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실 방문 환아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응급실 방문 환아의 중증도 (The Severity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 김신정;문선영;박은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91-202
    • /
    • 200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help in explore new direction about classification of the severity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center of E University Hospital during 3 months period from March 1, to May 31,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severity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shown ranged 0-18 and averaged .87. 2. With the respect to the severity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there were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s' visiting time(F=2.607, p=.025), disease classification(F=9.606, p=.000), consciousness level(F=71.499, p=.000), period of symptom manifestation (F=2.262, p=.030), pediatric patients protector's thinking about pediatric patients state (F=16.833, p=.000), treatment outcome (t=5.362, p=.000), duration of stay at emergency center(F=23.944, p=.000).

  • PDF

경련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한 아이의 임상양상과 입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and Clinical Features of Children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Seizures)

  • 윤성관;김은영;양은석;문경래;박상기;박영봉;노영일;조수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0호
    • /
    • pp.1003-1007
    • /
    • 2003
  • 목 적 : 경련을 주소로 응급실을 찾아온 아이의 나이, 경련의 유형, 경련의 지속시간 등 경련의 임상 양상과 입원율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응급실에서 검사의 이상 여부와 이에 따른 입원율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4,865명 중 경련이 주소인 180명(3.7%)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경련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한 환아의 나이, 경련의 빈도, 유형, 지속시간을 분석하고 임상 양상에 따른 입원율과 응급실에서 시행한 검사(CT나 MRI 등의 방사선학적 검사와 뇌척수액 검사) 결과와 입원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응급실을 방문한 4,865명의 환아 중 경련이 증상인 환아는 180명(3.7%)이었다. 가장 흔한 경련의 양상은 단순 열성경련(52.2%)이었다. 경련 환아의 48.9%가 입원하였으며 연령과 성, 방사선학적 검사나 뇌척수액 검사의 이상 유무와 입원율과는 관련성이 없었다(P>0.05). 경련의 형태에 따른 입원율은 간질 중첩증 82.4%(14/17), 복합열성경련 63.6%(14/22)로 다른 형태의 경련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높았다(P<0.05). 경련의 지속시간에 따르는 입원율은 5분 이내가 41.2%, 5-15분 60%, 15-30 58.8%, 30-60분 85.7%, 60분 이상이 66.7%이었다(Fig. 3). 경련의 지속 시간이 길어질수록 입원율은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경련의 빈도에 따른 입원율은 첫번째 발작인 경우 40.9%(45/110), 재발인 경우가 61.4%(43/70)이었다. 경련이 재발인 경우가 첫 경련에 비하여 입원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경련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환자의 입원율은 48.9%이었다. 경련의 형태 중 간질 중첩증과 복합 열성 경련인 경우, 경련의 지속 시간이 길수록 입원율이 높았다. 또한 경련이 재발인 경우가 첫 경련인 경우보다 입원율이 높았다.

응급실 방문 환아 간호에 대한 만족도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 문선영;김신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5-1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qualified nursing care to examin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8 to June, 5, 1999 from 304 subjects including 2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Using the 23 item questionnaire, which made out by Davis CHECSS tool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by resear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scored by use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and each i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analysed by t-test and ANOVA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care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showed as an average of 3.69. 2. With the resept of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there were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uration of stay at emergency center(F=2.908, p=.014), type of disease(F=1.777, p=.046).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care of pediatric patients of examiners showed relatively high, but emotional care and information supply are required.

  • PDF

응급실 방문 환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 김신정;문선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97-10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through understanding disease pattern of pediatric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016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center of I university Hospital during one year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ost common type of disease was respiratory disease (26.7%). 2.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age, toddler (35%) ranked first followed by preschooler(22.1%), infant(18.5%), schooler(16.0%), adolescent (5.6%), neonate (2.7%). 3.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male patients(59.8%) outnumbered female(40.2%) by the ratio of 1.48 ; 1. 4. Visiting patients were seasonally more frequent in spring(29.8%) and summer (29.3%) than fall or winter. 5. Comparing weekly distribution, week end involing holiday outnumbered week day(48.5%). 6. The visiting time predominattly high from 8 : 00 PM to 0 : 00 AM(29.8%) during a day. 7, The majority duration of stay at Emergency center was 1-6 hours. 8. Most patients dischrged from the emergency center in good condition(76.5%).

  • PDF

환자 분류체계를 이용한 응급실 방문 환아에 대한 고찰 (Review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used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 문선영;김신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5-388
    • /
    • 200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help in explore new direction about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center of E University Hospital during 3 months period form March 1, to May 31, 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pediatric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class I(59.9%) topped followed by class II(23.9%), class III(14.1%), class IV(2.0%). Average score of pediatric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showed class I.00, class II .02, class III .05, class IV .07. and total mean score of items lowed averaged .01. 2. With the resepect to the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there were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iting time($x^2=27.839$, P=.023), experience of admission($x^2=11.365$, p=.010), disease classification($x^2=89.998$, p=.000), state of airway patency($x^2=18.781$, p=.000), consciousness level($x^2=59.774$, p=.000), period of symptom manifestation($x^2=34.112$, p=.000), pediatric patients protector's thinking about pediatric patients state($x^2=49.998$, p=.000), treatment outcome($x^2=72.278$, p=.000), duration of stay at emergency center($x^2=103.062$, p=.000).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ate of pediatric patients and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r=.530, p=.000).

  • PDF

응급실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특성: 의식명료 환자와의 비교연구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creased mental status while staying in an emergency department: Comparative study with alert patients)

  • 문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22-230
    • /
    • 2018
  • 본 연구는 내원 당시에는 의식이 명료했으나 응급실 체류 중에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특성을 의식이 명료한 환자와 비교하여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응급실에 방문한 응급환자 중 내원 당시에는 의식이 명료했으나 내원 후 의식저하를 보인 환자 90명과 내원당시 의식이 명료했으며 응급실 체류 중에도 의식저하가 없는 환자 중 무작위 추출한 100명이었다. 연구결과 의식저하 군은 의식명료 군에 비해 뇌혈관 질환, 간질환, 당뇨, 고혈압의 기저질환이 많았다(p=.001, p=.003, p<.001, and p=.002, respectively). 중증도 분류 결과 의식저하 군은 의식명료 군에 비해 중증도가 높았다(p<.001). 의식저하 군의 최종 진단명은 신경계 질환 64.9%, 소화기계 질환 63.3%로 의식명료 군과 차이가 있었다(p<.001). 의식저하 군 중 56명(62.2%)은 응급실 간호사에 의해 의식저하 상태가 발견되었다. 의식저하 군 중 9명은 심정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을 받았다. 본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는 응급실 내원 당시 의식이 명료하더라도 중증도가 높고, 신경계 질환이나 소화기계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는 의식수준을 자주 사정해야 함을 시사한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0 - 15세 어린이의 치과적 외상에 관한 후향적 분석 (Retrospective Study of Traumatic Dental Injuries among Children Aged 0 - 15 Years in Wonju)

  • 배두환;김지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4-71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들의 나이, 성별, 외상 발생 장소, 외상의 원인, 외상의 위치, 외상 후 경과시간, 응급실 내원시간, 처치의 유형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1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치과적 외상으로 인해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외상 센터에 내원한 0 - 15세 사이 841명의 환자들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외상은 남아에서 호발하였으며, 호발하는 나이는 0 - 3세였다. 6세 미만에서는 집에서 외상이 가장 호발하고, 넘어지는 것이 외상의 가장 주된 원인이었다. 하지만 6세 이상에서는 외상의 장소로 집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외상의 원인으로 넘어지는 것이 줄어들고 스포츠와 기타 원인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나이 대 별로 외상의 원인과 장소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외상의 위치로는 입술과 상악 절치가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응급실을 내원하는 시간대로는 18 - 24시(53.3%)에 내원하는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0 - 6시(4.6%)에 내원하는 환자는 가장 적었다. 외상 후 경과 시간은 1시간 이내가 51.5%, 1 - 2시간이 26.8%, 2 - 3시간이 11.5%로, 3시간 이내에 내원하는 환자가 89.8%에 달했다. 응급에서 행해지는 처치의 유형으로는 경과관찰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많이 행해지는 술식은 봉합술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아의 치과적 외상과 응급실 방문은 환아의 성별, 나이, 상황에 따라 역학적인 특징을 보인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외상의 양상은 어린이의 사회, 발달, 생리적인 요인이 종합되어 나타난다.

발열 환아 보호자의 응급실 방문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b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Fever)

  • 김민애;김나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46-5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b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fev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5 caregivers whose children aged six or less with two or more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nually mainly because of fev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Fisher exact, one-way ANOVA, Scheffé test, Dunnett T3,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5.0 software. Results: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b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fever were state anxiety (β= .35, p= .009), self-efficacy (β= -.29, p= .029), and gestational age of the children (β= .17, p= .010).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2.3% concerning the number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Conclusion: Our findings revealed that caregivers' level of state anxiety and self-efficacy wer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It is expected that providing education concerning fever and emotional support for caregivers of children with fever can relieve their anxiety and enhance their self-efficacy levels, which in turn may reduce the number of unnecessary emergency department visits of children with fever and ultimately address the issue of over-crowding in emergency department.

소아 충수돌기염 진단에서 Alvarado Scoring System의 유용성 (Usefulness of a Alvarado Scoring System for th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 양은석;윤성관;김은영;노영일;박상기;박영봉;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1-7
    • /
    • 2004
  • 목 적: Alvarado score는 성인에서 급성 충수돌기염 환자의 조기 진단에 용이하고 오진율을 줄이는 유용한 진단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급성 복통이 주소인 소아 환아에서 급성충수돌기염 진단에 alvarado score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진단의 정확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 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복통을 호소하는 소아 170명 중 충수돌기염의 강하게 의심되는 122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복통을 주소로 방문한 환아의 나이, 임상증상, 임상징후, 혈액학적 검사결과를 분석하여 Alvarado score를 산출하고 진단을 위해 복부초음파 검사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고 수술을 시행한 경우 조직학적 진단을 하여 확진하였으며 수술하지 않은 군은 12시간의 추적 관찰로 확진하였다. 방사선학적 진단과 수술 결과 등을 비교하여 확진군과 오진군의 Alvarado score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응급실에 복통이 주소인 환아 중 충수돌기염이 강하게 의심되었던 환아는 122명이었다. 122명의 환아 중 남아는 67명(54.9%), 여아는 55명(45.1%)이었다. 조직검사를 통해 충수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는 수술한 105명 중 92명으로 87.6%에 해당하였고 충수돌기염으로 수술한 환자들의 오진율은 12.4%였다. 평균 Alvarado score는 충수돌기염 군은 $5.40{\pm}1.24$, 충수돌기염이 아닌 군은 $3.73{\pm}1.82$이었다(p<0.05). Alvarado score 6점 이상인 경우 소아 충수돌기염을 진단하는데 민감도가 86.4%, 특이도는 80.0%였다. 소아 충수돌기염을 진단하는데 복부 초음파검사나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의 민감도는 92.5%였다. 결 론: 복부초음파검사나 전산화 단층 촬영 등과 함께 Alvarado score는 소아 충수돌기염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일병원에서 관찰한 최근 10년간의 소아 우발사고에 관한 연구 : 이물흡인을 중심으로 (Clinical Study of Childhood Accidents from a Hospital Over Ten Years with Regard to Foreign Body Aspiration)

  • 김철민;송준영;김자형;김기수;홍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134-1140
    • /
    • 2002
  • 목 적: 소아에서 우발사고는 경제 및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생활의 기계화와 자동화에 의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아기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응급실을 방문한 우발사고 환아들을 대상으로 상부 위장관이나 기도내 이물흡인과 중독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소아 우발사고의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만 10년간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만 15세 미만의 외상, 추락, 화상, 이물흡인 및 중독 환아 64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고의 유형별 분석 및 이물질의 종류, 성과 연령, 위치, 치료 방법에 대하여 병원의 입원기록지를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사고의 유형별 분포를 보면 외상환아가 5,038례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추락 803례, 화상 353례, 이물 흡인 188례, 중독 28례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남녀비는 1.8 : 1이었다. 2) 이물흡인의 경우 총 188례 중 남녀비는 2 : 1이었으며, 연령별 발생 분포는 6세 이하가 169례(89%)로 가장 많았고 특히 1-2세가 57례(30%)로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중독의 경우 남녀비는 1.3 : 1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1-2세가 12례(42%)로 가장 많았고 1세 이하에서 6례(21%), 6세 이상에서 6례(21%)가 관찰되었다. 3) 이물흡인의 위치는 상부 위장관이 112례(59%)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호흡기관 57례(30%), 외이도가 15례(7%) 순이었다. 상부 위장관 이물의 경우 식도가 69례(61%)로 가장 많았고 위가 43례(38%)를 보였다. 기도내 이물의 경우 우측 및 좌측 주 기관지가 각각 27례(47%)로 동일한 분포를 보였다. 4) 이물의 종류를 보면 상부 위장관의 경우 동전이 65례(58%)로 가장 많았고, 핀이 12례(10.7%), 장난감 및 열쇠가 각각 6례(5.3%), 반지 및 바둑알이 각각 5례(4.5%)였으며, 기도내 이물의 경우 땅콩이 36례(63%)로 가장 많았고, 장난감 부속품이 11례(19%)였다. 5) 이물흡인의 치료 방법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경우 경성 식도내시경으로 제거된 경우가 60례(54%), 굴곡성 내시경으로 제거된 경우가 29례(26%), 수술을 받은 경우가 7례(6%)였으며, 16례(14%)는 자연 배출되었다. 식도내 이물과 위내 이물 중 핀과 같은 날카로운 경우 진단 즉시 내시경으로 제거하였고, 위내 이물 43례 중 20례는 진단 후 24시간 이내에 제거하였다. 그러나 추적 관찰시 시행한 단순 복부 방사선사진에서 위내 이물이 십이지장을 지난 23례 중 16례(70%)는 2주 이내에 모두 합병증이 없이 자연 배출되었고, 7례(30%)는 장폐쇄 증상 등이 동반되어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은 동반되지 않았다. 기도내 이물의 경우 51례에서 경성 기관지내시경으로 제거되었으나 6례에서는 이미 심한 질식과 뇌손상으로 사망하였다. 6) 중독의 원인별 분포를 보면 약물이 원인인 경우가 14례(50%)였고, 그 중에서 경련성 질환을 가진 환아에서 Carbamazepine이 5례(18%), Valproic acid가 4례(14%)였다. 결 론: 지난 10년간 우발사고의 원인으로 외상이 가장 많았고, 추락, 화상, 이물흡인 그리고 중독의 순이었다. 최근에 이물흡인과 중독이 영유아에서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도내 이물흡인의 경우 사망률이 가장 높기 때문에 기도 유지를 위한 적절한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