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Eup-Settlem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Feng-Shui's Point of View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풍수적 입지분석과 경관유형- 경상도 71개 읍치를 대상으로 -

  • Choi, Won-Suk (Department of Geography, Graduate School of Korean University)
  • 최원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locations and to interpret the landscapes of the local towns in Joseon Dynasty from Feng-shui's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locations of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owns which have typical Feng-shui landscapes make up to 58% of the total. Historically, the local towns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didn't reveal Feng-shui's landscape, but those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revealed the Feng-shui's landscape clearly. In this article, I classify the local towns of the Gyeongsang Province into 3 types: 1. Non Feng-shui type These towns are located near the seashore. The main reason that these towns were located at the seashore was defense against an enemy. 2. Semi Feng-shui type. These towns don't have natural location but have a man-made landscape, based on the principles of Feng-shui. 3. Typical Feng-shui type. These towns were typically administrational towns which were located at the center of a local region.

이 글은 조선시대 지방도시(읍치)의 풍수적 입지 및 경관에 관해 경상도 71개 읍치를 대상으로 현지조사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고 유형을 분류하여 그 의미를 해석한 것이다. 풍수적 입지가 전형적으로 드러나는 읍치는 경상도의 전체 읍치 중에서 약 58%의 비율에 이르렀다. 경상도 읍치의 입지 지형은 산기슭과 배산평지(背山平地)가 많았는데 풍수적 요인도 입지 선정에 반영되었기 때문이었다. 역사적으로 조선 초기에 입지한 읍치는 풍수적 국면이 완연하지는 않으나, 조선 중기 이후에 새로 들어서거나 읍치를 이동한 지방도시의 입지에서는 분명한 풍수적 지향성이 드러났다. 풍수적 입지국면을 갖추지 못한 읍치들의 경우라도 조선 중기 이후에 지방사회에서 풍수적 영향력이 점증되자 기존 읍기(邑基)는 풍수적으로 새로 해석되고 인문적 요소를 통하여 풍수적 경관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글에서 경상도 읍치의 경관유형은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자연적 풍수입지 국면을 갖추지 못하고 인문적 풍수경관 요소의 비중도 낮은 읍치이다. 이들 읍치의 공통적인 속성은 해읍(海邑)인데, 군사방어를 위한 요충지적인 위치가 주 입지요인으로 작용했던 결과로 추정된다. 둘째, 자연적 풍수입지를 하지 않았거나 비중이 적지만 인문적 풍수경관 요소는 다수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들 지방도시는 최초 고려 말 이후로 점유되어 왔던 중심지적 관성, 군사방어, 교통, 경제 및 상업 등 풍수(風水) 외적(外的)인 입지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여 입지 하였지만 나중에 풍수적 인문경관으로 재구성된 결과이다. 셋째, 자연적 풍수입지 국면이 강하게 나타나면서 아울러 인문적인 풍수 경관요소도 다수가 나타나는 경우로, 이들 지방도시의 공통적인 속성은 지역의 중심지에 설치된 지방행정도 시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가뿐만 아니라 질적인 변화, 즉 태도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지반운동의 공간적인 차별성은 GPS 자료를 통한 지각의 이동방향에 의해서도 간접적으로 증명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기존에 알려져 왔던 한반도의 지진발생 메카니즘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한반도의 지형발달과 지진예측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pm}41000\;Bq/g,\;670\;Bq/g{\pm}460\;Bq/g$이었으며 22개 저방사능폐수지에서는 각각 $4.2\;Bq/g{\pm}4.3\;Bq/g,\;6.0\;Bq/g{\pm}5.3\;Bq/g$이 검출되었다. 고방사능 폐수지의 평균 $^{14}C/^3H$비는 28로 저방사능 폐수지의 0.70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4}C$$^3H$의 농도는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가정교과교육학 문항내용의 포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문서상에 표면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 다양한 교육과정 원리를 활용하는 문항내용 등과 같이 좀 더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관한

Keywords

References

  1. 太祖實錄(歷史編纂委員會, 1986)
  2. 新增東國輿地勝覽(明文堂, 1959)
  3. 輿地圖書(歷史編纂委員會, 1973)
  4. 慶尙道邑誌(韓國人文科學院, 1983)
  5. 海東地圖(규장각 소장)
  6. 1872년 郡縣地圖(규장각 소장)
  7. 이정국.박광규.이해성, 1990, '조선시기 향교건축의 배치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5), 29-37
  8. 최원석, 2004, '경상도 邑治경관의 역사지리학적 복원에 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16(3), 1-35
  9. 최원석, 2005, '지적원도를 활용한 읍성공간의 역사지리적 복원,' 문화역사지리, 17(2), 1-10
  10. 경상도읍치경관조사자료집-경상도 읍치의 역사적 조사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 중점분야 연구지원(KRF-2002-072-BS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