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역결정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Backward LSTM CRF (Backward LSTM CRF를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Bae, Jangseong;Lee, Changki;Lim, Sooj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94-197
    • /
    • 2015
  •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LSTM) 기반 Recurrent Neural Network(RNN)는 순차 데이터를 모델링 할 수 있는 딥 러닝 모델이다. 기존 RNN의 그래디언트 소멸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를 해결한 LSTM RNN은 멀리 떨어져 있는 이전의 입력 정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음성 인식 및 필기체 인식 등의 분야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LSTM RNN 모델에 의존성(전이 확률)을 추가한 LSTM CRF모델이 자연어처리의 한 분야인 개체명 인식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장의 지배소가 문장 후위에 나타나는 점에 착안하여 Backward 방식의 LSTM CRF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보다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Con-Talky: Information Extraction and Visualization Platform for Communic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Con-Talky: 건설 분야 전문가의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 추출 및 시각화 플랫폼)

  • Shim, Midan;Park, Chanjun;Hur, Yun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76-481
    • /
    • 2021
  • 본 논문은 용어의 비통일성과 문서의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설분야 전문가들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Con-Talky를 제안한다. Con-Talky는 자연언어처리의 대표적인 기술인 형태소분석, 의존구문분석, 의미역 결정 기술을 융합하여 건설분야의 "설계기준문서"를 시각화하고 핵심 정보추출을 자동으로 해주는 플랫폼이다.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여 토목분야 전문가들의 의사소통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용어의 비통일성 및 표준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은 국내 건설 및 토목분야에 최초로 자연언어처리 기술을 적용한 논문이다. 해당 분야의 연구를 활성화 하기 위해 건설분야에 특화된 단일 말뭉치와 트리플 데이터를 자체 제작함과 동시에 전면 공개하였다.

  • PDF

A Study of Social Workers' Understanding of Elderl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Rights to End-of-Life Care Decisions and of Their Own Roles in the Process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 및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 - 장기요양 입소 시설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

  • Han, Sooyo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8 no.1
    • /
    • pp.42-5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how social workers understand the rights for elderly patient and family caregiver to make end-of-life (EOL) care decisions and their role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of collecting data from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was filled out by 334 social worker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mean difference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using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the understanding the rights to an EOL care decision was $3.46{\pm}0.69$ and of their own roles $3.48{\pm}0.84$. The level of understanding significantly differed by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assisting a process to make an EOL care decision such as advance directives and life sustaining treatment, work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beds.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rights for EOL care decisions and of social workers' roles (Pearson r=0.329, P<0.001).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workers and devising standards for the EOL care decision making process to protect elderly patients, family caregivers as well as social workers in a long term care facility.

Mapping Rules form Syntactic Relations to Thematic Relations by Using kadokawa(かどかわ) Thesaurus (가도까와(かどかわ) 시소러스를 이용한 구문관계에서 의미관계로의 사상(寫像) 규칙)

  • 박정혜;강신재;이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58-36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의미분석을 위해서 구문관계와 의미관계를 자동으로 사상하는 규칙을 구축한다. 5 만개의 패턴을 수작업으로 사상해서 학습데이터로 만들고 이의 분석을 통해 규칙을 구축했다. 규칙에서는 의미역 결정을 위해서 가도까와 시소러스를 이용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한일 기계번역사전을 이용하여 추출한 구문 패턴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정확률 90%, 적용율 93.5%를 얻었다.

  • PDF

Constructing a Korean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with Semantic Roles using Thesaurus and Predicate Patterns (시소러스와 술어 패턴을 이용한 의미역 부착 한국어 하위범주화 사전의 구축)

  • Yang, Seung-Hyun;Kim, Young-Sum;Woo, Yo-Sub;Yoon, Deok-H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6 no.3
    • /
    • pp.364-372
    • /
    • 2000
  • Subcategorization, defining dependency relation between predicates and their complements, is an important source of knowledge for resolving syntactic and semantic ambiguities arising in analyzing sentences. This paper describes a Korean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particularly annotated with semantic roles of complements coupled with thesaural semantic hierarchy as well as syntactic dependencies. For annotating roles, we defined 25 semantic roles associated with surface case markers that can be used to derive semantic structures directly from syntactic ones. In addition, we used more than 120,000 entries of thesaurus to specify concept markers of noun complements, and also used 47 and 17 predicate patterns for verbs and adjectives, respectively, to express dependency relation between predicates and their complements. Using a full-fledged thesaurus for specifying concept markers makes it possible to build an effective selectional restriction mechanism coupled with the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and using the standard predicate patterns for specifying dependency relations makes it possible to avoid inconsistency in the results and to reduce the costs for constructing the dictionary. On the bases of these, we built a Korean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for frequently used 13,000 predicates found in corpora with the aid of a tool specially designed to support this task. An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is dictionary can provide 72.7% of predicates in corpora with appropriate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 PDF

The Role of Semantic Representation of Verbs and In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Missing Objects in Korean Discourse (목적어 생략에 대한 동사의 의미표상 및 추론의 역할)

  • Cho, Sook-Wh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457-461
    • /
    • 2001
  • 본 논문은 동사의 의미표상과 명사의 한정성의 강호관계를 중심으로 목적어의 생략현상을 검토하였다. 한국어는 영어 같은 언어와 달리 주어, 목적어 등이 자주 생략된다. 이 연구는 한국어의 목적어 생략이 단순히 인간성 (humanness), 주체성 (agency), 한정성(definiteness) 등 명사의 의미자질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두 가지 제약이 결정적으로 작용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목적어 생략은 행동양상 (mold of agent act)과 원인 (cause)을 심층적으로 포함하는 소위 '핵심 타동사 (core transitive)'와 선행사의 한정성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구체적으로 목적어 생략은 한정성 자질을 가진 선행사가 없는 담화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제약이다. 둘째, 타동사와 명사의 한정성과는 독립적으로, 한국어의 목적어 생략은 또한, 추론에 의거하여 보다 더 적절히 해석될 수 있는 경우를 실증적으로 보이고자 한다.

  • PDF

Unsupervised Semantic Role Labeling for Korean Adverbial Case (비지도 학습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부사격의 의미역 결정)

  • Kim, Byoung-Soo;Lee, Yong-Hun;Na, Seung-Hoon;Kim, Jun-Gi;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32-39
    • /
    • 2006
  • 본 논문은 한국어정보처리 과정에서 구문 관계를 의미 관계로 사상하는 의미역 결정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한국어의 경우 대량의 학습 말뭉치를 구하기 힘들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 말뭉치를 직접 태깅하지 않고 격틀사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학습 말뭉치를 구축하고 간단한 확률모델을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모델을 학습하는 수정된 self-train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4개의 부사격 조사에 대해 평균적으로 81.81%의 정확률을 보였으며, 수정된 self-training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성능 및 실행시간에서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 PDF

『~답다』에 내재된 한국 복식 문화의 속성에 관한 연구 -두발, 화, 장신구에 표현된 성 역할을 중심으로-

  • 한명숙;하희정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94-96
    • /
    • 2003
  • 성에 따른 역할 분화는 사회적 행동의 가장 보편적인 결정적 요소이다. 모든 사회는 남성과 여성에게 서로 다른 의무와 기대를 부여한다. 이러한 의미 부여에 대한 구체적인 제한들은 문화에 의해 결정된다. 문화에 의해 결정된 성 역할은 그 사회 구성인으로서 적합한 복식 형태를 요구하거나 적어도 제안하게 된다. 현대의 복식은 자기중심적인 주장이 강하기 때문에, 남과 다르게 개성적으로 의복을 소화해내느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중략)

  • PDF

A Processing of Progressive Aspect in Japanese-Korean Machine Translation (일한번역시스템에서 진행형의 번역처리)

  • 김정인;문경희;이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85-187
    • /
    • 2000
  • 일본어에서 "てぃる"형태는 동작진행과 상태진행을 모두 나타내지만 한국어에서는 "고 있다"와 "어 있다"로 나누어 표기한다. 양 언어간의 상적인 의미 대응은 간단하지 않지만, 술부의 의미정보, 부사와 부사어의 의미정보 등을 이용하여 "てぃる"형태의 상적인 의미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てぃる"형태의 적절한 대역어 선정을 위하여, 사전 속의 모든 일본어 술어에 다섯 종류의 의미코드를 입력한다. 즉, "1:동작진행만으로 사용되는 술어", "2:일반적으로는 동작진행으로 사용되지만, 수동인 경우에는 상태진행의 형태로도 사용되는 술어", "3:상태진행으로만 사용되는 술어", "4:동작진행, 상태진행의 구별이 애매한 술어", "5:기타"등의 상적인 의미분류코드를 술어별로 입력한다. 그리고 "2", "4" 형태의 술어로부터 진행형을 구별하기 위하여 부사와 부사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uot;5:기타"등의 상적인 의미분류코드를 술어별로 입력한다. 그리고 "2", "4" 형태의 술어로부터 진행형을 구별하기 위하여 부사와 부사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여 부사와 부사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Understanding of the Elementary Teachers in Pre-service with respect to Fractional Division (우리나라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의 의미 이해에 대한 연구)

  • 박교식;송상헌;임재훈
    • School Mathematics
    • /
    • v.6 no.3
    • /
    • pp.235-24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rror patterns and sentence types in word problems with respect to 1$\frac{3}{4}$$\div$$\frac{1}{2}$ which were made by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o suggest the clues to the education in pre-service. Korean elementary teachers in pre-service misunderstood 'divide with $\frac{1}{2}$' to 'divide to 2' by the Korean linguistic structure. And they showed a new error type of 1$\frac{3}{4}$$\times$2 by the result of calculation. Although they are familiar to 'inclusive algorithm' they are not good at dealing with the fractional divisor. And they are very poor at the 'decision the unit proportion' and the 'inverse of multiplication'. So,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meaning of the fractional division as 'decision the unit proportion' and 'inverse of multiplication' and to give several examples with respect to the actual situation and contex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