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시설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USN기반의 차량용 스마트 안전장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Car Safety Device Based on USN)

  • 정재현;김남형;임재형;김보라;안정호;김진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1-22
    • /
    • 2009
  • 유비쿼터스 사회(Ubiquitous Society)로의 진입에 발맞추어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의 인간 중심적 편의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대형 시장을 갖는 차량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는 지능형 차량 시스템(Intelligent Car System)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차량 시스템의 주요 연구는 자동 항법 장치, 사고 예방 장치, 자가 진단 시스템 등 탑승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탑승자의 사고 발생 시 응급 상황 처리를 위한 지원 시스템은 미미하다. 탑승자 부상으로 사고 신고를 하지 못할 경우, 사고지점 확인, 탑승자의 위급(현재) 상황, 부상 정보와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없어 응급 상황 대처에 신속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사고 판단 시 차량 위치 정보, 탑승자 상황 정보를 응급 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 안전장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테스트를 위해 Intel PXA255 MCU와 AM-3AXIS(3축 가속 센서), MDSM-1000A(지자기 센서), RX-M800S CDMA, GPS520, Alpha cam, Flex Sensor로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모의 도로 모형에서 테스트 하였다.

실버타운에서 고령자 생체 및 응급상황 모니터링용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Ubiquitous Sensor Network System for Monitoring the Bio-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of the Elderly at Silver Town)

  • 최성호;유윤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27-228
    • /
    • 2008
  • 노인들이 주거하는 실버타운에는 노인들의 건강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노인들은 갑작스럽게 생체 신호의 변화나 건강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대부분의 실버타운은 의료시설 외의 다른 장소에서 노인들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에서 노인들의 생체 정보 및 응급상황을 언제, 어디서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 연구를 소개한다. 또한, 실버타운 환경을 고려한 라우팅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 PDF

일부지역 유아 교육 시설의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들의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Safety Accident in Facilities for Children's Education)

  • 박상섭;백홍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7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eacher's perception on young children's safety life, safety accident, and safety education and provided basic data of administrating teacher'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safet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for their education. 230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and 181 were collected and 17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on types of young children's safety accident, play accident was high(70.0%). 2. With regard to teacher's perception on causes of accident, lacks of perception was high(64.1%). 3. Of transportation means in accident, 119 ambulance use was high(60.5%) 4. Regarding teacher' perception on accident prevention, direct attention of education by paramedics was high(48.2%).

  • PDF

목욕시설에서 발생한 열사병의 임상양상 및 열사병의 다발성 주요 합병증에 관한 예측인자 분석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t stroke in bath facilities, and 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of multiple major complications)

  • 박석진;현성열;임용수;조진성;민경진;양혁준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00-508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t stroke in a bath facility and investigate predictive factors of multiple major complications in heat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n heat stroke patients who visited an urban emergency center from January 2010 to March 2018. We compared clinical characteristics, complication, and outcomes of heat stroke patients in bath and non-bath facilitie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independent predictors of multiple major complications in heat stroke patients. Results: A total of 67 heat stroke patients with heat stroke were enrolled, of which 42 (62.6%) were in a bath facility and 25 (37.3%) were in a non-bath facility. Patients with heat stroke in the bath facility were characterized by old age, past medical histor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and high incidence of hypotens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bath facility but also low incidence of acute renal failure, seizure, and multiple major complication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predictive factors of multiple major complications in heat stroke patients were non-bath facility (odds ratio [OR], 5.4; 95% confidence interval [CI], 1.2-29.9), Glasgow Coma Scale (GCS)${\leq}8$ (OR, 8.2; 95% CI, 1.3-49.4), and mean arterial pressure (MAP), body temperature above $40.5^{\circ}C$ (OR, 8.1; 95% CI, 1.1-58.8) <60 mmHg (OR, 14.8; 95% CI, 1.8-122.9). Conclusion: Heat stroke in the bath facility resulted in less major complications, and high body temperature, GCS ${\leq}8$, and MAP <60 mmHg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of multiple major complications in heat stroke patients.

충청북도 내 지역별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region in Chungcheong buk-do)

  • 임성빈;양현모;김영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5호
    • /
    • pp.33-44
    • /
    • 2024
  • 충북은 지역별 인구구성과 산업시설, 응급의료기관의 분포 등에 있어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심장정지 환자의 발생 특성과 관련한 지역별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지역의 병원 전 발생하는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과 119구급대 이송 현황을 분석하여 충청북도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충북지역 급성 심장정지 조사 원시자료(2020년)를 기초로 구급차로 이송된 심장정지 환자 1,188명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이다. 충북 도내 응급의료기관은 총 11개소로 시 단위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군 단위 지역에서의 병원까지 환자 이송 시간이 지연되고 있었다. 군 단위 지역은 특별구급대의 출동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심장정지 환자 소생에 도움이 되는 심장정지 약물 투여 빈도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서비스의 접근성 향상(소외지역의 구급차랑 배치, 응급의료기관 적정 배치 등), 외상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예방 홍보 및 구급대원의 응급처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업무 범위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침수피해지역의 응급이송서비스 취약성 분석 (Analysis of Vulnerability of Emergency Transport Service for Flooded Area)

  • 이윤하;홍원화;이지수;최준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122-130
    • /
    • 2018
  • 최근 도시화 및 인구의 밀집화는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영향과 더불어 재난의 대형화 및 복합화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재난발생에 대하여 예방, 구조, 복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재난 시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재난의료는 외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수피해가 빈번하며, 지하주택이 밀집되어 피해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침수이력지역의 지하주택을 응급환자 발생지로 가정하고 이송거리 및 이송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응급의료시설과 재난발생지로의 접근성과, 구급대로부터 재난발생지로의 접근성을 함께 고려하여 응급의료서비스 개선의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국내 주요 수변시설물 EAP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Framework of Emergency Action Plan for Domestic Water Front Critical Infrastructure)

  • 박수열;최수영;오은호;김진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25-134
    • /
    • 2017
  • 강우는 자연과 인간에게 중요한 자원이다. 적절한 강우는 농작물의 성장과 토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우리 사회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태풍 및 집중호우 등과 같이 특정 지역에 계획강수량보다 더 많이 발생한 집중강우는 시설물 및 인간에게 커다란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등 국외 선진국의 수재해 대응기관들은 시설운영자와 재난전문가, 응급대응인력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수재해 EAP(Emergency Action Plan)를 작성 운영하여 시설물을 보호하고 강화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FEMA와 DHS는 시설물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댐, 제방 등을 위한 다양한 EAP를 운영하고 있는데, 특히 FEMA는 EAP를 시설물이나 인명에 가해지는 피해나 기능적 충격과 같은 응급상황을 감소시키기 위해 작성하는 공식문서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 EAP를 통해 응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뿐만 아니라 평상시 발생할 수 있는 시설물관리상의 문제까지 대응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등 국외주요국과 국내에서 사용중인 EAP 관련 규정을 분석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EAP 체계를 제안하였다. EAP는 예방, 준비, 대응, 복구의 재난단계별로 시설물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전문가들과 시설운영자들이 취해야 할 업무, 응급장비 운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EAP 프레임워크는 테스트베드 적용을 통해 적정성을 평가받았으며, 국내 홍수재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절차와 방법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응급 의료체계용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Mobile Medical Unit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 양민규;이영;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7-64
    • /
    • 2017
  •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세월호 침몰사고 등 대형 재난사고들이 발생하였을 때 체계적이지 못한 현장대응과 응급의료시설의 운영으로 인해 재난발생 시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재난, 재해 발생 시 적절한 시간 내에 안정적인 응급의료서비스가 제공 된다면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피해에 대한 복구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재난의 피해유형과 규모에 맞추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난현장에 대응 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외 사례들을 조사하여 이동 의료단위의 유형을 파악하고, 규모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외에는 트레일러유형, 텐트유형, 컨테이너유형 등의 이동 의료단위들이 실제 운용되고 있었으며 국내에서는 그러한 운용 사례들을 조사하고 종합하여 정부에 제안하는 단계에 있다. 국내에 적합한 이동형 의료단위의 개발과 제안을 위해 실제운용 사례들의 단위유형, 규모 및 조합적 배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토대로 국내에 적절한 유형을 제시한다.

한국의 모자보건사업체계 및 지역사회에서의 서비스 문제 (MCH SERVICE SYSTEM IN KOREA AND PROBLEMS OF SERVICES IN COMMUNITY)

  • Hong, Moon-Sik;Hwang, Na-Mi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8-105
    • /
    • 1993
  • 최근 경제수준 향상과 소자녀 가치관의 확립, 그리고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 등으로 인하여 모자보건 대상자의 대부분은 민간 의료시설의 전문인력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었고, 모자보건 수준도 급격히 향상, 1992년 시설분만율의 경우, 99%에 도달하였다. 이렇듯 의료시설 이용의 증가와 의료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영아사망율 및 모성사망율이 최근 몇년동안 같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은, 보다 질적인 관리측면으로 사업의 방향이 전환되어야 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공공성을 띠고 있는 모자보건사업을 국가가 관리하여야 할 필요성을 더욱 크게 한다. 공공부문에서는 취약대상을 위하여 민간 전문인력과의 유기적인 연계체계를 마련하여 계속적인 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보건교육 강화를 위한 관련 홍보물(모자보건수첩 활용, 모유수유 권장, 제왕절개수술 지양 등)을 제작하며 신경아세포종 검사 등과 같은 새로운 예방사업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유아관리는 저체중아 및 장애아에 대한 추구관리서비스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현 우리나라 주산기구급이송체계는 응급의료체계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주산기관리를 위한 의료여건이 성숙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데다(이 시기의 집중관리를 통하여 사망 및 장애아 예방이 가능) 관련 제도마저 취약하여 민간의료부문에서는 영아사망 및 모성사망을 낮추기 위해서는 이 부문에 대한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주산기학, 신생아학 전문인력의 훈련제도 확립파 주산기 관리시설의 지역적 적정분배(분만 2,000건에 1개 시설마련), 둘째, 집중적인 인력과 고가장비가 투입되는 주산기 의료활동 강화를 위한 관련 의료제도의 수정 및 보완, 세째, 질적관리가 매우 중시되는 고위험 신생아의 집중관리를 위한 '표준 의료관리지침서' 마련, 네째, 동 시설 및 관리에 준하여 주산기 의료시설에 대한 감독 및 감시기능 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소방(消防)서비스 사각지대(死角地帶) 해소대책(解消對策) - 서산소방서관내 및 소규모 근린생활시설을 중심으로 - (Methods of Solving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Service - With Seosan Fire Station and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

  • 강대훈;권혜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9-212
    • /
    • 2003
  • Fire is a disaster of uncertainty, but since it is an artificial disaster essentially,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at prevention and suppression of fire should be done more efficiently to develop the national love and trust of fire fighting. And it examines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which can be the typical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based on researcher's experiences, intuition and related materials. The main course of the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fire fighting administration, dead ground and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compares and analyzes fire fighting at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and the whole fire fighting cases and divides the causes of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into preventive administration and suppressive administration sides. Those causes were resulted from discrepancies of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but some of them can be improved depending on firemen's efforts. In addition, the means available for preventing the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based on analyzed causes are suggested. Institutional approaches should be consulted with related agencies and legalized, but most managerial approaches can be introduced easily. Other means are approached for P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