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 치수체계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2초

비만여성의 의복치수체계 연구 (A Study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Korean Obese Women)

  • 이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79-1990
    • /
    • 2009
  • 본 연구는 20세 이상 비만여성을 위한 의류치수체계를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2003~2004년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의 원시자료 중 선행연구에 의해 의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만판정지수 및 비만판정용 측정치 7개 항목(Rohrer지수, Vervaeck지수, BMI, 상대체중, 허리둘레, WHR, 젖가슴둘레) 중 5개 이상의 비만판정도구에서 비만으로 판정된 4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수체계 제안에 앞서 2,212명의 성인여성 전체의 인체치수와 499명의 비만여성의 기초통계치수를 제시한 결과, 키 등의 높이항목 전체와 키와 상관관계가 높은 몇몇 길이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치수항목 즉, 둘레항 목, 두께 및 너비항목 등에서의 인체측정치가 크고, 비만판정지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류의 치수체계 제안을 위해 젖가슴둘레, 엉덩이둘레, 키가 기본신체부위로 선정되었으며, 하의류의 치수체계 제안을 위해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가 기본신체부위로 선정되었다. 치수체계 제안을 위한 교차분석표에서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 둘레항목은 3cm 간격과 5cm 간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으나 키는 5cm 간격으로만 한정하였다. 두 치수간격 중 보다 높은 커버율과 커버효율을 보이는 치수간격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분포율도 전체 비만여성의 1% 이상, 2% 이상 및 3%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포율별로 커버율과 커버효율이 높은 치수구간을 선정하였다. 상의류와 하의류 치수체계 모두에서 3% 이상의 사용자 분포율을 보이는 5cm 치수간격이 가장 높은 커버효율을 나타냈으므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상의류를 위한 치수호칭으로 10개, 하의류를 위한 치수호칭으로 9개를 제안하였으며, 각 호칭별로 기본신체부위의 평균 인체측정치와 참고신체부위의 평균 인체측정치를 제공하여 호칭별 의류제품의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대 여성의 기성복 바지 맞음새와 하반신 체형인식에 관한 연구

  • 김현아;천종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0-52
    • /
    • 2004
  • 소비자의 기성복 착용은 이미 보편화되어 있지만 일정한 치수체계에 맞추어 생산, 유통되는 기성복은 치수체계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해당치수체계의 범위에 속하지 못한 소비자들은 자신에게 잘 맞는 치수의 기성복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20대 여성의 체형은 과거의 체형과는 많이 달라진 양상을 보이지만 국내 의류업체의 바지 치수규격은 여전히 한정된 치수만을 생산하고 있어 20대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바지의 생산범위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중략)

  • PDF

고등학교 남자 사이클 선수의 상반신 유형 분류에 따른 선수용 사이클 웨어 상의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zing System of Cycling Wear Top for Athlete depending on Upper Body Type for High School Male Cyclists)

  • 박현정;도월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39-1153
    • /
    • 2020
  • Upper body types were classified to develop the sizing system of the cycling wear top for the high school male cyclist. The research methods were performed using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111 high school male cyclists that included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ype 1 (23.4%) has the longest biocromion length, is the tallest of the three types and a proper body type. Type 2 (25.2%) has the largest weight and developed muscles in the chest parts. Type 3 (51.4%) is the shortest of the three types and is a skinny body with a bending back. In order to develop a sizing system, the 1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selected for correlation analysis. The bust circumference and stature were presented as the control dimensions of sizing system. The waist front, waist back length and biacromion length were less correlated with other items; consequently, they were independent items and were set as referable dimensions. Therefore, it was proposed as a sizing system because the 5 cm of bust and 5 cm of stature have a high coverage by body type. The total coverage rate was 81.9%.

성인 남자 의류 치수체계 개발을 위한 신체 치수 및 체형 분석 (제2보) (Analysis of Men's Body Sizes for Garment Sizing System (Part II))

  • 강여선;성화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7-25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n's garment sizing system, based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called 'SizeKorea', which was surveyed between 2003 and 2004. The number of the survey subjects was 3,215 of males, who were from 18 to 69 years old. In the results, body types were assorted by drops, consisting of 4 upper body types and 2 lower body types. Height, chest, waist and hip were selected as the key dimensions of sizing system and the intervals of them were decid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key dimensions, size intervals of ready-to wear clothes and sizing systems of other countries. In the results, older group or shorter height group had less differences between chest and waist as well as between waist and hip, but younger group and taller group had more differences. The size intervals for fitted jacket and coat were 3cm in chest and waist, while the intervals for fitted pants were 2cm in waist and hip. The intervals for not-fitted clothes were 5cm in chest, waist and hip, which 5 cm interval of height were applied, in all cases.

하반신마비 남성의 기성복 바지원형 및 그레이딩 연구 (A Study on the Paraplegia Men′s Ready-made Pants Pattern and Grading Method)

  • Kim, Kyung-Im;Lee, Jeon-Ra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41-1452
    • /
    • 2003
  • 오늘날 지체장애인의 수는 후천적 원인으로 인하여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훨체어를 사용하는 하반신마비자 중 성인남성을 중심으로 인체계측을 통해 적합성이 높은 바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체계측 결과 하반신마비자들은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허리둘레 및 배둘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새로운 치수체계가 필요로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자세 변화에 따른 둘레항목의 치수 변화와 피부 신축율에 의해 허리선의 변화가 고려되어 평상시의 휠체어에 앉은 자세에서 계측한 항목으로 원형이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2. 연구원형은 기성복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기준치수(98-102)를 선정하고, 원형 각 부위는 절대치로 수치화 시켜서 제시하였다. 뒤밑위길이선은 허리선에서 8cm 늘이고 앞밑위길이선은 허리선에서 6cm 줄여 앉은 자세에서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준치수의 경우 바지길이 107cm, 밑위길이 26cm, 밑위선 28cm, 엉덩이둘레선은 밑위선 위로 8.5cm, 바지부리는 10.5cm이고 외관과 기능성 평가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3. 계측 대상자 계측치를 근거로 치수의 출현율을 고려하여 연구 치수체계를 기본 신체부위인 앉은 허리둘레와 앉은 엉덩이둘레의 순으로 적용하여 총 7개의 치수로 설정하였다. 기준치수(98-102)의 연구원형을 마스터 패턴으로 하고 구체적인 원형 부위별 절대치로써 치수 차를 검토하여 연구 그레이딩 룰을 설계하였으며 기준치수 보다 작은 사이즈 88-93과 큰 사이즈 108-111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실버의류브랜드 치수체계와 KS 규격간의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the Sizing System of Silver Apparel Brands as Compared with the KS Standards)

  • 이명희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5-3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ison on the sizing system in silver apparel brands with the KS standards. For the comparison research, 3 women's wear brands(suit style, knitted suit style, casual style) which were different apparel style on occasion in madame-zone of department stores were selected.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of sizing system of these brands were the label. The results of the sizing system of silver apparel brands as compared with the KS standards were as follows: 1) For the upper wear of suit style, it is larger than KS standards that size of height is $5{\sim}15$ cm. 2) For the lower wear of suit style, suitability of size of hip circumference is lower than KS standards. 3) For the casual style, it is larger than KS standards that size of height is $10{\sim}20$ cm.

  • PDF

무진복의 치수체계에 대한 연구 (A Suggestion of Sizing System for Clean Room Wear)

  • 이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44-105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izing chart for a clean room wear. 3 control dimensions(Stature, Bust girth, B.N.P.∼Wrist point length) were chosen as 3 axes of clean room wear size chart. A loss function was used to determined intervals of stature, Bust girth and B.N.P.∼Wrist point length of size chart, because the loss function introduces the concept of frequency to size chart for better customer's size satisfaction. From the size table whose intervals had been determined by a loss function. The 4 sizes individually were suggested for clean room wear size chart by sex. The 3 sizes individually were suggested for clean room head cover size chart by sex too. The suggested size chart would be considered more feasible than present size chart. Also they are suggested supply reference measurement chart relevant to clean room wear manufacturing for 13 most frequent sizes.

  • PDF

중년 여성이 선호하는 브랜드 레깅스 치수체계 분석 (Analysis of the Sizing System of Branded Leggings Preferred by Middle-aged Women)

  • 이정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8-627
    • /
    • 2022
  • This is a basic study to recommend a legging sizing system suitable for middle-aged women.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analyze the sizing system of branded leggings for middle-aged women. Therefore, 40 pairs of leggings from 20 brands preferred by middle-aged women were first selected to compare their sizing systems. Thus, it was found that the size distribution of legging brands varied significantly, and the number of sizes or the size deviation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brands or products. Second, the adult female age groups were classified as 18-24 years, 25-34 years, 35-44 years, and 45-59 years. Additionally, the distribution of the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by age group was compared with the size specifications of the leggings. Leggings with large differences between size specifications and body size distribution were identified in each age group. In the case of women aged 45 to 59, the size distribution suitability of branded leggings was found to be the lowest among the four age groups.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e body size distribution, especially the waist circumference, to establish a legging sizing system suitable for women aged 45 to 59 years.

20대 남성의 의류 치수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ppeal Sizing System of Males in Their Twenties)

  • 석혜정;김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57-17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body types of males in their twen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body types of males by classifying them into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ways that can help improve the fit and coverage rate of ready-to-wear clothes by developing an apparel sizing system according to body types. 297 male subjects in their twen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54 anthropometric and 35 photographic measurements were taken from each subject. After combining the body types of the front and the side into a whole body, we selected typical body types out of the combinations. It is shown that 84.64% of males in their twenties belong to the HI type, H/equation omitted/ type, X/equation omitted/ type, Xl type, Yl type, and HS type. To develop a new size system of clothes, the distribution of sizes was determined by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basic parts of each body type. Then, the most optimal sizes were selected separately for each body type to maximize the coverage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