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 유형

Search Result 1,60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coustic Phonetic Study about Focus Realization of wh-word Questions in Korean (국어 의문사${\cdot}$부정사 의문문의 초점 실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Park Mi-young;Ahn Byoung-seo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89-292
    • /
    • 2002
  • 국어에서 wh-단어가 포함된 의문사 의문문과 부정사 의문문은 통사적으로 같은 구조를 가지지만 의미적으로는 중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두 의문문은 문장으로 발화될 때 음성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운율 특징의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발화 차원에서는 더 이상 중의 관계를 유지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중의성의 해소는 두 의문문의 초점이 달리 실현되기 때문이라고 본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의문문의 억양 연구를 초점의 작용 범위와 문말 억양의 차이, 강세구 형성의 유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의문사와 부정사의 의미는, 이에 후행하는 서술어와 형성하는 강세구 유형에서 우선적으로 그 의미가 구분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국어의 wh-단어가 초점으로서 작용하는 운율적 돋들림을 좀더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하였다. 그리고 의문사${\cdot}$부정사와 후행하는 언어단위의 강세구 형성(accentual phrasing) 유형, 의문사${\cdot}$부정사 의문문 전체 문장 억양의 실현 양상, wh-단어 자체의 음의 높낮이(pitch contour) 실현 유형, 문말 억양(boundary tone)에서 음의 높낮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PDF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a 'Region' in High School Students Analyzed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개방형 질문에서 분석된 고등학생의 '지역' 개념에 대한 이해)

  • Goh, Deok-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0 no.1
    • /
    • pp.141-151
    • /
    • 2014
  • This study is to explain understanding types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in the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39)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describe the pedagogical utilizations for this. Students' understanding types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are compared and then determined through two meaning agreement and association between meaning of students' understanding which is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meaning of a 'Region' which is described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understanding types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ull, partial, ambiguous, and converted understanding. Second, The degree of right meaning agreement and association existing between two meanings is rising steadily by converted, ambiguous, partial, and full understanding. For this reason, This result can make sure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udents. Third, Students' partial understanding, ambiguous understanding and converted understanding on region concept could be judged as misconception not fully corresponded to region concept in the curriculum explanation. Fourth, Teachers can achieve conceptual change through this misconception as a subject matter of educational dialogue for meaning change.

  • PDF

Korean Spell Correction Using Collocation of Morphemes (형태소간의 의존 관계에 따른 오류 유형 추정 함수를 이용한 한국어 철자 오류 교정)

  • Sim, Chul-Min;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493-498
    • /
    • 1994
  • 기존 철자 검사/교정기들은 한 어절을 구성하는 형태소들의 품사 정도만을 이용하고 있다. 때문에 철자 검사나 교정의 정확도 면에서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구문적 연관 관계 및 구문 내에 존재하는 단어들 간의 의미적 연관관계 등을 바탕으로 오류 유형을 추정하는 오류 유형 추정 함수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철자 교정기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오류 유형 추정 함수를 이용한 철자 검사/교정기는 한 어절에 국한되었던 철자 검사/교정의 범위를 여러 어절로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의 시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문 검사 및 의미 검사를 수행하는 문체 검사기의 원형으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nnotated corpora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Open Domain Queries (오픈도메인 질의문 자동 분류를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 연구)

  • Ahn, AeLim;Lee, SeoJin;Choi, DongHyun;Kim, EungGyu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09-314
    • /
    • 2019
  • 본 연구는 오픈도메인 자연어 질의문 유형을 '질문 초점(Question Focus)'에 따라 분류하고, 기계학습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오픈도메인 질의문 분석을 통해 의문사 등의 키워드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의 한계를 설명하고, 질의문 내의 비명시적인 의미자질을 고려한 질문 초점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 기준을 정의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구축된 112,856 문장의 주석 말뭉치를 기계학습(CNN) 기반 문장 분류 시스템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F1-Score 97.72%성능을 보였다. 또한 이를 카카오 오픈도메인 질의응답시스템에 적용하여 질의문 확장을 위한 의미 자질로 사용하였고 그 결과 전체 시스템 성능을 1.6%p 향상시켰다.

  • PDF

The Effect of Incidental Semantic Activation on Hypothesis Generation: Exclusive vs Compatible Hypotheses (우연적 의미 활성화가 가설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가설 유형에 따른 차이)

  • Lee, Younha;Park, Jooyo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6 no.2
    • /
    • pp.209-239
    • /
    • 2015
  •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incidental semantic priming on judgment, have focused mainly on mutually exclusive hypotheses. However, the present study explored whether incidental semantic activation affects diagnostic in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hypothesis: mutually exclusive hypotheses vs compatible hypotheses. In Experiment 1, in case of mutually exclusive hypotheses, the final hypothesis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idental semantic priming,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generated hypothesi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However, for compatible hypotheses (i.e., both hypotheses can be true), the semantic priming affected the number of generated hypotheses, but not the selection of the final hypothesis. The same pattern of results was observed even when the cognitive load was increased. In Experiment 2, we found a boundary condition of incidental semantic activation on diagnostic inference. When cues related to each of the hypotheses were presented simultaneously, the incidental semantic effect disappea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consider all possible cues when making diagnostic inference in daily life. In light of these findings, further research on hypothesis generation/evaluation should take the type of hypothesis into account.

The Analysis of the Strength and the Weakness for College Students by Personality -Focusing on Enneagram Type 3·6·9- (대학생의 성격유형별 강점과 약점에 관한 분석 -에니어그램 3·6·9 유형을 중심으로-)

  • Lee, Song Yi;Shim, Tae Ee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0
    • /
    • pp.357-366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enneagram types 3, 6 and 9, which are the center types among the different centers of intelligence, in order to provide college students with meaningful knowledge that can improve their self-understanding. To conduct this study,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discover the strength and weakness keywords using NodeXL and contents analysis was used for the case analysis of types 3, 6, and 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engths were objectiveness and confidence for type 3, responsibility and premeditation for type 6 and pacifism and consideration for type 9. The weaknesses were self-consciousness and consequentialism for type 3, indecision and worry for type 6, and evading conflict and laziness for type 9. The results obtained by contents analysis showed that type 3 was goal-oriented and placed value on gaining the recognition of other people, type 6 had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was well prepared beforehand, and type 9 was considerate of others's feelings and evaded conflicts. This can help college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mselves.

Analysis of Korean Compound Noun using Semantic Information (의미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복합명사 분석)

  • 김수남;원상현;권혁철;주종철;이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195-197
    • /
    • 1998
  • 복합명사 분석은 조합이 자유롭고 제한이 없으므로 여러 가지 모호성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는 기존 방법으로 사전을 이용하는 방법[2]과 통계적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3,4]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위 범주화된 어휘 정보를 가진 전자사전을 이용하여 복합명사를 분석한다. 그리고 어휘 정보만으로 처리했을 때 의미상으로 잘못된 분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은 복합명사를 구성하는 어휘의 정보와 특정단어의 의미에 따른 복합명사 제약조건을 규칙베이스로 구축하여 분석에 이용한다. 또한 분석에 실패한 복합명사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유형에 따른 교정 방법도 제시한다. 실험 데이터는 부산일보, 교과서, 그리고 각종 문서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27,945개의 복합명사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미적 제약조건을 이용하여 분석했을 때 복합명사로 잘못 쓴 어절의 검사율이 21% 향상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emantic Structure Analysis of Korean Compound Nouns (복합명사의 의미적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남궁황;이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177-180
    • /
    • 2001
  • 복합명사의 효율적인 분석은 정보검색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국어에서는 복합명사가 다양한 구문적 유형으로 표현된다. 표면적으로 동일하게 표현된 복합명사일지라도 의미적으로는 서로 다르게 나타내거나 여러 개의 단위명사로 분리될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합명사를 구성하는 단위명사간의 의미적 결합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구문관점에서 복합명사의 표층구조와 심층구조간의 의미관계를 기반으로 복합명사 분석시 적용할 수 있는 의미규칙을 도출하는데 있다.

  • PDF

Types of Popular culture and Design planning (대중문화의 유형과 디자인 기획)

  • 전선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0.11a
    • /
    • pp.88-89
    • /
    • 2000
  • 대중문화의 용어는 독일어로서 '마스'(Uass)와 '쿨투어'(Kultur)의 복합어이다. '마스', '마센'(복수: 많은 정도를 의미함)이란 유럽사회에서 비귀족적이고 교육을 받지 못한 계층으로, 오늘날 중하 이하 계충의 사람들을 칭하는 말이다. '쿨투어'(문화라는 의미)는 영어의 '하이 컬처(high cultur) 즉 고급문화'로서 유럽사회의 교육을 잘 받은 엘리트 계층이 수용하는 미술, 음악, 문학 등과 상징적 산물인 건축의 실내외 장식, 조경 등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화예술의 애호가들인 교양인, 지식인의 감정이나 사고의 유형 등까지도 포함하는 말이다.(중략)

  • PDF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ation on Mudras of Sahasra-bhuja Aryavalokitesvara Bodhisattva (천수관음의 수인에 나타난 의미 분석과 시각화)

  • Kim, Youngduk;Kim, Kyungd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5
    • /
    • pp.520-528
    • /
    • 2017
  • In this paper, we analyze semantics on mudras of Sahasra-bhuja Avalokitesvara and implement visual content as its application. The mudras are described in the Odaejineunjib that i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semantics analysis on the mudras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42 Hands(mudras) that present symbolic difference of hands holding on various items. So,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emantics on the 42 Hands according to 5 parts which are basic classification of Honored Ones on Esoteric Buddhism. We implemented a visual contents showing Avalokitesvara according to semantics on the 42 Hands. And, in the process, we are able to provide the public with easy accessibility on mudras of Sahasra-bhuja Avalokitesvara. Applications of the mudras are as follows; game contents,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