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기술

Search Result 3,4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nstruction of Web-Based Medical Imgage Standard Dataset Conversion and Management System (웹기반 의료영상 표준 데이터셋 변환 및 관리 시스템 구축)

  • Kim, Ji-Eon;Lim, Dong Wook;Yu, Yeong Ju;Noh, Si-Hyeong;Lee, ChungSub;Kim, Tae-Hoon;Jeong, Ch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82-284
    • /
    • 2021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의료빅데이터 기반으로 한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의료영상을 기반으로 병변을 탐색, 분활 및 정량화 그리고 자동진단 및 예측 관련된 기술이 AI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AI 기술개발은 많은 학습데이터가 요구되며, 임상검증에 단일기관에서 2개 이상 기관의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단일기관에서 학습용 데이터와 테스트, 검증용 데이터를 달리하여 기술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AI 기술개발에 필요한 영상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된 데이터셋 변환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다기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의 의료영상 데이터 수집 및 저장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관 또는 다기관 연구 그룹의 의료영상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영상 뷰어 및 의료영상 리스트를 통해 연구자가 원하는 의료영상 데이터 셋을 검색하여 다양한 데이터셋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집 및 변환 그리고 관리까지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영상기반의 머신러닝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Lee, Mi-Yeon;Park, Ye-Seul;Kim, Myeong-Hui;Lee, Jeo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2
    • /
    • pp.57-63
    • /
    • 2014
  • 최근 빅 데이터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면서, 의료 분야에서의 빅 데이터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요구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 분야의 데이터는 데이터 자체의 특성과 의료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분야의 일반적인 빅 데이터와는 차별점이 많다. 따라서 의료 분야에서는 데이터 분석에 앞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의료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방법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우선 의료 관련 데이터에 대한 기술(description) 표준 동향을 소개한다. 더불어 다각도의 기준에 따라 의료 데이터를 분류해봄으로써 그 다양성을 확인하고, 의료 데이터 융합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의료 데이터 관리기술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Medical Device Industry and its Global Competitiveness (한국 의료기기 산업의 역사와 국제 경쟁력 고찰)

  • Yeom, Hojun;Jeong, Hyun-Woo;Park, Sangso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1-7
    • /
    • 2022
  • Korean medical device industry has laid the foundation for full-fledged growth and development with the G7 medical engineering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hat started in 1995, and the medical device production in 2020 increased by 8.52 times and the export by 13.94 times, compared to those in 2001. In early years, electronic medical devices such as ultrasound imaging device contributed greatly to Korean medical industry, but top ranks in medical device production and export in Korea has shifted recently to 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s and dental implants. However, the share of imported medical devices in the Korean medical device market have not changed much; it still ranges in 60 to 70%, as the Korean medical device industry produces and exports mid- to low-priced medical devices, and technology-intensive and capital-intensive high-priced medical devices are mainly imported.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leading medical devices produced by major Korean companies and those by global top medical device companies to suggest strategies for the Korean medical device companies to enter the global market.

인체 삽입용 표면처리 임플란트의 인허가 절차

  • Kim, Yeong-Hyeon;Kim, Jun-Gyu;Nam, Hyeon-Sik;Kim, Dong-Rim;Park, So-Jin;Park, 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22-22
    • /
    • 2018
  • 의료기기는 사용목적과 사용 시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의 정도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며, 두 가지 이상의 등급에 해당되는 제품의 경우에는 가장 높은 등급으로 분류하게 된다.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위해서는 기술문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문서 심사를 신청하는 절차를 이해하여야 한다. 의료기기 기술문서란 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전성 등 품질에 관한 자료로서 해당 품목의 원자재, 구조, 사용목적, 사용방법, 작용원리, 사용 시 주의사항, 시험규격 등이 포함되는 문서를 말하며, '의료기기 허가 신청서'와 '첨부자료(임상시험자료 포함)'로 구성되어 있다. 의료기기 품목허가 시 제출되는 기술문서를 통하여 해당 의료기기의 안전성 및 성능이 충분히 입증되어야 하며, 인체 삽입되는 표면처리 임플란트를 포함한 인체 접촉 의료기기의 안전성의 경우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안전에 관한 공통 기준규격'에 따라 평가 후 제조 수입품목 허가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성능의 경우는 해당 규격 또는 자사의 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른 성능에 관한 자료, 물리 화학적 특성에 관한 자료를 통하여 평가되어야 하며, 기허가 인증된 제품에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원재료 또는 적용부위 및 적용방법이 달라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이 필요한 경우 임상시험에 관한 자료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인체 삽입용 표면처리 임플란트의 전반적인 인허가 절차에 대해서 안내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Medical Imaging Technology Industry in Korean Perspective (주요국 의료영상기기산업의 기술, 시장 및 정책분석)

  • 이충희;김상우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5 no.3
    • /
    • pp.321-339
    • /
    • 2002
  • We have examined and analyzed the status of policy, R&D investments, patents and market share of medical imaging technologies for major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an Union. ]Korea is mostly inferior compared to the others in priority of industrial policy, R&D investment, research manpower, number of patents, technological level and world market share. However, Korea can recover competitiveness, if there are intensive government supports for this technology.

  • PDF

Survey on the Medical Informatics in Disaster (재난상황에서의 의료 인포메틱스에 대한 연구 동향)

  • Jeon, Dong-Uk;Im, Yeong-Seon;Lee, Yeong-H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5
    • /
    • pp.71-79
    • /
    • 2012
  • Medical Informatics에 대한 관심 증가와 정보통신 관련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IT 기술을 활용한 의료 프로세스는 매우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재난 시 의료진의 접근이 제한된 가운데 단시간 내에 응급치료 및 수송과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통한 대응은 각종 정보통신 관련기술의 발전과 함께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edical Informatics와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재난 상황에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의료 활동과 의료지원 시스템의 활용을 다룬다. 재난 상황 및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고 현장에서 IT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분류함으로써 의료 활동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위한 워크 플로의 정의 및 관련된 연구를 정리 하였다. 또한 무선통신기술의 활용, SNS 등을 이용한 의료정보의 전달과 이를 활용한 의료진의 대응 방법 대한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전은 재난에 대응하는 전략적 목표와 방법 등에서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동향을 포함하였다.

나의주장 - 의보 20년 문제점과 개선방안

  • Min, Jin-Si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8 s.339
    • /
    • pp.10-11
    • /
    • 1997
  • 우리나라 의료보험이 실시된지 20년이 되었지만 그동안 개선이나 보안이 안돼 국민과 의료기관의 불평과 불만이 쌓여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로 의료보험을 개선하기 위해선 1)합리적 의료보험수가 조정 2)수가의 현실화 3)진료비 심사기구 독립 4)사회보험성의 의보제 도입 등이 절실하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of non-residential areal hospitals in Inpatient (입원의료의 타 지역 이용에 관한 연구)

  • Kang, Sung-Hong;Kim, Yoo-Mi;Choi, Yun-Kyoung;Park, Il-Su;Choi, Soon-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310-31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가 거주지가 아닌 타 지역에서 입원의료를 이용하는 요인을 규명하여 주민들의 의료이용에 대한 지역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2005년 환자조사 입원자료 523,782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2004년 의료기관평가 자료, 2005년 인구센서스, 2006년 보건의료자원실태조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타 지역 입원의료 이용의 가장 큰 요인은 의료기관 소재지의 의료서비스 수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의료기관평가 점수가 9.5점 이상인 지역이 9.5점 미만인 지역에 비해 타지역 입원의료 이용확률이 8.3배가 높았다. 반면 인구 10만명당 병상수가 910병상 이상인 지역이 910병상 미만인 지역에 비해 타 지역 입원의료 이용확률이 2.0배 높았다. 정부는 지역주민의 의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의료공급량의 확충과 분배보다는 지역의료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