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례복식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 Yoon-Young;Lee,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A Study on the Liturgic Vestments of Christian Priests (기독교 성직자 의례복식에 관한 연구)

  • 이순홍;이경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4
    • /
    • pp.144-152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1) enforce the necessity of liturgical vestments though clarifying the symbolic meaning, function and ritual importance of Christian liturgical vestments of ministers, 2) figure out the process of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liturgical vestments of ministers. 3) clarify the liturgical year, symbolic patterns and colors of the liturgical vestments, and 4) study on the status of current liturgical vestments worn by protestant ministers. Based on the catholic and the protestant churches, the scope of the study was decid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long with research on documents and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iturgical vestments of priests in the Old Testament era had to be worn by stipulated rules and, instructions to perform duties. 2) The liturgical vestment of the catholid church are very various in their kinds and has their unique origins and meanings. 3) The symbolic patterns, color and meanings used by liturgical years of christianity. 4) Design on the liturgical gown and stole of christian ministers.

  • PDF

A Study on the Mechanism of Religious Symbol, Manifested in Costume -Focusing on the Rites of High Religion- (종교적 상징이 복식으로 표출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고등종교의 의례를 중심으로-)

  • Seo, Bong-Ha;Kim, Mi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6
    • /
    • pp.935-946
    • /
    • 2008
  • Religion is the symbolic form and action, linking the ultimate condition of life with human beings. Religious idea grasps the world through symbols and gives birth to the action through symbols. This research put its purpose in elucidating the effect of religion on the costume and its mechanism. It's focus is centered on Buddhism, Hinduism, and Islam which are among the world high religions. Part of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mechanism in which several composing factors are expressed with rituals and manifested with costumes, this process was diagrammatized and suggested. The composing factors of religion such as belief system, experiences, community, and rituals are closely related. Ritual especially, is the symbolic action, practice, and the way of rescue, expressing religious meaning. Religious rituals such as imitative rituals, positive or negative rituals, sacrificial ritual, and rites of passage have been expressed with religious music or figurative art such as costume, construction, and art as well as religious ritual like ancestral rites. Religion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 overall culture including costume as a belief system by lightening the meaning of life and suggesting the solutions to the human problems such as anxiety or conflict.

Changes in the Ceremonial Dresses for Children's First Birthday Since 1945 (광복이후 첫돌 복식의 변천)

  • Ji, Yoon-Young;Hong, N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81-1692
    • /
    • 2001
  •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현재까지 첫돌 복식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 그 변화 양상과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진 자료를 통한 내용 분석을 주로 하였다. 더불어 자료의 보충을 위해 첫돌 의례와 관련된 주변 인물들-가족, 기성 아동 한복 유통 상인, 상업적 사진사 등-의 면접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에는 해방 이후 혼란과 전란으로 인한 물자의 부족으로 첫돌 의례의 명분은 남아있으나 복식 문화는 공백기를 맞는다. 1950년대 중반이후 60년대 전반기는 미국의 경제 원조와 섬유 공업 활성화로 의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전기에 비해 의례적 의미를 지닌 첫돌 복식의 착용이 가능해 졌다. 전통 한복을 기본으로 한 위에 서양식 복식 품목들이 섞여서 나타나고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두드러진 양상은 기성복 산업 의 발달로 전문적 인 기성복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는 기성복화 된 첫돌 복식의 일습 개념을 등장시키게 하였다. 또한 한복이 예복화 되는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시기로 70년대 후반의 칼라 필름의 보급은 금박과 자수와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재단 방법을 사용한 장식화 된 첫돌 복식의 사용을 가속화 시 켰다. 특히 70년대 중반에 소수의 일반에게 입혀졌던 궁중복식의 하나인 당의가 소매없는 당의로 바뀌어 여아의 돌옷으로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전반기는 칼라 TV의 보급, 비디오 촬영의 보편화로 한복이던 양복이던 일습화 된 첫돌 복식이 대중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국내의 국제적인 행사의 유치와 전통 복식 소개를 위한 전시들을 계기로 왕실 복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로 인해 여아에게 소매없는 당의를 입히고 남아에게 용포를 입히는 유행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서양식 예복을 입히는 유행이 시작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아기 전문사진점의 등장은 1 회적인 첫돌 의례에 한복과 서양식 예복, 일상복 등을 다양하게 착용시키는 계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변화 양상에도 불구하고 첫돌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옷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그 복식의 구성 이 전통적인 일습 개념을 꾸준히 지향해 온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 과열된 아동 산업은 보다 다양한 복식을 입혀서 촬영한 사진으로 특별하게 꾸민 상업적인 기념물들을 남겨주게 하고 있다. 비록 특별한 옷을 준비하여 아동에게 입히는 행위는 유사한 표현 양태이나 지나치게 많은 옷을 갈아 입히는 표현 방식은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Bapyo Ritual Procedures and Costumes Recorded in the Five rituals of Sejong-Silok (『세종실록(世宗實錄)』, 「오례(五禮)」에 기록된 배표의 절차와 복식 연구)

  • KIM Jinhong;CHO Woohy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1
    • /
    • pp.142-160
    • /
    • 2023
  • The position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Bapyo Ritual held in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e corresponding costumes were examined. The king, who was the executive body of the ritual, wore Myeon-Bok, a court dress, and Myeon-Bok was Gujang-Bok made of Jang-wha on Guryu-Pyeongcheongwan. Crown princes, royal families, and government officials wore Oryang-Gwan and Jekraeui, which were Jobok. The crown princes' Joboks were changed from Oryang-Gwan to Wukryang-Gwan in the dynasty year 10 of King Sejong, and in the year of King Munjong's accession, Myeon-Bok was received, and after King Danjong, the crown princes wore Palryu-Pyeongcheongwan and Chiljang-Bok. Diplomats and Jongsagwan who were the envoys wore Sangbok. A Sangbok worn by the diplomat was Samo with Danryeong, Seo-Dae, and Hyeopgeum-Hwa, and a Sangbok worn by Jongsagwan was Samo, Danryeong, Heukgak-Dae, and Heukpi-Hwa. Byulgam, who served as an attendant to the king in the king's close quarters, wore Gongbok and Sangbok. Gongbok consisted of Ja-Geon, Danryeong and Heukpi-Hwa, and Sangbok consisted of orange color Cho-Rip, Jikryeong, Joa, and Heukpi-Hwa. The person holding San, Gae , Sujeongjang, and Geumwolbu wore Ja-Geon and Cheong-Ui, and Seon wore Pimoja and Hong-Ui. Siwigun wore armor and helmets equipped with weapons. Among court musicians, Aksa's costumes consisted of Bokdu, Bigongbok, Geumdonghyeokdae, Bibaekdaedae, and Opiri, and Aksaeng's one composed of Gaechaek, Bisuransam, Hyupgo, Mal, Maldae, and Opiri. As a result of the above, the process of ceremonial clothes becoming uniform clothes in the reign of King Sejong was confirmed. The king and lower-ranking officials such as crown princes, government officials, diplomats, Byulgam, armies for ceremonial weaponry, and court musicians participating in the Bapyo Ritual wore the highest grade of ceremonial clothes for each class. King Sejong had repeated discussions to build a nation based on Confucianism, and arranged each rite and corresponding costume, and the Bapyo Ritual costume was also systematically prepared for each position. The ceremonial clothing organ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was regulated in Yejon and became the basis for continuing to the lat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