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료커뮤니케이션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9초

헬스케어 서비스를 통합한 병원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Hospital Application Integrated with Healthcare Services)

  • 조민호;김성진;윤영현;백재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269-272
    • /
    • 2023
  • 본 논문은 디지털 플랫폼과 헬스케어 서비스를 통합한 병원 애플리케이션(병원 앱)의 개발 및 활용에 초점을 맞춘다. 목표는 환자와 의료 제공자 간의 의사 소통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병원 앱의 주요 기능과 이점을 탐색하고, React Native를 사용하여 기술적 측면과 디자인 원칙을 제공하고, 적절한 사용 및 보안을 위한 지침을 검토한다. 이 연구는 병원 앱의 잠재력과 장점을 평가하고 의료 서비스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병원 앱의 통합으로 환자 치료,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고 의료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다. React Native와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약속 일정, 예약 확인, 의료 정보 액세스, 의료 전문가 디렉토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여 포괄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지침과 규정을 준수하는 것은 의료 데이터의 적절한 사용과 보호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공 지능 및 원격 의료와 같은 신기술을 병원 앱에 통합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지속적인 개발과 혁신은 디지털 시대에 의료 서비스를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PDF

의사소통기술을 활용한 해부설명회 적용 후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평가요인과 학업성취도 상관관계 분석 (Introduction of Explanation Meeting in Cadaveric Dissection Using Communication Skill :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Facto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 김광환;김지희;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97-9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해부학 실습 교육과정에 해부설명회를 도입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자기평가요인(만족도, 전공 연계성, 운영 적절성, 의사소통)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008-2009학년도 1학기 해부학 실습 교육을 받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n=102)이 일부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해부설명회에 참가하였고, 보건 의료 계통의 학부생들에게 사체를 활용하여 인체 구조에 대한 설명과 토론을 마친 후 설문지와 소감문을 작성하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 평가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2008-2009 학년도 해부학 성적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설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 평가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과거 경험 유무 등의 일반적 특성과 상관없이 만족도, 전공 연계성, 운영 적절성, 언어적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모두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자기 평가 요인 중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었다(p<0.05). 또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다(r=0.580, p<0.01). 결론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활용한 해부설명회의 도입은 의전원 학생들에게 심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며,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갖게 하였다. 아울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타 전공자와의 상호교류를 통한 학문적 이해의 폭이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해부학 실습의 개선 방안으로서 해부설명회의 활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산부인과 의료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구전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DA Study on Word of Mouth Communication and Lifestyle of Obstetrics - Gynecology Health Care Consumers)

  • 정현자;정면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5-21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how word of mouth communications work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health care consumer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 to propose managerial suggestions in health care marketing. Metho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had been executed from March 10, 2003 to April 4, 2003. Out of total 4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85 were collected. 351 were considered to be vali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pc+ Version 10.0. using Frequencie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NOVA and $x^2-test$. Resul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in terms of their lifestyles: 'health active group', 'health conscious group', 'health indifferent group', 'health inactive group'. The following are the features word of mou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lifestyle. Conclusion: All in all, the researcher carne to notice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eatures of word of mouth communic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lifestyle of health care consumer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is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ramification of markets, serving as a help in marketing health services.

  • PDF

포커스 그룹을 이용한 치과위생사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Dental Hygienist by Focus Group Interview)

  • 최진선;마득상;정세환;박덕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23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임상가와 교육자의 견해를 확인하기 위해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교수의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고, 각 초점집단의 견해를 해석하고 개념화하여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교육시기와 방법', '교과목 표준화와 교육환경',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인식'이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교육시기', '교육방법', '임상현장실습', '표준화된 교과목의 부재', '교수역량 향상', '평가방법', '국가고시 도입', '교수와 학생의 태도'라는 8개의 하위범주를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인문사회학적 소양은 대학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다만, 치과위생사 초점집단은 임상현장에서의 시행착오적 학습도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강조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대학졸업 이후에도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연속성을 위해 보수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치과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불만사례를 적용한 역할극을 요구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교과목 학습목표와 실습모듈 표준화를 요구하였고, 교육 환경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더불어,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담당 교수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연구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계발을 위하여 임상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치과위생사 커뮤니케이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적 자본과 건강정보, 의료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농어촌 지역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델 (Structural Model of health status in Rural Community: Social Trust, Medical Communication, and Health Information)

  • 장한진;노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483-493
    • /
    • 2015
  • 농어촌 지역은 산업화 도시화로 도시보다 건강관리가 미흡하며 이에 따른 지역 간 건강불균형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아젠다가 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건강정보, 의료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이 지역사회의 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적 자본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성은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정보추구는 건강행위, 인터넷 건강정보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터넷 건강정보이용을 매개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건강정보이용과 건강행위는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적 요인과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농어촌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경로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 건강상태의 결정요인에 대한 설명력을 한층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의료 서비스와 디자인 (Medical Service with Design)

  • 최원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73-479
    • /
    • 2016
  • 의료와 관련하여 디자인은 대표적으로 시각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 제품디자인(Product Design) 그리고 환경디자인(Environment Design)이 의료 환경을 미적으로 아름답고 편리하도록 지원하는 형태로 관계를 형성하고 발달해왔다. 그러나 근래 디자인에 있어서 전문성이 증대되고, 다양한 영역과 학문과 융합하여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영역이 새롭게 생성되고 있다. 더불어 디자인은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산업, 학문, 서비스와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모델을 만들며 끝임 없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변화와 발달의 상황을 인식하고 의료 서비스에 있어서 디자인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전통적인 디자인의 영역에 한정적으로 활용되던 디자인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디자인으로 발전해 나가는 연구를 제안한다.

국내 종합병원의 공용공간 구성의 디자인 테마와 디자인 컨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mes and concepts of design for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communal spaces in general hospitals)

  • 고영종;서제성;이정만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5-22
    • /
    • 2001
  • Architectural design of general hospitals is progressing in the aspects of themes and concepts of design. This study aims to develope an overview of communal space design in general hospitals by analysing design compositions and themes and concepts involved in them. Organizational prototypes for communal space networks in existing hospitals are summariged for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nd concentration/distribution of communal spaces and hospital communications within communal space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 PDF

간호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Styles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김영주;공호연;남혜림;문지윤;이채원;고은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223-231
    • /
    • 2018
  • Background: Many nursing university students were stressed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behavioral styles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33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online from November 2017 to March 20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5.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ost frequent DISC behavior style of the subjects was conscientiousness (43.8%), follewed by steadiness (19.7%), influence (18.9%), and dominance (17.6%). The participants'scores for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were $3.35{\pm}0.55$ and $1.13{\pm}0.65$.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of the subjec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DISC behavior styles(F=2.86, p=.038).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as the higher the score of mental health(r=.51, p<.001).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DISC behavioral styles can be attributed to stress of clinical practice.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considering with the subjects'DISC behavior styles needs to be developed to reduce their stress of clinical practic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atient Satisfaction in Outpatient Settings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 Park, Eun-Joo;Park, Seung-Guk;Kwon, Ji-Hye;Cheon, Seung-Won;Kim, Hyo-Eun;Yoo, Sun-Mi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59-166
    • /
    • 2018
  •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patient satisfa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care. Among the many factors that affect patient satisfaction, perceived health status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Therefore, we investigated patient satisfaction through patient experience in outpatient settings according to perceived health statu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ing questionnaires of patient experienc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included 4267 people aged over 19 year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Perceived health status was classified into three: good, fair, and poor. Questions about patient experience consisted of four items: doctor spending enough time with patients, doctor providing easy-to-understand explanation, doctor giving opportunity to ask questions or raise concerns, and doctor involving patient in decisions about care or treatment. Patient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two: satisfied and non-satisfied. A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In the good perceived health status group, level of satisfaction was 79.2%, 88.5%, 83.3% and 87.2%, respectively for the four items targeting patient experience. In the poor group, level of satisfaction was 76%, 84.9%, 79.5%, and 83.1%, respectively for the four item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odds ratios of good perceived health status group were 1.775 (1.347-2.338), 1.946 (1.356-2.793), 1.652 (1.218-2.240), and 1.665 (1.193-2.323) compared with the poor group. Conclusion: Perceived health status i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better the perceived health status, the better the patient satisfaction through patient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