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구역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ummarizing relevant web pages based on semantic region (의미 구역에 기반한 관련 웹 페이지 요약 기법)

  • 이시은;황인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97-599
    • /
    • 2003
  • 웹 상의 정보는 여러 페이지들에 걸쳐 표현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 단위로 정보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웹 페이지들을 방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검색해 여러 페이지 상에 흩어져 있는 정보들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컬렉션 페이지를 제공한다. 컬렉션 페이지는 검색된 웹 페이지들의 링크 관계를 제공하여 페이지들 사이에서의 정보의 구성을 알 수 있게 하고, 관련도 높은 페이지들의 주요 내용을 미리 가져와 보여 줌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 이를 위해 페이지 안에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동일한 주제의 정보를 담은 블록을 의미 구역으로 정의하고 웹 페이지를 실제 정보의 단위인 의미 구역으로 나누었다. 또한 의미 구역단위의 검색으로 여러 주제의 정보를 담고 있는 웹 페이지에 대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인다.

  • PDF

Building Knowledge Graph of the Korea Administrative District for Interlinking Public Open Data (공공데이터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행정구역 지식 그래프 구축)

  • Kim, Hakl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2
    • /
    • pp.1-10
    • /
    • 2017
  • Open data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making efforts to open government data. However, despite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public data, the lack of data is still pointed ou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data sharing and utilization by semantically linking public data. First, we propose a knowledge model for expressing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ir semantic relationships in Korea. An administrative district is an administrative unit that divides the territory of a nation, which is a unit of poli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e knowledge model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ines the structur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units based on the Local Autonomy Act. Second, a knowledge grap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s introduced. As a reference information to link public open data at a semantic level, some characteristics of a knowledge graph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methods for linking heterogeneous public open data and improving data quality are addressed. Finally, some use cases are addressed for interlinking between the knowledge grap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ublic open data. In particular, national administrative organisations are interlinked with the knowledge graph, and it demonstrates how the knowledge graph can be utilised for improving data identification and data quality.

Evaluation for the Effectiveness of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in Urban Sub-drainages (도시하천 소배수구역에서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효율성 평가)

  • Kim, Chung-Soo;Kim, Hak-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29-1833
    • /
    • 2007
  • 최근 강우-유출 모형은 유역의 지형적, 물리적 상황을 최대한 반영한 입력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최종 유출지점에서의 해석 결과뿐만 아니라 해석하고자 하는 유역내의 시간적, 공간적 수문 요소 분포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물리적 이론에 기초한 분포형 수문모형을 개발하고 지속 발전시키고 있다. 분포형 수문모형은 집중형 수문모형에 비해 매개변수 갯수를 현저히 줄일 뿐만 아니라 실지 지형자료에 입각한 매개변수 선정이 가능하다. 분포형 지형자료와 강우자료로부터 추정된 초기 매개변수의 값에 의한 모의가 매개변수가 개념적, 경험적 의미가 큰 집중형 모형에 비해 정확하기 때문에 미세한 매개변수의 조정만으로도 유역의 유출량을 모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닌 분포형 수문모형이 유역크기가 작고, 시간 공간적으로 지형입력자료의 변동성이 작은 도시하천 소배수구역에서의 모의 효율성 및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레이더강우를 이용한 분포형 수문모형으로서 미국 University of Oklahoma에서 개발한 $Vflo^{TM}$을 사용하여 중랑천 유역의 3개 소배수구역(월계1 배수구역, 군자 배수구역, 어린이대공원 배수구역)에서 유출 모의를 수행하였다. 각 소배수구역 특성별 모의 결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하천 소배수구역에서의 유출 모의 및 분포형 수문모형 선정에 적절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gional Transformation in 'Myeon' Administrative District adjacent to Urban Area (도시주변 면단위 행정구역의 지역 변화 -전라북도 조촌면을 사례로-)

  • Cho, S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1
    • /
    • pp.59-7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gional transformation in the lowest level administration district(Myeon). The major factor of regional transformation is the change of geographical range, identity of place nam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gional center. Jo-Chon Myeon as a sample study region is located in near Jeon-Ju city. The large and dynamic city in neighbor is strong influenced to the change of geographical range. But the place name has Identity in spite of the regional change. The formation of new regional center is influenced by new road, rail road and station, japanese large farm, administration office in this district.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Walk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Apartment Housing Rental Prices using Multi-Level Model (다수준모형을 이용한 보행친화적환경이 공동주택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

  • Seo, Minjung;Choi, Y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5
    • /
    • pp.905-914
    • /
    • 2017
  • We examine 554 state basic districts and 1832 household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see whether the physical and walkable characteristics of housing influence apartment housing prices. We use two-level models modeling for a more accurate analysis. Walkable characteristics in level 2 state basic districts potentially explain 77% of the variation in housing values, with the highest impact on crime safety characteristics. Overall, our spatial multi-level analysis based on new state basic districts in Korea explained price variation better than previous studies, which considered each householder. The results provide policy opportunities for planners and citizen groups to pursue strategies that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walkable and sustainable neighborhoods.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 Jung, Kyoungwon;Park, Moo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6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율운항선박 관제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김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28
    • /
    • 2023
  • 오늘날 자율운항선박의 성능시험이 관제구역 내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국제항로표지협회(IALA)에서는 자율운항선박 관제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고 있으며 외국의 사례를 고려하였을 때 자율운항선박의 성능시험 단계부터 VTS의 참여 및 개입은 해상교통안전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관제구역 내 해상교통안전을 도모하고 비상 상황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자율운항선박을 고려한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Representation of Male Character and Cinematic Space in 2000s Korean Division Films -Focusing on the , , (2000년대 분단영화의 남성인물 관계 및 공간 표상 -<공동경비구역 JSA>, <의형제>, <공작>을 중심으로)

  • Yoo, Jae E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213-222
    • /
    • 2019
  • This article aimed at change patterns of representations of male character and cinematic space in 2000s korean division films. The concept of division film is the unique particularity film in the narrative and representation about Korean division. The Gancheop is the special character of korean films and have been reproduc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past, Korean films have been dealt with Korean Civil War and 'special nature' of inter-korean ties. But in the 2000s, the representation of Gancheop in films has begun to change and filmed in a variety of genres such like comedy, thriller, romance and so on. , , are consistent with close relationship of male characters. The relationship is represented as friend, brother, partner. The meaning of these changes symbolizes our concept of national unification.

Evaluation of Coastal Nightscape of Yeong-Do (영도해안의 야간경관평가 연구)

  • Lee Han-Seok;Lee Myung-Kwon;Oh Sang-Bae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9 no.3 s.99
    • /
    • pp.283-29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astal nightscape of Yeong-Do in Busan in order to make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coastal nightscape. Firstly the coastal area of Yeong-Do has been divided into 8 nightscape sections. And then the nightscape images of each section have been evaluated by volunteer subjects through SD(semantic differential) analysis method.

Evaluation of Coastal Nightscape of Yeong-Do (영도해안의 야간경관평가 연구)

  • Lee, Han-Seok;Lee, Myung-Kwon;Oh, S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9 no.1
    • /
    • pp.333-34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astal nightscape of Yeong-Do in Busan in order to make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coastal nightscape. Firstly the coastal area of Yeong-Do has been divided 8 nightscape sections. And then the nightscape images of each section have been evaluated by volunteer subjects through SD(semantic differential) analysis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