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과대학 교육과정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o Korean Medical Schools Provide Adequate End-of-Life Care Education? A Nationwide Survey of the Republic of Korea's End-of-Life Care Curricula

  • Kim, Kyong-Jee;Kim, Do Yeun;Shin, Sung Joon;Heo, Dae Seog;Nam, Eun Mi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22 no.4
    • /
    • pp.207-218
    • /
    • 2019
  • Purpose: Physician competency in end-of-life (EOL) car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OL care curricula in Korean medical school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issued to the faculty members responsible for the EOL care curricula at each of the medical schools. These included questions o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curricula, teaching methods, and faculty members' attitudes to the curricula. Results: Characteristics of the EOL care curricula were compiled from 27 (66%) of the 41 medical schools. All of the medical schools taught essential aspects of the EOL care curriculum either as a separate course or embedded within other medical education courses. The mean time spent on EOL care teaching was 10 hrs (range, 2~32 hrs). The most frequently taught topics were delivering bad news (100%) and symptom management (74%). When the palliative care education assessment tool (PEAT) was used to evaluate the curricula, a median of 11 PEAT objectives was met (range, 2~26; maximum, 83). More than two teaching methods were used in most of the curricula. However, lectures were the only teaching method used by three medical schools. 78% of faculty members who were responsible for curriculum reported dissatisfaction with it, whereas 18% believed that the time allotted to it was adequate. Only 7% of these faculty members believed that their students were adequately prepared to practice EOL care.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EOL care education in basic medical curricula and to take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achieving learning outcomes.

A Narrative of Medical School Professors' International Medical Experience: Applicability of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의과대학 교수의 국제진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

  • Kim, Yura;Park, Hye jin;Kim, Byunghee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
    • v.1 no.1
    • /
    • pp.1-12
    • /
    • 2021
  •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through a narrative study on international treatment of foreign patients. Korea's medical system and standards are world-clas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knowledge and skills for patient care are sufficient, which shows that the competence for patient care emphasized by Korean doctors is sufficient. In term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doctors in Korea, the importance of volunteering is learned from medical school education, and through medical field experiences in various cultures, it can be seen that volunteering is important to lead to lifelong work as a doctor. In the field of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could be expressed as a doctor, and in all processes, the medical staff understood and empathized with the pain of the pati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sincerity was conveyed to the patient. Professionalism is an area that is being emphasized more recently,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ism to doctors as well as medical school education. This international medical experience can be applied to the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of the medical school, and a harmonized and integrated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can be operated throughout the six-year curriculum.

의과대학생의 미래와 진로지도

  • Yang, Eun-Bae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 /
    • v.8 no.1
    • /
    • pp.35-54
    • /
    • 2006
  • 의사에게 있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부합하는 세부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자아실현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의과대학생들의 전공 선택을 위해 의과대학 재학 중에 이루어지는 진로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 글은 의과대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소질에 따른 전공 선택을 어떻게 지도할 수 있는지 단계별 진로지도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공 선택 지도의 첫 번째 단계는 자기평가이다. 자기평가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 스스로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이해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는 전공탐색 단계이다. 이 단계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부합할 가능성이 높은 전공과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전공 선택 단계이다. 이 과정은 학생 스스로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및 전공에 대한 탐색 결과에 기초하여 자신이 어떤 분야에 더 적합한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이다. 전공 선택을 위한 접근 방법의 마지막은 전공 영역의 수련을 위해서 자신이 결정한 전공 선택을 이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이 선택한 전공영역, 그리고 전공의 수련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에 응시원서를 제출하고, 면접을 실시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의과대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따른 전공 선택과 의과대학생 개개인의 선택의 문제를 넘어 의료 인력의 수급,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의과대학은 대학의 책무성 수행차원에서 학생들의 가치관 확립과 진로지도를 위한 체계적인 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Analysis of Medical Student's Need for Pre-Medical Course on the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in High School (의예과 교육과정에 필요한 고등학교 과학관련 교과목 내용에 대한 요구분석)

  • Park, Hye Jin;Park, Won Kyun;Kim, Yura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5 no.1
    • /
    • pp.129-141
    • /
    • 2021
  • With the change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many medical schools have recently run or developed a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premedical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sequencing and level of the medical curriculum, but there were no discussions on the standards or evidence for the basic science-related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Physics I, Physics II, Life sciences I, Life sciences II, Chemistry I, and Chemistry II, which are the subjects of need assessment exploration. The need assessment used mean, mean difference, and Borich demand, The locus for focus of memory degree and importance, and the result was converted into 76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s related to basic science in premedical curriculum.

Changes of The Epidemiologic Competences after Introductory Course of The Korea - Field Epidemiologist Training Program(K-FETP) in Epidemiologic Intelligence Servise(EIS) Officers (한국 역학조사관 기본교육(K-FETP) 전후 역량 평가)

  • Kim, Eun-Young;Lee, Moo-Sik;Lee, Tae-Jun;Lee, Kwan;Nam, Hae-Sung;Lee, Ju-Hyoung;Kim, Hong-Bin;Chun, Byung-Chul;Lee, Sang-Won;Lee, Dong-Han;Kim, Hee-Jung;Kwon, Sung-Whe;Yoon, Na-Bi;Shin, Moon-Chul;Lim, Mee-Jee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7 no.2
    • /
    • pp.78-89
    • /
    • 2022
  • 목적: 이 연구는 2019학년도 역학조사관 입문교육 과정에 참여한 29명의 수습과정생에게 참여형 자기주도 학습 역학조사관 연수 프로그램(FETP)의 효과와 만족도 등 역량 변화를 분석해 그 결과를 향후 과정 개발의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교육 후 모듈에 대한 역량 변화를 평가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만족도와 역량의 차이 비교는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고, 역량의 차이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에 의해 이루어 졌다. 결과: 2019년 FETP에 참여한 역학조사관 중 여성은 48.3% 였으며, 40세 미만은 9.4% 였다. 역학조사관 입문교육과정 모듈(역학조사, 보건통계 및 정보통계, 감염병 국가 체계, 감염병 질환 감시 체계, 진단 및 실험실 검사, 생물 안전 및 관리, 주요 감염성질환 관리와 조사, 커뮤니케이션, 협동과 리더십, 일반과정)별 만족도는 실무적 도움, 전문성, 기능, 태도 등에서 4점(5점 만점)을 초과하였고, 전체 4.2±0.21(5점 만점)점으로 높은 수준이였다, 모듈의 교육훈련 전후 평균 점수는 2.25±0.91, 3.68±0.63점 등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모든 모듈 및 하위 주제들도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001). 그 중에서 현장역학조사 경험이 가장 높은 변화가 있었고, 표본 수집과 실무가 가장 낮은 역량 변화가 있었다. 결론: 2019년 진행된 입문교육 과정은 수료 후 학생들의 역량은 개선되었고,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참여형 자기주도학습의 촉진은 역량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건 종사자들의 자신감을 높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