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론적 토대주의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폐리의 지표성

  • Kim, Han-Seu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107-134
    • /
    • 2003
  • 지표성은 두 가지 다른 철학적 관심에서 연구되어왔다. 하나는 지표어가 어떤 방식으로 그것이 지시하는 바를 지시하는가를 이해하는 의미론적 관심이고, 다른 하나는 지표어가 인식체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행위 이론적 관심이다. 페리가 여러 문헌을 통해서 관심을 가져왔던 문제는 이 두 가지 철학적 관심을 모두 만족시키는 통일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두 관심사가 서로 구별된다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으며, 왜 하나의 이론에서 함께 다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논변도 제시되지 않았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페리의 해결책은 의미론적인 것이고 는 이를 통해 행위이론의 문제도 함께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의미론적 해결책은 여러 가지로 변화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 모두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페리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근원은 필자가 '의미론적 토대주의'라고 부르는 입장을 페리가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의미론적 토대주의를 처음부터 포기하는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제안이다.

  • PDF

Eliminativism and the Cognitive Suicide Argument (제거주의와 인지적 자살 논변)

  • Back, Do-H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4 no.4
    • /
    • pp.65-70
    • /
    • 2003
  • In this article, I show that the cognitive suicide argument does not succeed in refuting eliminativism. The argument misses an important aspect of eliminativism. In Sec. 3, the last section, I will suggest the aspect of eliminativism and, on the basis of it, will develop my criticism against eliminativism.

  • PDF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Trends and Implications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 동향과 의미)

  • Kim, In-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9 no.1
    • /
    • pp.275-300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and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The results are follows. At present,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s entering in the quickening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configuration of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are overwhelming inferiority in post-positivism and heuristics, wide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 and in local area at the aspect of amounts of qualitative research products, rapid increase in the interests of qualitative research in doctoral candidates, and distinguishment of doctoral candidates as a leader group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critics of qualitative researches are follow: 1) initiative of naturalistic interpretism 2) inclination of methodicism 3) poorness of critical themes 4) propensity in grounded theory. These trends of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in spite of the limits, have various implications: 1) Trying to critics of social welfare knowledge based on positivism and formation of opposing discourse to positivism 2) diversification in paradigm of inquiry 3) spread of narrative thinking of social welfare phenomenon.

  • PDF

An Epistemology of Geomorphology and An Ontological Approach to Geomorphology Education (지형 지식의 인식론적 특성과 존재론적 지형 교육)

  • 송언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3
    • /
    • pp.262-27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particular approach to geomorphology education based on an epistemology (anti-realist of geomorphology knowledge. Anti-realist epistemology of geomorphology may be characterized by the belief that (1) geomorphology knowledge is made or constructed rather than discovered, (2) knowledge construction begins with the perception of meaningfulness of the landform, and (3) it means recognizing the given land in terms of shape or form; (4) the construction is, in other words, a subjective or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by the perceivers; (5) knowledge develops along with the hermeneutic circles. Aims of geomorphology education according to this epistemology, may be (1) to have children not so much construct geomorphology knowledge as live the very construction, (2) to have children maintain an enduring interest in their surrounding landform, and (3) to have them appreciate the intimate connections between the landform of a region and the modes of living in that region. In short, aims of geomorphology education may have to be ontological, i.c., to have children engaged in the understanding as a process of living rather than for the resulting knowledge.

Physicallism, Supervenience, and Eliminativism, on Theory of Mind-Body Relation (마음의 상실과 회복의 전망 : 물리주의(수반이론, 제거주의)에 대한 유가적(儒家的) 비판)

  • Lim, Heon-gyu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32
    • /
    • pp.215-244
    • /
    • 2008
  • This article's aim is to criticise ontological physicallism, supervenience, and eliminativism on theory of mind-body relation, and to present Confucian theory of mind-body relation as an alternative. Confucianism on theory of mind-body relation. Ontological physicallism reduce 'the psycho' to 'the physical'. Therefore, Physicallism as theory of mind-body relation reduce mind to physical body. Mind-Body supervenience theory insists property co-variation and dependency of mind-body. Eliminative materialism is to eliminate 'the psycho'. But confucianists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heart & it's nature. Confucianism is to establish the mina-heart & it's nature as real. Confucianism can be an alternative of physicallism, supervenience, and eliminativism on theory of mind-body relation. And Confucian's opinion differs from theory of the substance and phenomenalism.

The Korean Nationalis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Focusing on and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한국 민족주의적 특성: <공동경비구역 JSA>와 <한반도>를 중심으로)

  • Ryu, Jae-Hyu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9
    • /
    • pp.116-137
    • /
    • 2012
  • What is 'nation' and 'nationalism?' What does 'korean nationalism' mean? And how is korean nationalism represented through a chain of films called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have been studied for quite a long time and the researchers have agreed with the context about nationalism in a large sense. However, majority of the studies ends up in the journalistic or impressionistic criticism without any theoretical discussion. Few theoretical criticisms also have founded on the formation process of nation of the Western Europe and their nationalism. Hence I would like to add the discourse of korean nationalism and to seize more accurately the social/cultural/historical peculiarity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In addition, as non-nationalist narratives have recently emerged, korean blockbuster films are entering to the evolution process.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seems to exist in providing a cornerstone to the expected evolution theory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by means of complementation and reestablishment of nationalism of their first generation. and , presenting socio-historical peculiarity of the Korean nation, are examined by the close textual analysis.

  • PDF

The symbolic signs in Ontology and its philosophical development (주자 천도론의 상징부호와 철학적 전개)

  • Kang, jinseok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23
    • /
    • pp.393-421
    • /
    • 2008
  • This thesis has an intention to reorganize the topic of Ontology that has not unnoticed, investigating the symbolic signs of Zhuxi. The symbols in Ontology visualize in an anthropomorphic form or a form of animals that we can usually find in the nature. The visible symbols have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rather than the stillness. The symbols of human and a horse have developed as different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the relative importance. The movement of stream symbolize the Movement of Daoti that manifests thorough all things in the Dao and have a structure of 'Ti-Xiang-Yong'. The Substance of Metaphysics embodies an action thorough 'Metaphysics' or 'with Metaphysics'. Accordingly, 'a stream' symbolizes 'the Movement of Daoti' in that it manifests the form of Daoti makes body. A kite and a fish symbolize the form of a kite flies up into the sky and the shape of a fish plays in the pond. These not only represent an outlook on the world, but also symbolize the stage of the Movement of Daoti. 'Human', 'a stream', 'a kite' and 'a fish' include activeness, domination, dynamics, manifestation, visibility, naturalness.

Film Acting Studies of S. Eisenstein (에이젠슈테인의 영화연기론)

  • Chough, Song-Duk;Kim, Jong-Guk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5
    • /
    • pp.177-195
    • /
    • 2016
  • This article analyzes Sergei Eisenstein's acting theory, which is famous for his Russian montage. According to the existing discussions, he avoids the psychological realism through the concept of cut acting. It is a method like montag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practice of the cut action is segmented into shots. While Vsevolod Pudovkin, who asserts a connection montage, is looking for performance to portray a gradual change of emotion adopted by Konstantin Stanislavsky's psychological realism, Eisenstein prefers the acting of Vsevolod Meyerhold's mask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llision montage. This article traces the viewpoints on acting and actor that Eisenstein posed throughout his montage theory. It focuses on Film Sense(1942) and Film Form(1949), which are a collection of articles written by Eisenstei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centering on Korean and English, it is hard to find the discussions on the analysis of Eisenstein's acting theory. Almost all of them are concentrated in his montage, among which the mention of acting is extremely limited. The cut acting, the typage, the inner techniques and processes of actor that express and induce the living emotions, and the acting of the integrating into diversity as one of the inner language are useful concepts in the creation and case analysis of contemporary films. Especially, his acting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creation process of cartoons, webtoons, and animations which can meet the most decisive and impressive montage technique of Eisenstein. It is also possible to find many related cases for the analysis. This is why I look back on Eisenstein's film acting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will be a sufficient foundation for the derivation of related research.

Considerations on Wolfgang Weingart's Typography based on Syntactic Characteristics (볼프강 바인가르트의 구문론적 특성에 의한 타이포그래피 고찰)

  • Huh, 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7
    • /
    • pp.86-93
    • /
    • 2012
  •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in modern typography is based on the era of International Typographical Style and Modern Typography that valued morphological functionality and rationality to achieve an accurate conveyance of meaning. However, with the advance of postmodernism, the view that the aesthetic and conceptual aspect must be included in its interpretation rather than its rational functionality was prominent. Indeed, the works of Dan Friedman and April Greiman, two graphic designers that are known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post-modernistic era, displayed that graphic design works can also serve as a method for a more free artistic expression, unlike works of Modern Typography. This move towards aesthetic graphics was first started by Wolfgang Weingart. His various attempts at expanding the concept of typograp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New Wave and his experimentalist attitude brought about a ground-breaking change to the functional design and formative expression of modern typography. However, this thesis will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ographical designs displayed in Wiengart's works and the experimental methods thereof, and will not attempt to evaluate Weingart's pioneering role and achievements. Furthermore, this thesis will shed new light on the argument that the Weingart's works are not based on the authorship view of post-modernistic typography and are rather utilized to expand the concept of typography based on a syntactical approach.

Sprachtypologische Fehleranalyse - Im Vergleich der deutschen und koreanischen Sprache - (독일어와 한국어를 비교한 언어 유형적 분석)

  • Park Jin-Gil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7
    • /
    • pp.1-24
    • /
    • 2003
  • 우리는 지금까지 독일어와 한국어 두 언어간의 오류분석을 논의해 왔다. 특히 언어유형학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오류유형과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독일어와 한국어가 서로 근본적으로 상반되는 언어현상과 더불어 약간의 공통성을 나타내며 일정한 유형을 나타낸다. 이는 두로 인간의 언어습득장치에 기인된 언어습득의 결정주의(Determinismus)에서 비롯될 것이다. 언어특성/문제의 체계성/규칙성 또는 일관성은 이를 반영한다. 거대한 언어자료 중에 극히 미미한 일부, 즉 언어최소량를 정복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연구 이용하는 경우에는 엄청난 효과와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 독일어와 한국어의 학습 및 오류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언어유형학적으로 드러난 언어특성, 즉 전치성(독일어/영어)과 후치성(한국어)이다. 이를 토대로 형성된 대립적인 면과 공통적인 문제를 체계화하는 것이 역시 오류분석 문제의 관건이다. 또한 독일어가 아직 후치성 언어(한국어(TXV))에서 출발해서 전치성 언어(영어(SVX))로 발전/변화해 가는 과정, 즉 중간단계인 TVX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그들의 대극성과 유사성을 연결하는 실마리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일치(Kongruenz)/상관(Korrelation) 및 반복(Wiederholung) 현상, 그리고 격변화와 인칭변화 현상은 어순문제와 더불어 형태론적 문제를 통해 문법적인 확인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대부분 체계적/구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학습자는 흔히 같은 유형에서 반복적으로 오류를 범하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언어 유형학적 오류분석을 이해하고 또한 이를 통해 오류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3) 명사가 한정사구 안에서 성/수/격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동사가 동사구에서 주어의 인칭/수에 따라 인칭변화 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현상이다. 이는 양면적인 수식구조에 대한 확인수단 및 원자가에 의한 강력한 형식위주 언어인 독일어와 전위적인 단일 수식구조와 부정형 동사를 특성으로 형성된 핵/최소문 언어간의 필연적인 적응관계 및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유형 역시 언어특성에 따라 도식화/공식화 할 수 있다. (4) 괄호현상, 즉 으뜸머리(Hauptkopf)가 버금머리(Nebenkopf)와 분리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언어현상이다. 한국어에는 머리의 이동이 없기 때문이다. 긴 구문에서 버금머리를 잊어버리거나 실수하는 것은 모든 괄호구문에서 예견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는 정치성과 후치성 언어간의 전이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으뜸머리가 원래의 자리를 박차고 소속 구/문의 앞자리로 도약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5) 전치 및 후치 수식이 유동적으로 작용하는 독일어는 전치 수식만으로 고정된 한국어보다 복잡하지만 균형적인 언어구조이다. 이러한 수식구조에서 한국인은 흔히 형태 및 어순에서, 그리고 번역에서 오류를 범하고 만다. (6)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아는 것을 제대로 이용하는 문제이다. 모국어/L2를 자유로이 말하고 쓸 때까지, 즉 언어습득에는 일체이 문법이나 도표/도식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17세기 서구의 이성주의 철학자들의 한결같은 경고이다. 오늘날 초고속 과학문명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한 언어 속에 들어있는 문법체계를 익혀 가는 것이 곧 언어습득 과정이지만, 이를 달성하는 가능성 내지 첩경은 실제적인 언어자료와 체험이지 결코 문법이나 추상적인 개념적 접근이 아님을 웅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핵심적인 문제는 모국어교육에서도 최대 장점인 대화를 통한 언어연습/대화 기회를 최대한 보장하는 데 있다. 또한 언어간섭 현상을 조장하는 분위기를 막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수법 개발이 외국어/L2 성공의 관건일 것이다. (7) 언어학습에서 오류를 극복하는 데는 일차적인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 대화적인 연습, 그리고 효과적인 언어자료 접촉, 즉 독서와 모방이 중요하다. 이차적이고 직접적인 것은 통사(Syntax) 및 형태론(Morphologie)를 익힐 수 있는 말/문을 끊임없이 익히는 일이다. 이것이 또한 언어최소량을 충족시켜 언어습득에 이르는 첩경이다. 자연 생태적인 모국어 학습 또는 조정 및 제도적인 언어학습에서도 실제상황에 어긋나는 문법적인 체계에 얽매이는 도식 및 도표 위주의 텟스트는 일시적인 기대일 뿐이다. 인간의 언어습득장치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문법적인 개념위주 접근은 상당한 설명이 필요해서 절박한 자료와 체험까지 앗아가기 마련이다. 더구나 이를 위해 수준을 무시하고 모국어로 일관하여 벙어리와 문맹을 자초하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다. 지식 정보화 시대 및 세계화 시대에는 무엇보다도 교육 및 언어정책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다. 특히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학습능력과 학습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에게 말하고 쓰는 기본 능력을 보장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한 작업의 하나가 바로 언어간의 오류분석일 것이다. 언어의 습득과 활용이 체계적이듯이 오류분석 역시 상당히 체계적이다. 그래서 인간의 언어습득과 언어습득장치를 두고 결정론(Determinismus)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언어습득의 3대 요소, 즉 언어습득장치를 구비한 인간으로 태어나고, 해당 언어를 통한 일관된 언어체험/학습으로 언어최소량을 충족해야 한 언어를 정복할 수 있다는 것은 결정적인 사실이다. 학생고객에게 다가서는 책임교육으로 교육개방에 대비하는 일 역시 시대적인 상황이요 또한 결정적인 단계임엔 틀림이 없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