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 관계

Search Result 5,97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한국어 부사어의 분류와 분포 제약

  • 채희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95-96
    • /
    • 2001
  • 문장에서 술어를 수식하는 대표적인 표현은 부사어이다.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문장 구성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지 않는 첨가어(adjuncts)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보충어(complements)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이루어진 분야이다. 그렇지만 부사어는 피수식어의 의미를 구체화/한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어순, 호응(concord)등의 통사적 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이러한 부사어를 통사적, 의미적 기준에 의해 정확하게 분류하고 그들의 분포제약을 밝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부사어와 관련된 통사 현상으로, 부사어와 피수식어의 공 기(co-occurrence)관계 및 부사어와 술어 어미의 호응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려고 한다. 부사어는 통사적인 기준과 의미적인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손남익 1995, 김경훈 1996, 임유종 1998). 통사적 기준으로는 단어나 구를 수식하는 성분부사와 문장을 수식하는 문장 부사로 나누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제약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제약부사와 자유부사로 나 누는 방법이 있다. 이 두 통사론적 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부사들은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장부사는 문두에 놓여야 한다는 위치적 제 약 이 있기 때문에 제약부사로 분류된다. 의미적 기준으로 부사어를 분류할 수도 있는데, 시간/ 공간 부사어, 양태/정도 부사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의미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부사어는 통사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것들과는 어떤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 반적으로 시간부사와 장소부사는 자유부사에 속하며 양태부사와 정도부사는 제약부사에 속 한다. 부사어와 피수식 요소와의 통사적 공기 관계 및 의미적 관계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 법 현상도 연구의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부사들이지만 “*순이는 빨리 과연 달린다”에서 볼 수 있는 종류의 분포적 특성을 알아 볼것이다 (심재기 1982, 송 철의 1989). 또한 “길이/*길게 빛나다”와 “*길이/길게 드리워졌다”와 같은 대조에서 나타나는 통사, 의미적 기능의 상관 관계 및 제약들의 상호 작용도 살펴 볼 것이다.

  • PDF

Semantic Role Transformation of Arguments using Predicate and Josa Information (술어와 조사 정보를 이용한 논항의 의미역 변환)

  • Seo, Min-Jeong;Seok, Mi-Ran;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51-55
    • /
    • 2014
  • 의미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 은 문장 내의 술어와 이들의 논항들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한다. 의미역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말뭉치와 다양한 언어 자원이 필요한데, 많은 경우에 PropBank 말뭉치가 사용된다. 한국어 PropBank는 다른 언어에 비해 자료가 적어 그것만을 가지고 의미역 결정을 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또한 한국어 의미 분석을 위해서 지금까지는 세종 말뭉치나 의미역이 활용되어 오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서는 한국어 PropBank 뿐만 아닌 세종 의미역 표지 부착 말뭉치의 구축 역시 요구되는데 말뭉치 구축 작업이 수동 부착 작업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구축되어 있는 한국어 PropBank 의미역을 세종 의미역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동 변환을 위해서는 먼저 PropBank 의미역의 변환 후보 의미역을 구하여 이들 중에서 가장 적절한 의미역으로 변환한다. 자동 변환을 위해서는 크게 3 가지 특징을 활용하는데, 첫째는 변환 대상 논항의 의미 유사성이고, 둘째는 논항과 의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술어, 그리고 셋째는 논항과 결합되어 있는 조사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을 사용하여 정확한 의미역 변환을 위해 술어, 조사의 의미역 결합 확률 테이블을 구축한다.

  • PDF

Mediating Effect of Decentering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Meaning Reconstruction on Relational Loss Experience (관계상실경험자의 사건중심성과 의미재구성의 관계: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 Kim, Soon-Me;Lee, Su-Li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6
    • /
    • pp.445-45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centering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meaning reconstruction, based on relational loss experiences. To do so, surveys were conducted on 295 people(male: 109, female: 186) who would experience relational loss and be over 20 years old in the country using a questionnaire including a relational loss history checklist, the CES(Centrality of Event Scale), the Decentering Scale and the GMRI(Grief and Meaning Reconstruction Inventory). And the vali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followed. First, both centrality of event and decentering had positive corrleations with meaning reconstruction. Second, decentering completely mediated relationship of centrality of event and meaning reconstruction. Centrality of event had no direct effect on meaning reconstruction and the entire effect of centrality of event on meaning reconstruction was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path of decentering.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Somatization in the Perspective of Daseinsanalysis (신체화의 현존재분석적 이해)

  • Lee, Zuk-Nae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0 no.2
    • /
    • pp.69-77
    • /
    • 2002
  • The Daseinsanalytic understanding of somatization as a phenomenon begins with a question about the real nature of human body. The human body is primarily not an object of scientific study, which is based on the dichotomy of mind and body, but it is an existential body(Leiblichkeit) disclosing the meaning of Beingness of human being. Since the meaning always discloses itself in man's relations with his world, his body in existential nature expresses his relations with the world. Such a somatic expression of world relations is the phenomenon of somatization whose meanings are illuminat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unlike the method adopted by natural science investigating the cause and effect.

  • PDF

To Constrain Korean Compound Nouns using Semantic Information for Korean Grammar Checker (한국어 문법검사기에서 의미정보를 이용한 복합명사의 분석제약)

  • Won, Sang-Yun;Kim, Su-Nam;Kim, Kwang-Young;Nam, Hyun-Suk;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88-293
    • /
    • 1999
  • 일반적으로 두 개의 명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명사 기능을 하는 어구를 복합명사라고 한다. 한국어는 복합명사 내의 명사를 붙여볼 수도 있고 띄어쓸 수도 있으므로 복합명사의 형태적 분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각 명사의 복합명사 결합을 최대한 제약하여 문법검사기에서 복합명사와 관련된 오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범을 개발했다. 이 논문에서 복합명사 분석 기능을 제약하는 방법으로 형태적 제약 방법과 의미정보에 따라 복합명사의 결합관계를 제약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어휘 정보만으로 복합명사를 분석하면 의미관계에 의한 오류는 찾기 어려우므로 복합명사의 구조적 결합관계와 의미 결합관계를 밝혀 복합명사를 잘못 분석하는 문제점을 극복한다. 복합명사의 결합제약은 명사의 왼쪽과 오른쪽에 올 수 있거나 올 수 없는 명사를 의미, 형태적 특성과 명사가 나타나는 분포(distribution)에 따라 분류하여 규칙베이스화하였다. 의미정보를 이용한 복합명사 결합제약 알고리즘도 구현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Korean logical ending connective affix on text comprehension and recall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 Nam, Ki-Chun;Kim, Hyun-Jeong;Park, Chang-Su;Whang, Yu-Mi;Kim, Young-Tae;Sim, Hyu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251-258
    • /
    • 2004
  • 본 연구는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연결어미의 효과와 글읽기 능력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결어미로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었다. 앞뒤에 제시되는 두 문장의 국소적 응집성(Local coherence)을 형성하는데 연결어미가 도움을 준다면, 연결어미가 있는 경우에 문장을 이해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글 내용을 기억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만일에 글읽기 능력이 연결어미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면, 연결어미의 출현 여부와 읽기 능력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과 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 읽기 시간에 연결어미의 출현이 미치는 효과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인과 관계 연결어미는 뒤의 문장을 읽는데 촉진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이런 연결어미의 효과는 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관된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결어미의 출현은 문장의 회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연결어미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는 읽기 능력의 상하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문장 읽기 시간과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부가 관계 연결어미 역시 인과 관계 연결어미와 유사한 형태의 효과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앞뒤 문장의 응집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런 연결어미의 글읽기에 대한 효과는 글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건이 복합 명사의 중심어 선택과 의미 결정에 재활용 될 수 있으며, 병렬말뭉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축되는 의미 대역 패턴을 사용하여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한다.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 PDF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emantic Relation of Author Keyword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 and Sport of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 분야 저자키워드의 의미적 관계 유형 최적화 연구)

  • Ko, Young Man;Song, Min-Sun;Lee, Se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9 no.1
    • /
    • pp.45-6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semantic relations of terms in STNet, a structured terminology dictionary based on author keywor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 and sport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to describe the procedure for optimizing the relation types and specifying the name of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 that four logical criteria, such as creating new names for relationships or limitation of typing the relationship by the appearance frequency of same type, consideration of direction of relationship, reflection to accept the existing name of relationships, are required for the optimization of the typing and naming the relationships. We applied these criteria to the relationships in the class "real person" of STNet and the result shows that 1,135 out of 1,743 uncertain relationships such as RT, RT_X or RT_Y are specified and clarified. This rate of optimization with ca. 65% represents the usefulness of the criteria applicable to the cases of database construction and retrieval.

A Study on the Semantic Relationships in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지식조직체계의 용어관계 유형에 관한 연구)

  • Baek Ji-Won;Chung Yeo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9 no.4
    • /
    • pp.119-13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stematize the semantic relationships in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KOS) . For this purpose, Classification systems, thesaurus, subject headings, semantic networks, ontology, databa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erms. Also, various kinds of the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not only in the current KOS but in the theoretical research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six proposals were suggested for the organized system of the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for the future us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AGROVOC for Establishment of Concept Relationships of Ontology (온톨로지의 개념간 관계 설정을 위한 AGROVOC 시소러스의 분석에 관한 연구)

  • Yoo, Y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1 s.55
    • /
    • pp.125-144
    • /
    • 2005
  • This study uncovered ambiguity and inconsistency of the semantic relationships of the existing thesaurus by analyzing the concept relationships of AGROVOC and proposed the concept relationships of ontology in partially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B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 relationships, the study proposed conceptual model as most important part of conecept relationships of ontology and semantically developed concept relationship types. These relationships partially can perform inferences and must be useful for information knowledge system based on more exact semantic relationships. Also the study found out new relationship types and they will be useful for extension of the concept relationships of existing thesaurus. And these relationship types showed that they were useful for the existing thesaurus as Legal Thesaurus.

Noun Link Relation Research Of Verb '-Kata (가다)' for Korean Syntactic Analysis (한국어 구문 해석을 위한 동사 '가다'의 명사 결합 관계 연구)

  • Park, Keon-S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207-21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구문 해석을 위해 동사 중심의 구문 틀 정보를 구축하고, 나아가 결합 빈도가 높은 명사와의 결합 관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구문 해석의 방법을 제안한다. 동사 중심의 구문 틀과 명사의 의미 자질은 구문 해결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문의 비문 여부를 가리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명사의 의미 자질은 경계가 모호하여 구문의 적격성(wellformedness)을 가리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동사와 명사의 결합 관계를 이용하면 구문의 의미적 적격성을 좀 더 명시적으로 가릴 수 있다. 한국어에서 기본 동사이고,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사용된 빈도가 아주 높은 동사 '가다'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구문 틀 정보와 결합 명사의 의미 자질 및 결합 관계를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