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축열회수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바이오 매스 급속 열분해 가스의 응축 모델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densation Modeling Method for Fast Pyrolysis Gas of Biomass)

  • 박훈채;최항석;최연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7.1-107.1
    • /
    • 2011
  • 최근 석유, 가스, 석탄을 비롯한 화석연료의 다량 사용으로 기후변화, 대기오염 등의 환경문제 및 자원 고갈의 우려 때문에 바이오매스는 중요한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 자원으로써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바이오매스 자원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 중 하나인 급속 열분해 공정은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바이오매스를 열적으로 분해하여 액상 상태의 생성물을 회수하는 공정으로, 증기상의 열분해 가스를 응축하여 회수하게 된다. 바이오매스의 급속 열분해에 관한 연구는 주로 바이오매스의 종류와 열분해 조건에 따라 회수되는 바이오 원유의 수율 및 물리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열분해 가스의 응축에 관한 연구는 응축에 수반되는 복잡한 물리적 현상 때문에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의 급속 열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증기상의 열분해 가스의 응축 현상을 모사 할 수 있는 모델링 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급속 열분해 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바이오 원유는 수백개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바이오매스를 사용한 경우라도 공정조건에 따라 바이오 원유에 포함된 화합물은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원유의 주요 화합물인 water, propanal, butanal, pentanal, phenol, guaiacol, coniferyl alcohol, formic acid, acetic acid, propanoic acid, butanoid acid를 대상으로 열분해 가스의 응축을 모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축 모델링 기법의 검증을 위해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응축 조건 변화에 따른 급속 열분해 가스의 응축률을 예측하고, 이를 이용한 응축 열교환기 설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선박배출 배기냉각과 흡수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한 물 회수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초실험연구 (Preliminary Experimental Study for Water Recovery and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through a Hybrid System that Combines Exhaust Cooling and Absorption from Ships)

  • 김영민;신동길;류영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252-1258
    • /
    • 2022
  • 선박용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다량의 수분과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있다. 미세먼지에는 여과성 미세먼지와 배기 배출 후 액상으로 변화하는 응축성 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배출 전에 걸러지는 고체상 미세먼지보다 응축성 미세먼지가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기가스의 배기열과 수분을 회수하고 응축성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실험장치를 실험실 내의 가스보일러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하였다. 배기가스는 1차적으로 냉각방식으로 수분과 응축성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2차적으로 흡수제 방식에 의해 추가적으로 수분이 제거되었다. 상대습도 측정에 의한 배기가스 수분 제거율을 계산하면 1단계 배기냉각 방식으로 73%, 2단계 흡수제 방식으로 90% 제거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응축성 미세먼지는 80~90% 제거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개발 시스템에 의해 회수된 열은 공정열로 활용할 수 있으며, 회수된 물은 수처리 과정을 통해 공정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관리 규제가 되고 있지 않지만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인 응축성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자료

  • 이병근
    • 골판지포장물류
    • /
    • 통권91호
    • /
    • pp.78-96
    • /
    • 2010
  • 열설비에서 회수되는 고온의 응축수를 고온수용 급수펌프를 이용하여 직접 급수시키므로 응축수탱크 및 보충수탱크에서 발생되는 재증발 증기를 Steam ejector를 이용, 흡입하여 중압으로 열사용처로 다시보내 15%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 및 연료절감 효과를 볼수 있도록 하는 설비를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실증운전을 통한 배가스 열회수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of Heat Pump System with Flue Gas Heat Recovery through Field Test)

  • 이승호;이길봉;이영수;박상일;고창복;백영진;이관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14
  • A field test of a 70 kW heat pump system with flue gas heat recovery was performed by an experiment at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The flue gas is exhausted from a 320 RT absorption chiller-heater in the heating season. Using this flue gas, source water of the heat pump is heated by a condensed-type heat exchanger in the chimney.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t recovery heat pump system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operating maps were obtained, and an optimum operating range is suggested, in which the return and heat source water temperature are $51^{\circ}C$ and $31^{\circ}C$, respectively. Additionally, economic analysis of this system was conducted and about 50% energy cost savings can be expected in the heating season.

2단 가열식 지열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An Economic Analysis of a Secondary Waste Heat Recovery Geothermal Heating System)

  • 신정수;김선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249-258
    • /
    • 2017
  • This paper provides an economic analysis of a new geothermal heat pump system that reuses condenser waste heat from a Ground Source Heat Pump ($GSHP_{ch}$) to provide energy for a hot water Ground Source heat pump ($GSHP_{hw}$). After conducting feasibility tests using GLD and TRNSYS simulations, the proposed system was effectively installed and thoroughly tested. We observe that 1)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of the $GSHP_{hw}$ and the $GSHP_{ch}$ during cooling mode improves by up to 62% and 7%, respectively; 2) the number of bore holes can be reduced by two; and 3) the hot water supply temperature of the $GSHP_{hw}$ increases by up to $60^{\circ}C$. We further conclude that 1) the reduction of two bore holes can save approximately ten million Won from the initial cost investment; and 2) the increased COP of the $GSHP_{hw}$ can save approximately one million Won in annual electricity costs.

오일 회수를 위한 폐로프와 폐어망 열분해 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yrolysis System Development for Oil Recovery from Waste Fishing Nets and Ropes)

  • 김용섭;유정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3-51
    • /
    • 2001
  • 현재 우리 나라 해양 환경 오염의 실태는 매우 심각하다. 또한 이로 인한 피해가 수산 양식 및 선박의 안전 운항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그 동안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오염원인 해양 폐기물을 수거하여 소각한 후 매립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 방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해양 폐기물 중에서 가연성 물질의 대부분은 고분자 화합물로서 이를 소각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고안된 장치가 필요하고 배기에 의한 대기 오염의 우려가 있다. 또한 매립은 폐기물 그 자체가 자연분해가 거의 불가능하며 침출수에 의한 토양 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고분자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을 회수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하고 2차 오염도 일으키지 않는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해양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폐기물의 물리적ㆍ화학적 특성 및 승온 속도 변화가 폐기물의 감량특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폐기물을 승온 속도 변화에 따라 열분해하여 회수된 오일과 비응축 가스의 비율을 실험함으로써 가장 많은 오일이 회수되는 조건을 밝혀내기도 하였다. 끝으로 열분해 오일 회수 장치에 대한 경제성 논란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장치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개발의 성공 여부를 확신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