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축부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in a Heat pipe Controlled by Solenoid Valve (전자 밸브에 의해서 제어되는 히트파이프의 전열 특성)

  • Jun, C.H.;Jang, Y.S.;Kim, O.G.
    • Solar Energy
    • /
    • v.17 no.1
    • /
    • pp.103-11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in a heat pipe controlled by solenoid valve. A solenoid valve located to the adiabatic section between evaporator and condenser of heat pipe was used to control the valve action for effective energy transfer of the industrial exchanger machine. By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evaporator and condenser increases with increasing the temperature frequency and with decreasing the temperature amplitude. When inclination angle and flow rate of cooling water increases, the temperature amplitude is reached to the steady state rapidly with increasing the temperature frequncy.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a Rotating Heat pipe with Grooves in Condenser Region (응축부에 그루브를 갖는 회전 히트파이프의 열 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진성;김철주;임광빈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34-341
    • /
    • 2000
  • 회전 히트파이프의 열 전달 특성은 내부 관벽에 형성되는 응축 액막 두께와 증발부로 귀한되는 응축액의 유동율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축 방향으로 그루브(groove)를 갖는 회전 히트파이프의 열 전달 성능에 대한 실험 연구로써, 그루브에 의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2종류의 히트파이프를 제작하고 작동성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회전 히트파이프가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그루브로 응축액의 유동을 촉진시키며, 따라서 응축부 벽면에 형성되는 액막 두께가 얇게 된다. 응축부에 그루브를 갖는 히트파이프의 열전달 계수는 풀 유동에서 2000~4000W/$m^2$$^{0}$ C, 환상 유동 영역에서 1500~2500W/$m^2$$^{0}$ C로써, 전체 원형단면을 갖는 히트파이프와 비교하여 약 1.5배 정도의 열저달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열전달 한계는 약 40%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a Rotating Horizontal Heat Pipe (회전식 수평 Heat Pipe의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임광빈;이진성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2
    • /
    • pp.325-332
    • /
    • 1999
  • When a rotating heat pipe is in operation, liquid condensate returns from the condenser to the evaporator along the inside surface by both components of gravitational and centrifugal forces. It was known that its performance was largely dependent on how to increase the flow rates of condensate and keep the condensate film thickness as thin as possible. Most of research works were focussed on this goal, and various inner wall structures such as tapered wall, stepped wall or coil inserted pipe etc. were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a stepped wall structure with 3 internal grooves in the condenser and adiabatic zone was examined. For this system, the condensate would flow down to the evaporator through the grooves, resulting a reduced film thickness over the condenser surface. Experimental data showed an enhancement of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condenser zone. An analytical solution to the condensate film thickness showed that the analytically calculated values of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data.

  • PDF

Analytical Modeling of a Loop Heat Pipe with a Flat Evaporator by Applying Thin-Film Theory (평판형 증발부를 갖는 루프히트파이프에 대해 박막이론을 적용한 해석적 모델링)

  • Jung, Eui-Guk;Boo, Joon-H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12
    • /
    • pp.1079-1085
    • /
    • 2010
  • A steady-state analytical model was presented for a loop heat pipe (LHP) with an evaporator that has a flat geometry. On the basis of a series of reviews of the relevant literature, a sequence of calculations was proposed to predict the temperatures and pressures at each important part of the LHP: the evaporator, liquid reservoir (compensation chamber), liquid line, vapor line, and condenser. The analysis of the evaporator, which is the only part in the LHP that has a capillary structure, was emphasized. Thin-film theory is applied to account for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liquid-vapor interface in the evaporator.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a unique method to estimate the liquid temperature at the interface. Relative freedom was assumed in the configuration of a condenser with a simplified liquid-vapor interface. Our steady-state model was validated by experimental result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The relative error was within 3% on the absolute temperature scale, and reasonable agreement was obtained.

Critical Heat Flux and Working Fluid Quantity in Thermosiphon Heat Pipe (써모싸이폰 히트파이프에서 열수송한계와 최적작동유체 주입량에 관한 연구)

  • 이기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10a
    • /
    • pp.193-20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써모싸이폰식 히트파이프의 열수송한계와 작동유체의 주입량이 파이프의 직경, 가열량 및 증발부와 응축부의 길이비 등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러한 인자에 따른 적정 작동유체의 주입량과 가열량의 한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각종 전자부품의 냉각에 사용되는 히트파이프가 써모사이폰식이므로 사용작동유체에 대해 가열량에 따라 파이프의 직경예측이 가능토록 열수송한계특성에 대해 검토하고, 싸이리스터용은 증발부와 응축부의 길이비 변동이 심하므로 작동유체의 주입량이 중요한 성능인자로 작용하므로 길이비에 따른 작동유체의 주입량범위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최적의 작동유체범위와 히트파이프의 증발열전달계수 및 응축열전달계수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성능자료를 도출하여 이론해석과 비교검토하였다.

  • PDF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a Heat Pipe for Medium-temperature Solar Thermal Storage System (중온 태양열 축열조용 히트파이프의 열이송 성능)

  • Park, Min Kyu;Lee, Jung Ryun;Boo, Joon H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69-69
    • /
    • 2011
  • 태양열 발전 플랜트에 사용되는 중고온 범위의 축열조에 고체-액체간 상변화를 수행하는 용융염을 축열물질로 사용하면 액체상 또는 고체상만으로 된 열저장 매체에 비해 축열조의 규모를 축소함과 동시에 축열온도의 균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중온인 $250{\sim}400^{\circ}C$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용융염으로는 질산칼륨($KNO_3$), 질산리튬($LiNO_3$)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융염의 가장 큰 단점은 열전도율이 매우 낮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요구되는 열전달률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많은 열접촉면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방법을 도입하지 않고서는 축열시스템의 소규화를 성취하는데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없다. 한편 열수송 성능이 탁월한 히트파이프를 사용하면 열원 및 열침과 축열물질 사이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켜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동시에 소규모화에 기여할 수 있다. 중온 범위 히트파이프의 작동유체로서 다우섬-A(Dowtherm-A)는 $150^{\circ}C$이상 $400^{\circ}C$까지의 범위에서 소수에 불과한 선택적 대안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융염을 사용하는 중온 태양열축열조에 적용 가능한 다우섬-A 히트파이프의 성능을 파악하여 기술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열원으로는 고온 고압의 과열증기, 그리고 열침으로는 중온의 포화증기를 고려하였다. 용융염 축열조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히트파이프는 하단부에서 열원 증기와 열교환 가능하며, 중앙부에서 축열물질과 열교환하고, 상단부에서는 중온 증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축열모드에서는 히트파이프의 하단부가 증발부로 작동하고, 중앙부가 응축부로 작동하여 용융염으로 열을 방출하면 용융염의 온도가 상승하고 용융점에 도달하면 액상으로의 상변화가 진행되면서 축열이 활성화된다. 축열모드에서 히트파이프의 상단부는 단열부로 작동한다. 방열과정에서는 히트파이프의 하단부가 단열된 상태이고, 중앙부는 용융염으로부터 열을 받아 증발부로 작동하며, 상단부는 중온 증기로 열을 방출하므로 응축부로 작동한다. 즉, 축열시스템의 작동모드에 따라 하나의 히트파이프에서 증발부, 응축부, 단열부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특히, 히트파이프의 중앙 부분이 응축부에서 증발부로 전환될 때에도 작동이 보장되려면 내부 작동유체의 연속적인 재순환이 가능해야 하므로, 일반 히트파이프에서와는 달리 초기 작동액체의 충전량을 증발부 전체의 체적보다 더 많이 과충전해야 한다. 이러한 히트파이프의 성능 파악을 위한 실험에서 고려한 변수들은 열부하, 작동액체의 충전률, 작동온도 등이며, 열수송 성능의 지표로서는 유효열전도율과 열저항을 이용하였다. 중온범위에서 적정한 작동온도를 성취하기 위해 실험에서는 전압 조절기로 열부하를 조절하는 동시에 항온조로 응축부의 냉각수 입구 온도를 제어하였다. 하나의 히트파이프에 대해서 최대 1 kW까지의 열부하에서 냉각수 입구 온도를 $40^{\circ}C$에서 $80^{\circ}C$ 범위로 변화시키면 히트파이프 작동온도를 약 $250^{\circ}C$ 내외로 조절 가능하였다. 히트파이프 작동액체 충전률은 윅구조물의 공극 체적을 기준으로 372%에서 420%까지 변화 시켰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열저항과 유효 열전도율을 각각 입력 열유속, 작동온도, 작동액체 충전률 등의 함수로 제시했다. 동일한 냉각수 온도에서는 충전률이 높을수록 히트파이프의 작동온도가 감소하였다. 열저항 값의 범위는 최소 $0.12^{\circ}C/W$에서 최대 $0.15^{\circ}C/W$까지로 나타났으며 유효 열전도율의 값은 최소 $7,703W/m{\cdot}K$에서 최대 $8,890W/m{\cdot}K$까지 변화했다. 최소 열저항은 충전률 420%인 경우에 나타났는데 이때의 작동온도는 약 $262^{\circ}C$이었다. 히트파이프의 작동한계로서 드라이아웃(dry-out)은 충전률 372%의 경우에 열부하 950 W에서 발생하였으나, 그 이상의 충전률에서는 열부하 1060 W까지 작동한계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의 히트파이프는 중온 태양열 축열조에 적용되어 개당 약 1 kW의 열부하를 이송하면서 축열물질 및 축방열 대상 유동매체와 열교환을 하는데 사용하는데 충분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Method of Changeable Integrated Multi-purpose Spatial Structure Using Static Matrix Condensation (정적행렬응축기법을 이용한 가변형 입체 복합 공간 구조 시스템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 Chung, Joo-Hong;Jung, Hyung-Suk;Choi, Chang-Si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9-2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행렬응축기법 및 부구조기법을 이용하여 가변형 입체 복합 공간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최근 구조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요구에 의해 가변형 입체 복합 공간 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변형 입체 복합 공간 구조물은 많은 구조부재가 필요 하며, 부재 수가 많아짐에 따라 각 절점이 가지는 자유도수가 크게 증가하여 초기 해석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구조물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되는 부분의 강성의 변화에 따라 전체 구조물의 강성이 변경되므로 이에 따른 전체 구조물의 재해석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구조물의 자유도수를 줄여주는 행렬응축기법과 반복적인 해석과정을 줄여주는 부구조기법은 가변형 입체 복합 공간구조물을 효율적으로 해석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행렬응축기법과 부구조기법을 이용하여 가변형 입체 복합 공간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해석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알고리즘을 작성하였다. 또한 알고리즘을 구체화시켜 가변형 입체 복합 공간 구조시스템에 적합한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제 구조물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조해석 결과를 상용프로 그램의 구조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기법에 대한 정확성 및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 PDF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the Horizontal In-Tube Condensation Heat Transfer Model in the MARS code (MARS 코드의 수평관내부 응축열전달 모델 평가 및 개선)

  • Lee, Hyun Jin;Ahn, Tae Hwan;Yun, Byong Jo;Jeong, Jae J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1
    • /
    • pp.56-68
    • /
    • 2016
  • Extensive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for enhancing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and,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passive cooling systems, such as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 (PCCS) and passive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is increasingly important, where condensation is a crucial heat transfer mechanism. Recently, Ahn & Yun et al. developed a horizontal in-tube condensation heat transfer model as one of the activities for the PCCS development. In this work, we implemented the Ahn & Yun 's condensation heat transfer model into the MARS code and assessed it using the PASCAL experimental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Ahn & Yun 's model and suggested a modified Ahn & Yun 's model, and assessed the model using various experimental data.

A Comparative Study of Heat Pipes with Enlarged Condenser Section for Evacuated Solar Collectors (확관 응축부를 갖는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용 히트파이프 성능 비교 연구)

  • Boo, Joon-Hong;Chung, Won-Bok;Kwak, Hee-You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2 no.4
    • /
    • pp.18-25
    • /
    • 2002
  • For application to medium temperature solar collerctors $(80\sim120^{\circ}C)$, a heat pipe should be designed properly to efficiently transfer heat to a hotter condenser than common applications. Among many wick structure candidates for heat pipes of this type, a slab wick was selected based on promising performance data reported previously. The thermal performance of slab wick heat pipes, screen wick heat pipes and thermosyphons with enlarged condenser section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for comparison purpose. The heat pipes were 8.0 mm O.D. (evaporator section) and 25.4 mm O.D. (condenser section) made of copper.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heat pipes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rmal resistance against thermal load and coolant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