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상품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7초

스마트 의류 상품 기획을 위한 감성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Consumer Emotion for Product Planning of Smart Clothing)

  • 조현승;김정호;구혜란
    • 감성과학
    • /
    • 제17권3호
    • /
    • pp.49-56
    • /
    • 2014
  • 기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의류에 대한 감성 요인을 분석하여 종래 의류와의 감성 차이를 비교하고 제품과 의류 간의 융합으로 인한 소비자 감성의 변화를 고찰하는 한편 스마트 의류와 종래의 의류 간의 선호도 및 구매의사 차이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감성을 만족시키는 소비자 중심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상품기획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스마트 의류에 대한 감성 요인은 총 6개의 요인으로, '테크니컬한', '컴포트한', '심미적인', '모던한', '펀', '복합적인' 감성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중 '컴포트한'을 제외한 5개의 감성 요인에서 종래의 스포츠, 캐쥬얼 의류와 스마트 의류 간에 유의미한 감성 차이를 보였다. 또한 스마트 의류와 종래 의류 간에 선호도는 스마트 의류가 약간 높았던 반면, 구매의사는 종래의 의류보다 스마트 의류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선호도가 소비자의 즉각적인 구매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좀 더 다양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스마트 의류 개발과 상품화 전략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마트 의류 개발 및 상품화에 관한 자유 응답식 설문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심박, 심전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헬스케어용 스마트 의류 뿐 아니라 신체 동작으로부터의 에너지 수확 기능, 발열과 발한 기능, 운동량 측정 및 칼로리 소모등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 의류 개발에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향후 스마트 의류의 개발 지침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의류상품의 인터넷 쇼핑에 관한 연구

  • 고은주;황승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권
    • /
    • pp.203-234
    • /
    • 1998
  • 본 연구 목적은 인터넷 쇼핑의 현황(구매품목, 횟수, 동기, 결제 방식, 가격, 카달로그 이용여부)을 조사하고, 인터넷 쇼핑의 구매자와 비구매자의 특성(인터넷 사용 관련 사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하며,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을 조사하여,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과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으로서 편의 추출된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매 경험자가 가장 많이 구입한 품목이 남성상의 단품과 넥타이와 스카프의 구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사용 관련 상황으로 구매자는 인터넷 사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비구매자 보다 훨씬 더 편리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매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남성이고, 학력이 높으며, 전문직종으로, 한달 구매 지출비가 11${\sim}$20만원이고 한달 총수입이 높은 사람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요인으로 주문처리 정확성, 인터넷 사용 용이성, 구매편의성/신뢰성, 상품의 다양성/합리성, 주문 방법의 편의성/경제성, 선호성, 상품의 혜택추구성의 7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 중에서 주문처리 정확성 요인과 상품의 혜택추구성 요인이 구매 의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인터넷 점포의 의류상품환경에 대한 인식이 쇼핑감정과 점포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arel Merchandise on Experienced Emotion for Apparel Shopping and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Store)

  • 홍희숙;이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3_4호
    • /
    • pp.478-49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effect of apparel merchandise characteristics on experienced emotion for apparel shopping and effect of consumer's emotion on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sho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71 internet shopper of university students(male: 82, femaie: 189). They visited the on-line shop for apparel shopping and after searching a casual clothing which they wanted to buy, request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analyzed by using AMOS 4.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is accepted($X^2$=128.30/d.f.=119/p=0.26, GFI=0.95 ; AGFI=0.93; RMR:0.05: NFI=0.94; PNFI=0.73). Second, apparel merchandise characteristics(price, information, assortment) of the internet shop lead a consumer's positive emotions for apparel shopping. Limited assortment variety of product induce negative emotions. Thir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at consumer experienced for apparel shopping influence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shop.

지능형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에서 유사의류 추천방법 (A Recommendation Method of Similar Clothes on Intelligent Fashion Coordination System)

  • 김정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88-698
    • /
    • 2009
  • 인터넷을 이용하는 패션/코디 쇼핑몰은 그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쇼핑몰들은 아직도 카테고리에 의한 상품 분류를 제외하면 특정한 의류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복의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 구축 시 내용 기반의 방식 중 휴리스틱 기반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여성복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속성들을 상속관계로 정의하고, 상품 관리자가 속성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장 유사한 의류를 추천하기위한 방법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 PDF

패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Virtual Dressing System개발에 관한 연구

  • 김진수;조영재;조재용;이우룡;박병연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1999년도 공동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1-121
    • /
    • 1999
  • 국내 섬유 및 패션산업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낙후된 디자인 기술, 비효율적인 생산관리, 다양한 고객 요구변화에 신속한 대응부족, 비효율적인 유통구조 등으로 인하여 경쟁력 향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패션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하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밀라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건물 신축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어 디자인 기술향상, 생산관리,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의류 및 패션산업 특성을 감안한 소프트웨어적인 전략 및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3D 가상현실 기법을 의류 및 패션산업에 적합하게 개발하여 국내 패션산업의 세계화와 경쟁력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소재의 2D, 3D 입체화 표현기술, 3D Virtual 표현기술, 2D, 3D Model 및 의상 DB 개발, Mapping 기술 등을 통합한 Virtual Dressing System(VDS)을 개발하고자 한다. VDS를 통하여 고부가가치 섬유의 신속한 개발, 디자인 기술 향상, 다자간 공동생산지원에 따른 효율적 생산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웹기반 하에 Virtual Dressing System을 개발함으로써 의류 및 패션상품을 3D 형태로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함은 물론 가상 코디네이션 연출까지 가능케 함으로써 인터넷 쇼핑몰 상에서 의류, 패션상품의 판매 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아웃도어 스포츠의류 브랜드의 상품기획 현황 분석 (Merchandising Process Analysis of Outdoor Sportswear Brands)

  • 성희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53
    • /
    • 2011
  • The outdoor sportswear market in Korea has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due to the interest in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 promoted through the well-being trend. This study examines the merchandising process for outdoor sportswear brands and focuses on textile planning in order to identity the opportunities for Korean textile compan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interview method of nine outdoor leading brands (six national brands and three license brands). The interviewees were merchandisers with two to nine years of career experience in the company. The majority of interviewed brands implemented a merchandising plan twice a year. Basic goods took 80% and reorder or spot goods took 10-20% of the total quantity, which possessed a substantial possibility to substitute imported textiles for Korean ones. After the 2008 global economic crisis, outdoor brands have increased the quantity of Korean textiles up to 70% of the total amount of sales because of low price per quality, lead-time accuracy, convenience for handling, and communic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selecting materials were functionality, quality, design, price, and lead-time for order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Korean textile companies were also discussed.

온라인 점포에서 의류상품특성이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in Online Stores)

  • 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99-1308
    • /
    • 2008
  • Customers’ loyalty to an online store may be worth up to ten times as much as its average customer. To develop a loyal customer base, most online stores try their best to continually satisfy their customers and to generate long-run relationships with th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roduct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for apparel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multi-item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s. A total of 356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respondents and were analyzed using by LISREL 8.54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attributes of apparel products (e.g., products variety, price, and information) have indirectly influenced customer loyalty, which are moderated by customers’ satisfaction and trust. Additionally, customer satisf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velop customer loyalty of online apparel stor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o satisfy their customers, online apparel stores should focus on product variety, and reasonable/economic prices of their apparel products, while they should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contents/care of apparels in building trusting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In light of the major findings, this study sets forth strategic implications for customer loyalty in online settings of apparel store.

동작인식형 디저털웨어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 탐색과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제안(II) (An Explorative Research for Possibility of Digitalwear Based on Motion-detective Input Technology as Apparel Product and Suggestion of the Design Prototypes(II))

  • 박희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5권2호
    • /
    • pp.35-50
    • /
    • 2002
  • 본 연구는 제1보와 제2보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1) 동작인식형 입력기술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이하, DMDI로 약칭함)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2)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에 기초하여 DMDI의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2보에서는 제1보에서 도출된 DMDI의 가능성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디자인 지침을 토대로 하여 의류상품으로서의 착용성과 실용성, 상품성을 갖춘 DMDI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형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5가지의 DMDI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의류상품 유형별 쇼핑스타일과 소비가치 관계 연구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Style and Consumption Value of Apparel Products)

  • 오현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7-40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hopping style and consumption value of apparel product type, an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on shopping style.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63 women aged between 20 to 49 in Gwangju on their shopping style and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formal and casual product typ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version 17.0). Results showed that shopping style could be influenced by six factors: fashion-recreational, quality-brand, impulsive, confused, brand-loyal, and price conscious consumer. Clothing consumption value was influenced by five factors: emotional, functional, epistemic, social, and situational value. Shopping style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 formal product purchaser and a casual product purchaser. Consumption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pping style of the formal product purchaser and also the casual product purchaser.

온라인 웹사이트 내에서의 럭셔리 브랜드의 상품 메시지 유형에 따른 구매 의도 연구 (Effects of Message Types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Luxury Fashion Products Online)

  • 최다연;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8-457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essages that induce positive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mong luxury consumers in online luxury sales. Message types elicited from luxury products were classified as quantity-limited, time-limited, sustainability, and personalization. A total of 15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a Google survey, and all respon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spond to one of five stimuli (quantity-limited, time-limited, sustainability, personalization, and control). Participants were informed that they would be engaging in luxury online shopping and read a description about it. Results showed that message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positively formed with the quantity-limited and personalization message types. Furthermore, we discovered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quantity-limited and personalization messages increasing favorable message attitudes and it affected the product attitude. Finally, it increased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By confirming purchase intentions according to message types for luxury brands, we have expanded the scope of advertising research to include online luxury sales platforms. Since luxury online shopping is inevitab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 use of message types such as quantitylimited and personalization would improve online s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