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향 측정

검색결과 1,570건 처리시간 0.048초

소형 마이크로폰의 전기적인 음향 특성 측정 시스템 (The Measurement System for Small Microphone's Electro Acoustic Characteristics)

  • 박병욱;김학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59-266
    • /
    • 2007
  • 소형 마이크로폰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전기 음향 특성 파라메타들로는 감도, 왜곡, 주파수 응답특성, 그리고 지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 파라메타들은 소형 마이크로폰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계되어야하므로, 음향특성들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소형 마이크로폰이 사용 목적에 적합하게 만들어 졌는지를 측정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SP를 이용하여 소형 마이크로폰의 음향특성 파라메타들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실시간에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측정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네 종류의 마이크로폰의 음향특성들을 측정하고, 각 마이크로폰이 갖고 있던 음향특성 데이터 값들과 비교한 결과, 측정 환경이 동일하지 않아 비교 값들 간에 약간의 오차가 있었지만, 그 오차 값들이 허용오차의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구현된 시스템이 기존의 소형 마이크로폰 음향특성 측정 장비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영상음향의 사운드디자인구조가 수용자 감응도 에 미치는 영향(TV광고영상음향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gnitive Psychology Creates in Sound Design Structure)

  • 유회종;문남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73-1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영상음향의 사운드디자인 구조의 차이가 수용자에게 어떠한 감응도 변화가 있는가를 알아 보았다. 실험은 60초의 TV광고음향을 음악으로만 디자인한 음향트랙과(A), 음향효과와 음악으로 디자인한 음향트랙(B)을 청취하게 하여, 어떠한 사운드 구조가 감응도(주의력, 활성도, 감성도)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 보았다. 실험은5명씩의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고 안정상태와 Fp1, Fp2를 중심으로 한 전두엽측정방식으로 한 뉴로피드백(Neuro feedback)뇌파측정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음악으로만 디자인한 A음향트랙에서의 감응도는 주의((ATQ)와 활성도(ACQ), 감성도(EQ)모두가 증가했으나 B트랙보다는 낮았다. 음악+효과음으로 디자인한 B트랙에서는 주의력(ATQ), 활성도(ACQ),는 A트랙보다 증가하였으나 EQ(감성도)는 반대로 A트랙보다 낮았다. 결과적으로 영상에서 음향은 주의력과 활성도 에는 기본적으로 뇌의 변화에 작용하나 정서적인 면은 역시 음악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한 효과음들은 음악보다 주의력과 집중도를 높이기는 하나 스트레스적(SQ)지수는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송과 영화 등의 사운드구조는 영상과의 호흡을 기본으로 하지만 실제로 시각정보와 청각정보가 동시에 합쳐져서, 심리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뇌신경측정으로 고찰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투과법을 이용한 폴리우레탄재료의 음향특성 측정 (Measurement of Acoustic Properties of Polyurethane by the through Transmission Method)

  • 김태식;이기석;안봉영;이진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0-47
    • /
    • 2000
  • 감쇠가 심하고 분산적인 폴리우레탄 재료의 음향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초음파 투과법을 이용하였다. 투과법에 있어서, 작은 크기의 시편에 적용할 수 있도록 Sachse의 방법을 이용하여 음속과 음향감쇠계수를 측정하였다.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음향특성을 측정하였을 때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려웠다. 반면, 두께가 서로 다른 두 우레탄 시편을 가지고 음향특성을 측정하였을 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저주파 대역에서의 음향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Kramers-Kronig 관계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저주파 영역까지 확대된 주파수에 따른 음속관계식을 구하였고, 음속과 음향감쇠계수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 PDF

음향반사판의 밀도별 특성 (Effect of surface density on sound absorption of acoustical reflectors)

  • 정정호;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72-275
    • /
    • 2008
  • 공연장음향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자재중의 하나인 음향반사판의 면밀도 변화에 따른 흡음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음향반사판은 목질계반사판으로 밀도 변화는 $11\;㎏/m^2{\sim}41k\;㎏/m^2$으로 총 3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저주파 대역에서의 흡음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브우퍼와 무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였으며 측정결과 중고주파수 대역의 흡음률은 면밀도 변화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저주파수 대역의 흡음률을 면밀도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음악 공연 공간내의 음향반사판의 면밀도 변화에 따른 실내 음향 특성 변화 및 설계지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다목적 문화예술회관의 리모델링시 개선전후의 시뮬레이션 및 음향측정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Acoustic in Multi-purpose Auditorium Using Remodeling and Computer Simulation)

  • 손장열;김정중;김용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08-815
    • /
    • 2003
  • 최근에 이르기까지 문화예술회관들이 대중들의 문화적인 욕구에 의하여 많이 건립되었으나 대중들과 음악가와 연주자들을 도외시한 채 건축음향 기획 없이 건립되어진 많은 문화예술회관들이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방재정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민영화로 독자적으로 운영을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경쟁체제에서 많은 문화예술회관들이 음향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대책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U문화예술회관의 대공연장을 중심으로 대공연장의 음향특성을 측정분석하고 최근 6년간의 공연장의 장르별 이용률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측정 결과를 중심으로 대공연장의 개선방향을 설정하고 음향 시뮬레이션를 통한 음향인자를 (잔향시간 (RT60, EDT), 명료도(C80, D50), LF, 음압레벨) 비교분석 평가하였다. 그리고 설계에 반영 벽체에 음향 보강 반사판을 시설하고 분석하여 리모델링 공사 후 음향특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벽체에 시공된 반사판의 효능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입사음파의 구동주파수와 음압진폭의 변화에 따른 음향 흐름현상 관측 (Observation of acoustic streaming Phenomenon with driving frequency and sound pressure amplitude in water)

  • 도중민;김병남;윤석왕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2호
    • /
    • pp.295-298
    • /
    • 2000
  • 음향 흐름 (Acoustic Streaming)현상은 음파가 유체 내에서 전파하는 경우에 음파의 흡수로 인한 음장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유체 내에서의 음향 흐름현상은 입사음파의 구동주파수나 음압진폭등에 영향을 받으며, 현재 음향 흐름현상은 DNA 분열이나 박테리아 분해 등 생체학적 효과01 초음파의 비 열적 효과로 널리 사용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서 전기분해 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기포층에 음파를 수직 입사하여 밀려나가는 기포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입사음파의 구동주파수와 음압진폭 변화에 따른 음향 흐름현상을 관측하였다. 기포의 거리 측정 결과에 의하면 입사음파의 음압진폭 증가에 따라 기포의 밀림현상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구동주파수 변화에 따른 기포의 밀림현상은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본 측정결과로부터 음향 흐름현상은 입사음파의 구동주파수에 의한 영향을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음압진폭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차량의 실내 반사음패턴 측정기법 (Measurement of Reflection Patterns inside Automotive Cabin)

  • 두세진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11-14
    • /
    • 1998
  • 근접 4점법을 이용하여 음원으로부터 측정점까지 음파가 전달되어 오는 공간상의 반사음 패턴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반사음간의 시간차가 매우 작게 되고 따라서 단지 몇 개의 초기 반사음을 제외하고는 측정이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에 사용된 스피커의 특성을 역필터링하여 차실 내의 펄스 반사음 자체 특성만을 추출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반사음 패턴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내 반사음 패턴은 음파의 경로를 보여 주는 것이므로 본 측정법은 차량의 실내 음향 특성 파악과 음질 개선에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3차원 TDOA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 음향 센서의 위치 오차에 따른 PDOP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DOP due to the Position Error of Acoustic Sensors in the 3D TDOA Positioning System)

  • 오종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99-205
    • /
    • 2015
  • 많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실내에서의 위치 인식을 위한 기술 개발이 매우 활발하다. 특히 음향 신호를 이용한 TDOA 방식의 위치 측정 시스템도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 방식은 스마트폰의 스피커와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 측정 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관련 쌍곡선 수식을 계산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피커와 각 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에 항상 오차가 있고, 게다가 위치 측정 장치에 설치된 음향 센서인 마이크의 설치 위치 오차에 따라서 위치 측정 오차가 매우 크게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TDOA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 음향 센서의 위치 오차에 따른 위치 측정 오차가 PDOP 시뮬레이션과 실험으로 분석되었다.

강당 음향 특성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Computer Simulations for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an Auditorium)

  • 김경엽;이상희;고상철;김정호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287-292
    • /
    • 2001
  • 당과 같은 실내 음향 문제는 강당의 사용자와 관리자의 주관적인 평가가 배제되기 힘든 것이므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물리적 측정이나 실험, 해석 등을 통한 다각적인 정량적 분석 자료를 산출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강당에 대한 고유 음향 특성-잔향시간, 명료도, 음압레벨-을 실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 음향 분포를 파악하고, 현재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의 지향성 및 위치 등에 따른 음향 특성을 알아보았다. 대표적인 음향평가 지수인 잔향 시간은 랜덤노이즈를 음원으로 사용하여 음향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시뮬레이션과 비교함으로써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신뢰성 또한 검토하였다.

  • PDF

대법원청사 대법정의 음향장해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bstacle of Acoustic in Judgment Hall Using Improvement)

  • 김정중;김용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72-777
    • /
    • 2003
  • 우리나라의 법원청사 법정은 음향적으로 재판에 필요한 관련자의 발언을 청취하고 또한 방청석에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실의 형상과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목적에 알맞게 건축음향설계를 하여야 하나 법정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도외시하고 거의 예외 없이 음향 전문가의 건축 음향의 기획 검토설계 없이 건축설계자와 시공자에 의하여 설계 건립되었으며 또한 준공된 예술회관과 종교단체의 건물들도 음의 장애현상으로 활용목적을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법원청사 대법정의 현재의 건축 구조를 본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재판에 관련된 관련자석과 방청석에서 발생되고 있는 음향 장해현상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법정의 음향장애 현상을 측정분석을 통하여 주파대역별로 분석하고 건축음향 개선에 필요한 대법정의 실내 흡음력을 산출하여 대법정의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음향 개선설계를 측정 결과치를 중심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음향 시뮬레이션를 통한 음향인자를 (잔향시간, 명료도) 비교 분석 평가 분석한 결과 잔향시간 평균값이 500Hz를 기준으로 1.59대에서 음향설계결과 예측 잔향시간 값이 법정의 권장치인 잔향시간 평균값을 1.1초대로 감소 개선할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