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류상품학

Search Result 23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Effects of Benefits Pursued to Cloth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for Consumer's Well-being -Eco-friendly and Health-functional Apparels- (웰빙 의류상품 구매의도에 의복 추구혜택이 미치는 영향 -친환경 의류상품 및 건강 기능성 의류상품을 중심으로-)

  • Hong, Hee-Sook;Koh, Ae-R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1
    • /
    • pp.1839-185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benefits pursued to cloth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wellbeing oriented apparel products (eco-friendly and health-functional apparel).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51 Korean females ranging from 20 to 50 years old and analyzed by SEM. Pragmatic benefit positively affected but aesthetical benefits negative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apparel and health-functional apparel. The social benefit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health-functional apparel but did no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apparel.

The Effects of Apparel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 Responses in U.S. Online Retailing (의류 상품 전시와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미국 온라인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

  • Yoo, Jungmin;Lennon, Sharr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9 no.2
    • /
    • pp.31-51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s' affective/cognitive stat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one factor(product presentation: garment presented flat vs. garment presented on models without faces vs. garment presented on models with faces) between-subject design with a moderator (involvement: high vs. low). A sample of 429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online experiment. The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using a realistic human model on apparel websites. Also, consumers who are highly involved with clothing generally exhibit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those who are less involved. Overall,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model and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contribute useful knowledge regarding website design for online apparel retailers.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용 자기 센서

  • 송용설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7 no.5
    • /
    • pp.280-283
    • /
    • 1997
  • 흔히 EAS SYSTEM으로 불리는 Electronic Article Surveilance System(전자 상품 가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 이라고 한다.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목적은 편의점, 슈퍼마켓, 의류점, 서점,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판매점 및 대여점, 스포츠용품점, 하이마트, 도서관 등의 일정한 보호구역으로부터 의류, 서적,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CD등의 상품을 도난으로부터 방지하는 것이다. 상품 도난방지 시스템은 판매되는 상품 표면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라벨이나 태그(Tag)를 부착하고, 입구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Frame)를 설치하여 라벨이나 태그가 계산대에서 제거되거나 센서 기능이 소멸되지 않은 채 유출될 때, 상품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시켜 상품의 도난을 방지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Prediction Performance of Aperiodic Time Series Data using LSTM and Bi-LSTM (LSTM과 Bi-LSTM을 사용한 비주기성 시계열 데이터 예측 성능 비교 분석)

  • Ju-Hyung Lee;Jun-Ki Hong
    • The Journal of Bigdata
    • /
    • v.7 no.2
    • /
    • pp.217-224
    • /
    • 2022
  • Since online shopping has become common, people can easily buy fashion goods anytime, anywhere. Therefore, consumers quickly respond to various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weather and sales prices. Therefore, utilizing big data for efficient inventory management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is paper, the changes in sales volume of fashion goods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is analyzed via the proposed big data analysis algorithm by utilizing actual big data from Korean fashion company 'A'.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Bidirectional-LSTM(Bi-LSTM) compared to LSTM(Long Short-Term Memory) takes more simulation time about more than 50%, but the prediction accuracy of non-periodic time series data such as clothing product sales data is the same.

Influence of Country-of-Origin on American Consumers' Evaluation of Apparel Products Made in Korea (원산지 표시가 미국소비자의 한국산 의류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Ann Fairhurs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8 no.5
    • /
    • pp.704-715
    • /
    • 1994
  • 본 연구는 원산지 표시 (country-of-origin)가 미국 소비자의 한국산 의류상품 평가와 제품 이미지 (product image)에 비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소비자 특성과 원산지 표시의 영향, 의류 상품의 제품이미지와의 관계를 집중 분석하였다. 미국 전역의 성인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여 284부의 설문지가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과 중국, 한국산 의류제품과 중국간 의류제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산 의류와 중국산 의류는 모두 저가의 위신성이 낮고 대량 생산되어 부분처리가 떨어지는 평범한 제품이라고 인식라고 있었다. 한국산 의류는 유행색의 사용이나 유행성에서는 많이 뒤떨어지지 않으나, 위신성과 부분처리에서 특히 낮게 평가를 받았다. 라이프스타일, 점포유형에 따른 쇼핑빈도, 성별, 교육정도, 소득수준, 인종에 따른 제품 이미지 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50세 미만의 연령층이 50세 이상치 연령층보다, 결혼한 사람이 걸혼하지 않은 사람보다(독신, 이혼 등) 좀 더 긍정적인 제품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전업주부의 제품이미지가 더 긍정적이었다. 의류제품이 다주 어떤 제품보다도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나타나서, 한국산 의류제품의 이미지 향상은 섬유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산업계와 정부, 단체가 모두 힘을 모아서 노력하여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였다.

  • PDF

The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 Universities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경향 -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

  • Choi, Hyun 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7 no.4
    • /
    • pp.638-647
    • /
    • 1993
  • 현재 미국에서 컴퓨터 디자인(Computer aided design)은 의류산업과 의류학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도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전반적인 CAD 교육 경향을 조사 분석하여 실질적인 자료와 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의 CAD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 5월, 총 19문항의 질문지가 124개 대학 의류학관련 학과에 우편으로 배포되었으며 71부가 회수되어 57%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71개 학교)중 56%가 CAD를 커리큘럼에 포함시켰다. 특히 의상디자인 전공을 가진 학과의 79%가 CAD를 도입하여, 의상디자인 전공이 없는 학과(28%가 CAD를 도입)보다 그 비율이 훨씬 높았다. 의류학 교육에서 CAD의 도입은 1988년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강의는 의류학분야 교수진에 의해, 의류학과 시설물내에서 이루어졌다. CAD를 독립된 과목으로 강의하는 경우 대부분 필수과목으로서 한 학기 코오스가 많았으며 3학년부터 시작되었다. CAD를 다른 의류학 과목에 포함시켜 일부분으로 강의할 경우 영역 별로는 복식 의장학 분야의 과목에, 시간 별로는 한 학기 중 "몇 주" 정도로 가르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전체 CAD 강의에서 다루는 주제로는 패턴 메이킹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패턴 그레이딩, 마커 메이킹, 직물/패턴 디자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의상디자인 순이며 스토어 레이아웃 상품전시 및 디스플레이 계획이 가장 적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CAD를 강의하고 있거나 앞으로 CAD를 커리큘럼에 도입하려는 한국 의류학 분야 교육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