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선호도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다문화 가정의 의복 실태와 섬유 선호도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lothing Behavior and Fiber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 최인려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4호
    • /
    • pp.863-8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lothing behavior, care and the fiber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s based on pre-tests, and a main survey conduc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258 participants came from 151 multi-cultural families and 107 Korean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lipinos owned more clothes than the Chinese and bought clothes more frequently. The Filipinos spent 10,000~30,000 Korean won on all types of clothing. Each time, the Chinese spent more money when purchasing jackets. Second, when health was the greatest concern for underclothes, they chose cotton fiber as their preferred fiber. When beauty was of greatest concern for blouses they chose cotton. When beauty was of greatest concern for skirts and jackets they chose natural fibers such as silk, wool or linen. Filipinos preferred synthetic fibers because they are easy to care for, and the Chinese preferred natural fibers due to their beauty, especially for pants. Third, multi-cultural families laundered at home using only a washing machine. All fibers were laundered together into the washer without any sorting.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an understanding of the clothing behavior and laundry styl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may be useful data in the apparel market in Korea given the relative and direct changes relevant to various clothing cultures.

중국 여성의 체형별 의복행동 및 의상디자인 선호도 연구 (A study on Clothing Behavior and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on the Comparison of Body types of Chinese Women)

  • 김효숙;임순;손희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26
    • /
    • 2001
  • China adopted a free market economy and is a member of WTO. It has now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markets in the word for the near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Chinese women clothing behavior and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by body types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high quality clothes merchandising of exporting to Chin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0 Chinese women, aged from 20 to 50 living in Beijing. The survey was taken from June to July, 1999.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is used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hi$$^2$-test,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wamination on the Chinese womens clothing behavior showed that they attach importance to economy for purchasing clothes and have affirmative self-confidence. The thin body type women prefer to fashionable clothes while the fat body type has more reasonable economic behavior for clothing. It is needed to different merchandising project by body type in China..

  • PDF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기반의 심전도 측정 의복 (Wearable based Electrocardiogram Sensing Clothes for Monitoring of Vital Signal)

  • 유기엽;한기태;김주현;김종훈;정경용;이정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77-278
    • /
    • 2009
  • 차세대 하이테크 스마트 의류는 복합 차원에서의 감성적인 요소를 섬유 패션기술에 IT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하고 있다. 생체신호를 이용한 감성은 모호하여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이 어렵고, 그 표현도 제한된 감성 어휘에 의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를 위하여 제품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감정과 선호도가 반영된 제품의 설계나 디자인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기반의 심전도 측정 의복을 제안하였다. 착용자가 평소 자주 입는 티셔츠를 응용하여 답답해하거나 불편하지 않게 제작하고 소매 형태로 신축성있는 소재를 사용한다. 인체의 형태에 따라 의복과 바이오센서의 전극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고탄력 밴드를 이용하여 일자형으로 제작하였다. 심전도 측정 의복을 착용에 의해 수집된 심전도 ECG 파형을 수집하고 심박변화율을 계산하는 시뮬레이션을 개발한다.

남성 휠체어 장애인의 정장 개발을 위한 의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Wearing Apparel Conditions and Clothing Preferences for Development of a Suit for Disabled Males in Wheelchairs)

  • 이재향;양정은;박광애;박장운;유희천;배수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33-74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existing ready-made clothes and clothing preferences through a survey of 197 wheelchair-bound males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uit that consider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disabled in wheelchairs for improved quality of living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the 30s to 40s age group was the largest at 71.6%.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was myelopathy at 72.6%. Also 59.9% of respondents had a job and ongoing external and social activities. As for the duration of wheelchair use, 10-20 years was the longest at 40.6%. It was found from the survey that respondents felt inconvenienced with existing clothes and changing pants was most inconvenient. Most experienced having their clothes altered due to the difficulty in finding well-fitting ones; consequently, the length of pants was the most altered item because pants are based on the size of a standing man and there exists a discrepancy in length due to the atrophy of the legs of the disabled. They preferred one style in general for clothing preferences as well as common design and details as well. However, they preferred a style with a short front and long back due to a discomfort in jacket length. A short length was the most complained about pants item.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 조하경;이주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웨어러블 기반의 심전도 측정 의복을 이용한 시각감성과 생체신호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Visual Sensibility and Vital Signal using Wearable based Electrocardiogram Sensing Clothes)

  • 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96-503
    • /
    • 2009
  • 물질적 풍요로움뿐만 아니라 품질이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환경 속에서 감성에 따른 생체신호를 파악하는 것은 감성공학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품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감정과 선호도가 반영된 제품의 설계나 디자인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기반의 심전도 측정 의복을 이용한 시각감성과 생체신호간의 상관관계를 제안하였다. 심전도 측정 의복을 착용함으로 심전도 ECG 파형을 측정하였다. 심전도 측정 의복을 착용에 의해 수집된 심전도 파형으로부터 심박변화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고속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파워 스펙트럼 분석은 시각감성과 생채신호의 상관관계를 평가한다. 제안된 방법에 대해서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의 의복 소재 선호도 및 요구 성능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Requirement Performance for Clothing Materials of the Patients having Atopic Dermatitis)

  • 박영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4호
    • /
    • pp.681-695
    • /
    • 2008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lothing materials and the clothing demand performance for underwear and everyday dress of atopic patients. As this study was the research study by a use of a questionnaire, the finally total 987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SPSS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X^2$-test,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s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In factor analysis for clothing materials and the demand performance which atopic patients favor, the preference factors for underwear materials were classified as pliability/a sense of weight, a sense of cold and warmth, tactility, and elasticity. Those for everyday wear were classified as pliability/surface roughness, a sense of cold and warmth, a sense of weight, and elasticity. And the demand performance factors for underwears were classified as thermophysiology, care convenience, and skin contact. Those for everyday wear were classified as comfortableness and care convenience. In the difference analysis for the preference and the demand performance, Both everyday wear and underwea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preference and the demand performance according to gender, age, incom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 PDF

미국 고교생의 교복에 대한 연구 (Perception toward wearing school uniforms)

  • 김윤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167-1178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미국 내에서 교육 개혁의 한 방편으로 공립학교 학생들에게 교복을 착용하도록 하는 도시가 증가함에 따라 교복 정책에 대한 여론은 찬반론이 교차하고 있고, 이를 뒷받침 할 연구는 부족하여 교복 착용에 관련된 요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아 교육정책에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미국 미네소타 주, 도심 지역의 세 남녀 공학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세 고등학교는 학교 의복 착용에 대한 서로 다른 규율을 갖고 있었다. School R은 학교에서 지정한 교복만을 착용 해야 하는 규율을 갖고 있고 School F는 학생들에게 학교가 선정한 색상에 일치하는 의복을 통학복 으로 입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동적인 교복 정책을 갖고 있었다. School N은 특정한 학교 교복은 없고 학생들에게 통학복 착용에 대한 규율은 있었다. 세 학교의 학부모,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부모, 교사는 교복 착용이 학생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지한 반면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그렇지 않다는 태도를 보였다. 학생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교복은 School F의 교복처럼 통학복에 색상 제한을 하는 약간은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났으며 해당 학교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교복을 입지 않는 School N의 학부모들은 학생들 통학복에 대한 지출이 다른 두 학교 부모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복을 착용한 경험이 오래된 학생일수록 교복 착용에 더 긍정적인 관점을 보인 것으로 보아 미국 내에서의 교복 정책은 초등학교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받아 들여 진다.

  • PDF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orted-Brand Preferences)

  • 박미정;임숙자;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picuous consuming tendency and imported-brand preferences based on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464 women living in Seoul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ats, and $X^2-test$ were used. As the result, five factors in conspicuous consumption are generated from the factor analysis. Consumers with high conspicuous consumption prefer imported-brand cloth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conspicuous consumption, purchasing behaviors of clothing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formation usages, clothing selection evaluations, patronage store types, purchasing frequencies, and seasonal clothing expenditure. Finally,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imported-brand clothing preference in information usage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and patronage store types.

노년기 여성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 및 의복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lothing Design Preference & Clothing Satisfaction for Older Women)

  • 서미아;이선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권1호
    • /
    • pp.41-64
    • /
    • 1995
  • A clothing design preference & clothing satisfactions(a general satisfaction, fitness) was studied for women 55 years and older.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ings. In view of a clothing design preference, 1) Styles of outdoor clothes for spring-fall : ① Two-pieces ② Blouse(Sweater) & Slacks ③Blouse(Sweater) & Skirts. 2) Colors of clothes for seasons: (Spring - Pink, Light yellow, beige), (Summer - Light blue, Blue, Light green), (Fall - Brown, Red purple, Beige), (Winter - Black, Brown, Gray). 3) Fabric prints ; ① Unicolor without print ② Geometric print ③ Traditional print. 4) Kinds of textiles : ① Easy Laundriability ② A style of dressing ③ Uncrumple. In view of clothing satisfactions for ready made clothes, they have unsatisfactory trends as following orders. 1) Considering a general satisfaction : ① Clothing which go with oneself ② Fitness ③ Matching with other clothes. 2) Considering fitness for clothes : ① Sleve length ② Shoulder width ③ Length in Blouse (Sweater) & Jacket, ① Length ② Waist ③ Girth of hip (under abdomen) in slacks (skir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