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읍 도시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경상도 읍치 경관의 진산에 관한 고찰

  • 최원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3-168
    • /
    • 2003
  • 조선시대 군ㆍ현 읍치의 대다수는 현재 지방 도시의 도심부를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읍치의 과거 공간구조는 지금도 지금도 지방 도시 공간체계의 기본골격을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읍치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 연구가 부진하여 가장 기본적인 읍치 경관 구성요소의 위치나 규모조차 밝혀지지 못한 군ㆍ현이 많은 실정이다. (중략)

  • PDF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Jeju Island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MLP and LSTM (딥러닝 알고리즘 MLP 및 LSTM을 활용한 제주도 지하수위 예측)

  • Kang, Dayoung;Byun,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6-206
    • /
    • 2022
  • 제주도는 투수성이 좋은 대수층이 발달한 화산섬으로 지하수가 가장 중요한 수자원이다. 인위적 요인과 기후변화로 인해 제주도의 지하수위가 저하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 따라 지하수의 적정 관리를 위해 지하수위의 정확하고 장기적인 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이 지하수의 함양 및 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제주도의 특징적인 기상인자가 지하수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지하수위측에 있어서 물리적 모델을 이용한 방안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변화하는 지하수위의 정확하고 빠른 예측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애월읍과 남원읍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의 일 수위자료와 강수량, 온도, 강설량, 풍속, VPD의 다양한 기상 자료를 대상으로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인 다층 퍼셉트론(MLP)와 Long Short Term Memory(LSTM)에 기반한 표준지하수지수(SGI)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MLP와 LSTM의 표준지하수지수(SGI) 예측결과가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MLP과 LSTM 예측모델의 결정계수(R2)는 애월읍의 경우 각각 0.98, 남원읍의 경우 각각 0.96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하수위 예측모델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과 정밀한 지하수위 예측이 가능해질 것이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관리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Location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Eup-Settlem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Feng-Shui's Point of View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풍수적 입지분석과 경관유형- 경상도 71개 읍치를 대상으로 -)

  • Choi, Won-S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4
    • /
    • pp.540-55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locations and to interpret the landscapes of the local towns in Joseon Dynasty from Feng-shui's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locations of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owns which have typical Feng-shui landscapes make up to 58% of the total. Historically, the local towns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didn't reveal Feng-shui's landscape, but those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revealed the Feng-shui's landscape clearly. In this article, I classify the local towns of the Gyeongsang Province into 3 types: 1. Non Feng-shui type These towns are located near the seashore. The main reason that these towns were located at the seashore was defense against an enemy. 2. Semi Feng-shui type. These towns don't have natural location but have a man-made landscape, based on the principles of Feng-shui. 3. Typical Feng-shui type. These towns were typically administrational towns which were located at the center of a local region.

동해시의 역사문화 고찰

  • 정용화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6-86
    • /
    • 1995
  • I. 동해시의 개요 II동해시 연혁 1. 1632년 $\longrightarrow$북평땅에 박곡리부락 발생 2. 1948년 $\longrightarrow$묵호땅에 망상리 발달 3. 1941년 $\longrightarrow$묵호항(동해항구)개항 4. 1975년 $\longrightarrow$산업기지개발구역지정(500만평) 5. 1979년 2월 $\longrightarrow$북평항구개항 6. 1980년 4월 $\longrightarrow$묵호읍과 부평읍을 통합하여 동해시 승격 7. 1981년 4월 $\longrightarrow$일본국 쯔루가 항구도시와 자매결연 8. 1986년 12월 $\longrightarrow$북평항을 국제항구도시 동해항 개칭 9. 1993년 $\longrightarrow$중국 도문시와 자매결연 10. 1995년 $\longrightarrow$동해항은 동해안(남한)제1가는 국제항구(중략)

  • PDF

Development of Decline Diagnosis System for District Level Decline (지구단위 도시쇠퇴 진단시스템 개발)

  • Yang, Dong-suk;Yu, Yeong-hwa;Cho, Seong-Ye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302-1305
    • /
    • 2012
  • 본 연구의 선행 연구에서는 시군구단위 도시쇠퇴를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 단위보다 더 세밀한 읍명동 단위 및 지구단위의 도시쇠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구단위 쇠퇴진단 모듈을 기존의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도시의 세밀한 쇠퇴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중앙정부차원의 도시재생 사업 의사결정 담당자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도시재생 사업 담당자들이 사업을 계획하고 우선순위 대상지를 선정하는 업무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Based upon Pyeongtaek Citizen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평택시민의 환경인식에 따른 환경보존에 관한 연구)

  • Lee, Ch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4
    • /
    • pp.759-770
    • /
    • 2014
  • Pyeongtaek is one of the most dynamic and fastest growing cities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Pyeongtaek will be fostered as one of the most technologically advanced cities with over one million residents in ten years, in transit from the current status of an urban and rural multi-functional city. As a consequence of the change, it is also anticipated to embrace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yeongtaek citizens towards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conservation of nature. A survey of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was conducted with 700 people from the city.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Findings of the survey demonstrate that Pyeontaek citizens, overall, ar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they also expect the city to be prosperous without nature destruction. Based upon the results, the study describes the current status of the areas which the citizens consider as most crucial; further, it makes practical suggestions for ways of conserving the environment for the future.

Central Place System of Rural Areas and the Role of Eup-Myun Central Districts in Jeollabuk-do in terms of Living Service Supply (생활서비스 공급 측면에서 본 전라북도 농촌지역의 중심지체계와 읍·면 중심지의 역할)

  • Hong, Hwan-Seong;Lee, Ky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3 no.4
    • /
    • pp.88-9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life service supply structure in rural areas of Jeollabuk-d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life service in Eup/Myeon central area. In addition,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system in rural area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ly of living services in Eup/Myeon areas were also analyzed.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entir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Jeollabuk-do are intended to be established as a single wide area unit, breaking away from the current status of living service supply at the Si/Gun level. This study mainly conducted with three points. First, the spatial range of Eup/Myeon central districts with centrality in terms of living service supply was established. Seco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living service supply system in the rural areas of Jeollabuk-do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ving service supply level based on the centralit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Eup/Myeon central distric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entral place system of rural areas in Jeollabuk-do was established in terms of living service supply.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ving service functions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and the type of living service supply by hierarchy was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