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스타일 선호도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s of Body-Cathexis on Clothing Preferences (신체만족도가 의복 선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1
    • /
    • pp.107-11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 부위 (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스타일 선호는 의복이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정도에 대한 선호, 어두운 색상에 대한 선호, 허리, 힙(hips), 가슴(bust), 목(neck), 다리에 강조점을 두는 의복에 대한 선호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는 그 부위에 관련된 의복스타일 선호와 관계가 있었다. 예로 응답자가 체중부위에 만족하면 할수록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의복과 밝은 색상의 의복, 허리와 힙을 강조한 의복을 선호하였다. 이성적 행동이론이 이들 결과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의복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 Hwang, Jin-Sook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11 no.1
    • /
    • pp.165-17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c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were measured for five areas of body parts: head/upper body, lower body, height, weight and torso. Clothing style preferences consisted of clothing preferences for sexy styles, waist emphasis, tight fit, and dark col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 PDF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 이경림;박숙현;이영주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65-67
    • /
    • 2003
  •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체형 부위별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 자신의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장류 착용 경험이 많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인지도 및 만족도에 따른 아이템(재킷, 팬츠, 스커트)별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지각자의 성격특성이 의복의 시각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황미선;이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42-42
    • /
    • 2004
  • 본 연구는 의복의 시각적 이미지 평가의 차원을 조사하고, 지각자의 내향성-외향성 성격특성과 의복비, 의복스타일에 따른 이미지평가의 차이를 조사하며, 성격특성과 의복비에 따른 의복스타일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 Cho, Ha-Kyung;Lee, Joo-H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Benefits Sought of Clothing and Clothing Style Preferences by Fashion Leadership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의 추구혜택 및 의복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이승희;임숙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7
    • /
    • pp.942-95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consumers into subdivided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and to compare and analyze demographic variables, benefits sought of clothing and clothing style preferences between the subdivided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303 female in their age of 30's and 40's living in Seoul and the Kyunggi province. For the analysis of the, mean, Pearson's correlation, $\chi$2-test, Factor Analysis, ANOVA, Duncan-test were conducted and the cronbach's $\alpha$ has been calculat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nsumer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which are fashion dual leaders,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the fashion laggards. Among the 4 sub-groups by fashion leadershi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2. Among the 4 sub-groups by fashion leadershi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brand, individuality, fashionability and activity. 3. Among the 4 sub-groups by fashion leadershi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style pre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and sexy, simple and sophisticated style, elegant and formal style, slim style, modest and plain style.

  • PDF

Influence of Men's Clothing and Hairstyle on the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eference (남성 의복과 헤어스타일이 전문성 및 선호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Kang, Seung-Hee;Lee, M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6
    • /
    • pp.990-10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r's gender, clothing, and hairstyle on the visual evaluation of men's professionalism and preference. A quasi-experimental method by questionnaire was us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2\times8\times2$ (perceiver's gender $\times$ clothing $\times$ hairstyle) factorial design by 3 independent variables. The stimuli were 16 photographs of a man in his twenties. The upper clothing of the man included tailored collar jackets in beige and dark blue colors, and jumpers and sweaters in beige, dark blue, and red colors. The lower clothing of the men included jean pants. Two types of the hairstyles included short hair and medium length hair. The subjects were 208 men and 223 women in Seoul, Korea. Wearing a beige sweater with jean pants was evaluated high in intellectual image, a red jumper was perceived low in intellectual image, and a beige tailored collar jacket was evaluated low in potent image. Men's short hairstyle was evaluated to be more professional than the medium length hair. Male perceivers liked short hair more than medium length hair, but female perceivers evaluated both hairstyles similarly. In the case of women, the preferences of tailored collared jacket and soutien collared jumper were similar, but jumper was preferred to jacket in the case of men. Male perceivers showed more positive feedback towards jean pants with soutien collared jumper than jeans with tailored collared jacket, which indicated that men showed more conservative attitude towards the outfit than women. The man who was wearing a jumper with short hair was evaluated positively and the man who was wearing a jacket with medium length hair was evaluated negatively when the attires were coordinated with jean pants. In conclusion, medium length hairstyle with a beige jacket and short hairstyle with a red sweater were evaluated as professional image;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othing and hairstyl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fluence the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Clothing Behavior, and Purchase Behavior on Body Cathexis and Clothing Style of Adolescence in Seoul and Inchon (서울ㆍ인천 중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선호 스타일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 최수빈;조우현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5 no.3
    • /
    • pp.99-1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cathexis, preference in style,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Based upon the effect of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on adolescence clothing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classification of the future adolescence consumers for fashion marketing.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40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Inch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PSS. This study used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as Independent variables,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 PDF

Clothing Preference Analysis of Elderly Women for ZIGTECHnology Clothing Development

  • Cha, Su-J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8
    • /
    • pp.89-98
    • /
    • 2020
  •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recognition patterns of elderly women's clothing preferences. For the type 1, knitted materials and natural materials were preferred, and pastel colors were preferred. The type 2 preferred pants that cover the body shape, look young, and have good simple activity. The type 3 was a type in which the waist was treated with a rubber band, the clothes were comfortable to wear and the loose style was preferred. The type 4 was simple and prefers a style with a raised neck and no fasteners, and a clothes that was comfortable to wear. Type 5 was a type that prefers a style that looks important and colorful and youthful in design or color. In order to develop ZIGTECHnology apparel for older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sign that can look aesthetically beautiful while covering the body shapes such as bending of the back and bending of the waist by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older wome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lothing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movement functionality without obstacles to movements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behavior and movement of hands.

Korean Apparel Wearing Behavior of Foreigners (외국인의 한국 의류 착의실태)

  • Maharjan Shreejana;Chang-Bum Heo;Kyung-Seo Yoon;Ye-Sun Kim;Hyang Ki Yu;Su-Joung C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45-346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 의류의 착용실태 및 착용 시 불편사항, 선호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소비자를 흡수할 수 있는 의류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의류 구매장소는 온라인 쇼핑이 가장 많았고, 구매 아이템은 티셔츠, 재킷이 많았다. 가격대는 3만원에서 5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심미적 요인이 높았다. 한국 의류는 어깨부위, 다리길이가 가장 불편하였고, 바지가 가장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스타일은 캐주얼과 모던 스타일이 많았고, 심플하고 편안한 이미지의 의복을 선호하며, 천연소재를 선호하였다. 조금 여유있는 실루엣의 의복을 선호하고 재킷, 티셔츠 등의 아이템을 선호하였다. 향후 국적, 체형 등에 따른 착의실태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