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미역결정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BiLSTM 모델과 형태소 자질을 이용한 서술어 인식 방법 (Predicate Recognition Method using BiLSTM Model and Morpheme Features)

  • 남충현;장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4-29
    • /
    • 2022
  • 정보 추출 및 질의응답 시스템 등 다양한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미역 결정은 주어진 문장과 서술어에 대해 서술어와 연관성 있는 논항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입력으로 사용되는 서술어는 형태소 분석과 같은 어휘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추출하지만, 한국어 특성상 문장의 의미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언어학적 패턴을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언어학적 패턴을 정의하지 않고 신경망 모델과 사전 학습된 임베딩 모델 및 형태소 자질을 추가한 한국어 서술어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은 모델의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에 대한 성능 비교, 임베딩 모델과 형태소 자질의 사용 유무에 따른 성능 비교를 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한 신경망 모델이 92.63%의 성능을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PropBank 및 세종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을 위한 도구 (Annotation Tool for Construction Korean PropBank and Sejong Semantic Tagged Corpus)

  • 한대용;최한길;이정국;김종대;박찬영;송혜정;김유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2년도 제2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5-39
    • /
    • 2012
  • 의미역 결정에 있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는 필수적이지만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는 영어나 중국어와 같은 언어에 비하여 구축이 미비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미 분석을 위한 한국어 Proposition Bank(이하 PropBank)와 세종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의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도구는 문장 성분의 의존관계를 이용하여 주어진 술어에 대한 논항을 찾아주고, PropBank 프레임 파일과 세종 용언 격틀 사전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능률적으로 한국어 PropBank와 세종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단어의 의미 파악에 관여하는 음운 정보의 역할 (The Role of Phonology in Access of Semantic Information)

  • 박권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7년도 제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05-512
    • /
    • 1997
  • 문자로 표기된 단어의 의미를 파악 과정에 음운 정보가 개입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3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예컨대, [동닙 신문]과 [목립 신문]을 제시하고 이들이 구(句)가 성립되는지를 판단케 한 실험 1에서는 [동닙 신문]을 "독립 신문"으로 오판한 확률이 [목립 신문]을 "독립 신문"으로 오판한 확률보다 낮았다. [국립]과 [공립] 그리고 [궁닙]과 [공립]을 각각 차례로 제시하고, 두 번째 제시된 단어("공립")를 명명하는 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실험 2에서는, 앞서 제시된 [궁닙]이 뒤에 제시되는 [공립]의 명명을 다소 용이하게 하였지만 그 정도는 미미하였으며, 앞서 제시된 [국립]이 [공립]의 명명을 촉진시킨 것에 크게 못 미쳤다. 실험 2에서와 동일한 자극 재료에다, 명명과제 대신 어휘판단 과제를 이용한 실험 3에서는 "국립"과 동음인 비단어 [궁닙]이 [정립]보다는 [공립]의 인식을 촉진시켰지만, [국립]이 [공립]인식을 촉진시진 정도에는 크게 못미쳤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음운 정보는 의미 파악에 부수적인 도움 정도만 제공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 PDF

칼라 역 해프토닝에서 새로운 모아레 패턴 평활화 방법 (A New Smoothing Method for Moire Patterns in Color Inverse Halftoning)

  • 한영미;김민환;김종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53-15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해프톤 패턴의 간섭현상으로 발생하는 모아레 패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모아레 패턴 평활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모아레 패턴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그 세기에 따라 평활화 정도를 적극적으로 조정해 주기 때문에, 모아레 패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경계나 텍스쳐 같은 의미있는 고주파 성분도 잘 보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법과 달리 퓨리에 변환과 같은 추가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리 만들어진 테이블을 참조하는 과정만으로 모아레 피크의 세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연산 시간 측면에 서로 효율적이다. 제안한 방법은 칼라 인쇄물을 다루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지방 자치 단체와의 안전 규제 역할 분담 방안 연구

  • 안상규;육동일
    • 원자력산업
    • /
    • 제23권6호통권244호
    • /
    • pp.57-71
    • /
    • 2003
  •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분권화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청으로 모든 부문의 주요과제가 되고 있다. 분권화의 핵심은 행정 권한과 역할의 지방 분권화를 의미하며, 지방 분권의 수준은 무엇보다도 행정 기능과 사무 배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지금까지 원자력 안전 규제 기능은 중앙 정부가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향후 중앙 집권화된 규제 기능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또 효과적으로 지방 정부에 이양하느냐가 원자력 안전 규제 제도의 최적화에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간 원자력 안전 규제 기능의 합리적$\cdot$효과적 배분을 위한 원칙과 기준, 유형과 모델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적실성 있는 기능 분담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 PDF

댐-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 하천 선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lected by management streams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dam-reservoir)

  • 최용훈;이관재;박상준;정연지;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5-265
    • /
    • 2023
  • 유역모형을 통해 우심하천을 제시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배출부하량 자료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오염원별/오염물질별 수질 관리가 요구되는 하천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우심하천을 선정하였다. 적용 유역은 한강 수계에서 가장 복합한 댐 유역인 충주댐 유역으로 결정하였다. 충주댐 유역의 소유역별 배출부하량을 활용해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 (Stream Total Loads, STL로 명명)은 임의의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소유역의 배출부하량 합계를 면적 합계로 나누어 산정하는 방법이며, 임의의 하천 지점에서 상류의 모든 소유역이 포함된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유역 전체의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로 표현되며, 유역 전체의 STL보다 높은 소유역이 연결된 하천을 댐 호소 관점에서 볼 때 관리가 필요한 하천이라 할 수 있다.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점오염원-BOD 0.617 kg/km2/day, 점오염원-TP 0.038 kg/km2/day, 비점오염원-BOD 2.909 kg/km2/day, 비점오염원-TP 0.237 kg/km2/day로 산정되었다. 점오염원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창리천, 장평천, 지장천하류 등 15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창리천, 주천강상류 등 20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제천천하류 등 13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주천강상류 등 16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배출부하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배출부하비는 BOD 82.5%, TP 86.2%로 점오염원보다 높았다. 따라서 우선 관리 대상 하천은 TP 비점오염원, BOD 비점오염원, TP 점오염원, BOD 점오염원 순으로 계획될 필요가 있다. 향후 유역 모델링을 수행하고, STL 산정 결과와 비교하여 우심 하천 선정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 PDF

한국어 PropBank 프레임 파일 확장 도구 설계 (A Design of Frame File Extension Tool for Korean PropBank)

  • 이정국;김유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1년도 제2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26-12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PropBank의 구축을 위한 동사의 프레임 파일 확장 및 구축에 대한 연구를 논한다. 문장 단위의 의미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의미 역 결정을 위해서 필요한 언어자원중, PropBank는 동사의 술어-논항 구조를 태그해 놓은 말뭉치로써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자원 중 하나이다. PropBank는 크게 술어-논항 구조를 태그한 말뭉치와 개별 동사들의 논항 구조를 기술한 프레임 파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어 PropBank 구축을 위해서는 구문 표지 부착 말뭉치에 술어-논항 구조의 표지 부착 작업 및 한국어 동사의 프레임 파일의 구축 및 확장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세종 계획에서 발표한 용언 격틀 파일을 사용하여 기존의 한국어 PropBank 프레임 파일을 확장하는 도구를 설계하였다.

  • PDF

사례 연구를 통한 분수 나눈셈의 연산 감각 분석 (An Analysis of Operation Sense in Division of Fraction Based on Case Study)

  • 방정숙;이지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1호
    • /
    • pp.71-91
    • /
    • 2009
  • 본 논문은 기본적인 계산능력이 뛰어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분수 나눗셈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산 감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분수 나눗셈의 다양한 의미와 모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분수 나눗셈 알고리듬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연산의 의미와 성질을 어떻게 응용하는지에 대해 임상 면담을 통해 면밀하게 탐색하였다. 구체적인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연산감각의 구성요소별로 두 학생의 질적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연산 감각 자체를 보다 집중적으로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

9.11 테러와 이라크전에 미친 정보의 역할, 실패원인 (Government position, failure causes over 9.11 terror, Iraq war)

  • 백종갑;박준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13호
    • /
    • pp.207-234
    • /
    • 2007
  • 본 연구는 경찰서 유치장에 구금되어 있는 유치인들의 인식분석을 통하여 유치장의 시설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1-2003년 발생한 9.11테러와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서 나타난 정보의 역할 및 실패원인을 이해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정보는 국가안보달성의 주요 수단이 되며, 시기적절하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은 정책결정자의 정책판단에 기여한다. 즉 정보는 적시성과 정확성을 바탕으로 정책결정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정보가 이와 같은 적시성과 정확성을 상실할 경우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이는 결국 정보의 실패로 이어지게 된다. 9.11테러와 이라크 전쟁이 관련한 미 정보공동체의 정보활동은 부정확한 정보가 주는 실패의 사례를 보여주는 사태였다. 과학화된 첩보수단과 방대한 정보조직을 운영하면서도 부정확한 테러정보와 이라크에 대한 수집수단의 부재, 정보생산자의 편견, 그리고 정책결정자의 압력에 의한 정보의 왜곡은 정보의 정확성을 상실하게 하였으며, 결국 이러한 현상은 정보의 실패로 이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이와 같은 일련의 내용에 대한 문제를 바탕으로 9.11테러와 이라크전에 관련된 정보의 역할 및 정보의 실패원인을 살펴보게 되었다. 9.11테라와 이라크전은 분명히 정보기관의 실책에서 비롯된 ‘정보적 실패’로 규정될 수 있겠지만, 이라크 대량살상무기에 관한 정보판단의 왜곡은 정보공동체의 실책이상으로 부시 대통령과 핵심관료들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정보를 조작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정보의 역할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우선, 정보는 그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집, 분석 능력을 강화해야하며, 정보가 객관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특히 정책결정자들의 압력에 의한 정보의 왜곡은 정보의 효율적 산출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9.11테러와 이라크에 관련된 미 정보기구의 활동을 바탕으로 정보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그 의미와 발전 방향 및 개선점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 PDF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경제지리적 결정 요인: 충청남도를 사례로 (Economic Geographical Determinant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conomy: A Case Study of the Chungnam Province)

  • 이홍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52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리적 결정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은 경영활동의 지속뿐만 아니라 당초 설립목적이었던 사회적 가치 추구의 지속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경제지리적 요인에 주목하고 이론적 고찰 및 사례 연구를 통해 측정 지표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경제지리적 요인으로 4개 분야(지역네트워크, 중간조직, 지역공동체문화, 공공의 역할)에 20개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지속가능성 측정지표로 2개 분야(사회적 가치 추구의 지속, 경영활동의 지속)에 10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193개의 기업조사를 통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역네트워크 요인', '중간조직 요인', '공공의 역할 요인'이 사회적 가치 추구의 지속가능성과 경영활동의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별기업 지원에 집중된 정책에서 탈피해, 사회적경제의 경제지리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