sexy image group, Lively image group, and Romantic image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image groups in hue preference for spring clothes, tone preferences for spring and fall clothes. Color images are associated with lightness for spring and summer, and are associated with chroma for spring, summer, and fall. Group differences in demographic variables were found in socio-economic status and average expenditure for formal jacket.

  • PDF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품 색 선호도 연구 (A Study on Color Makeup Preference by Pursuing Clothing Image and Clothing Behavior)

  • 박정혜;이선재
    • 복식
    • /
    • 제52권7호
    • /
    • pp.87-102
    • /
    • 2002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women's makeup 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ir pursuing clothing image and clothing behavior. Subjects were 515 women. from 18 years to 40 years old, who are interested in color makeup and use various products.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demonstrativ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color makeup preference by the pursuing image in clothing. those groups who want to have conservative and neat image and who prefer feminine and intellectual image showed the preference of brown lipsticks and eye-shadows, while groups who want to have vivid image preferred orange lipsticks and pink eye-shadows. 2. In the case of casuals, all groups preferred pink eye-shadows and lipsticks. While those groups who want to have intellectual image preferred brown lines after pint groups who want to have sexy and vivid image preferred orange and red lipsticks and blue and green eye- shadows. 3. In preference comparison of color makeup by clothing behavior, those groups who attach practicality, symbol for social status. and social acknowledgment preferred red and brown lipsticks, and brown eye-shadows. 4. In the case of wearing casuals, all groups liked pink eye-shadows and lipsticks the best. whereas the group who want to have social acknowledgment Preferred beige lipsticks and brown eye-shadows.

진 제품 구매자의 추구혜택에 따른 평가기준 및 선호 이미지 (Evaluation Criteria and Preferred Image of Jeans Products based on Benefit Segmentation)

  • 박나리;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74-984
    • /
    • 2007
  • WTO체계 이후 급속히 변화하는 의류시장의 환경 속에서 진 제품 시장 역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따라 세분화 되고 있다. 이에 국내 진 브랜드들이 수입 진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혜택은 무엇이며 그 혜택에 따른 제품을 평가하는 기준과 선호하는 이미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 제품 구매자의 추구혜택을 알아보고 추구혜택 집단에 따라 제품평가기준과 선호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바지 시장에서 주요 표적고객으로 선정되고 있는 20대 남, 녀 대학생으로 선정되었다. 표본추출법으로 할당표본추출법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설문지 응답방식으로 이루어 졌으며, 추구혜택, 제품평가기준 및 선호 의복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들을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총 492부의 설문지가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SPSS 11.5를 사용하여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및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진 제품 구매자의 추구혜택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시킨 결과,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집단 1은 성적매력, 유행, 개성, 실용성과 같은 의복의 표현적, 도구적인 혜택을 모두 추구하는 집단으로써 다혜택 추구 집단이라 명명하였으며, 집단 2는 유행을 가장 추구하는 집단으로써 유행추구 집단이라 명명하였으며, 집단 3은 경제성을 가장 추구하는 집단으로써 경제성 추구 집단이라 명명하였으며, 집단 4는 유명상표를 가장 추구하는 유명상표 추구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추구혜택 집단에 따른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심미적 기준, 외재적 기준, 품질성능적 기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다혜택 추구 집단은 제품을 평가하는 단서로 심미적 기준과 품질 성능적 기준을 다른 집단보다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유명상표 추구 집단은 제품의 외재적 기준을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반면 경제성 추구 집단은 진 제품에 있어서 심미적 기준이나 외재적 기준은 별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지 않았다. 추구혜택 집단에 따라 선호 의복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개성적 이미지, 활동적 이미지, 섹시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심플한 이미지에서 유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적 매력, 유행, 개성, 실용성을 모두 추구하는 다혜택 추구 집단의 소비자들은 진 제품에서 개성적 이미지, 활동적 이미지, 섹시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심플한 이미지 모두를 다른 집단에 비해 더 선호하고 있었으며, 유행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개성적 이미지를 더 선호하고 있었다. 또 유명상표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청바지를 착용함으로써 개성적 인 이미지와 세련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호 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제2보)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through Clothes Image Preferences and Benefit (PartII))

  • 이숙희;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3_4호
    • /
    • pp.322-33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gment the consumer market for women's street clothes based on benefit sought. The sample was taken from 1106 middle class women who were in their 30's-40's living in Gwangju city.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honest sought. The groups were practical benefit seeking group(36.7%), multi-benefit seeking group(32.6%) and symbolic/aesthetic benefit seeking group(30.7%). ANOVA, $\chi$$^2$-test revealed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benefit sought, use of information sources,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of comparison for two market segmentations, benefit segmentation was proven to be more useful than segmentations using clothes image preferenc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same benefit segments. Therefore hybrid approach on segmentation using clothes images preferences and benefit sought is neccesary.

성격 유형별 선호하는 의복이미지와 의복구매 행동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 오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06-61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were applied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Clothing image preferences were measured using 28 adjectives of 5-point sca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1 female using questionnaire to prefer on clothing images,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and retail store types. The data analysed with crosstab analysis, t-test, MDS.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ual, sporty, fresh, youthful, western, and simple more than introversion types. Sensing and intu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inine and strong image. Sens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eminine style more than intuition types. Think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simple image more than feeling types. Judging and perceiv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ceful, lofty, and strong image. Judg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graceful and lofty style more than perceiving typ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