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향 측정

Search Result 1,56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urrent measurements by using ocean acoustic tomography of reciprocal sound transmission (쌍방향 음파전파의 해양음향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유속측정)

  • 변상경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91-494
    • /
    • 1998
  • 해양음향 토모그래피는 해수중을 전파하는 음파의 전파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으로부터 수온 및 유속의 분포를 구하는 새로운 관측기법이다. 해양음향 토모그래피에 의한 실시간 유속측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해양음향 토모그래피의 유속측정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쌍방향 음파전파의 해양음향 토모그래피 실험을 1997년 4월중에 거제도 남쪽해역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시의 해양물리 환경을 고찰하고 토모그래피에 의한 유속측정 결과를 초음파 유속계(ADCP)에 의한 유속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모그래피에 의한 유속측정은 매우 양호하게 나타나, 향후 유속측정법으로 활용성이 크리라 기대되었다.

  • PDF

Estimation of Wide-Band Acoustic Measurement Accuracy Based on Confidence as Variation of Signal-to-Noise Ratio (신호대잡음비에 따른 신뢰도 기반의 광대역 음향측정 정확도 예측)

  • 도경철;최재용;손경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8
    • /
    • pp.93-97
    • /
    • 1998
  • 미지신호에 대한 측정에서는 오차분산의 명확한 표현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수동측정에서의 측정정확도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정립한다. 제안된 예측 방법은 신 뢰도를 기반으로 신호대잡음비 및 주파수대역폭과 시간적분과의 곱에 의해 정확도를 표현한 다. 본 논문에서는 배경소음 환경에서의 측정음향을 그대로 분석하는 경우와 배경소음을 예 측하여 측정음향에서 제거시키는 경우를 구분하여 광대역 음향측정시의 성능예측 기준을 시 뮬레이션하고 정확도를 예측한다.

  • PDF

Properties estimation of acoustical material (음향재료의 물리적 성질 추정)

  • Kim Yoon Jae;Kang Yeon Jun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95-198
    • /
    • 2004
  • 음향재료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음향재료의 여러 물성들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음향재료의 물성들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시간이 오래 걸리며, 복잡한 작업이다. 실제로 비틀림률이나 특성길이들은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렵다. 음향재료 각각의 물성들이 흠음률과 표면임피던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임피던스 튜브에서 측정한 수직입사 흠음률을 이용하여 물성들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물성과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음향재료의 물성을 비교하고, 추정된 물성들을 토대로 음향학적으로 모델링된 이론식으로 예측된 흡음률과 임피던스 튜브를 이용하여 측정한 흠음률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Comparison of Acoustic Attenuation Measurement Technique of Polyethylene Matrix Composite Materials (폴리에틸렌기재 복합재료의 음향감쇠 측정방법 비교)

  • Kim Kyongsub;Jung Hyun K.;Lee Zin-Hyoung;Hong Soon H.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65-268
    • /
    • 1999
  • 감쇠가 큰 고분자 복합재료에서 초음파 다중반사파를 이용한 Pulse Echo법, 공진주파수에서 내부마찰계수 측정법과 Rheometer를 이용한 동적탄성계수 측정법을 사용하여 음향감쇠계수를 측정하고 각각의 측정자료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Pulse Echo법을 이용하여 0.5, 1.0, 2.25MHz에서 음향감쇠계수를 측정하였고, 이때 폴리에틸렌기지 복합재료의 음향감쇠계수는 강화재의 부피분율에 따라 3-15dB/cm 정도로 큰 값을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기지 복합재료를 600kHz 근처에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시편을 만든 후에 내부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로 계산된 음향감쇠계수는 Pulse Echo 실험에서 구한 값과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Rheometer를 이용한 동적탄성계수 측정법은 0.1-100Hz의 주파수에서 측정한 자료를 TTSP 이론을 이용하여 1MHz의 결과와 비교하였는데, 단일 고분자 재료에서는 다른 측정방법과 음향감쇠계수가 일치하였지만 복합재료에서는 음향감쇠계수값이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Parametric Array를 이용한 음향창 시편 시험 방법에 대한 연구

  • Hwang, Eu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0a
    • /
    • pp.768-768
    • /
    • 2011
  • 선박/잠수함에 설치하는 소나(sonar)는 외부 해양 환경 및 유체 흐름을 위해 소나 돔을 설치하여 운용한다. 하지만 소나 돔 설치로 인해 핵심 기능인 음향신호 송/수신 기능 저하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소나돔을 설계시, 구조적으로는 수중 폭팔 등의 각종 하중으로부터 센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음향적으로는 음파의 송수신 신호를 저하시키지 않는 재질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을 하여야 한다. 소나돔에 의한 음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계 시, 소나돔음향창 시편을 통하여 음향신호가 이를 투과하면서 생기는 신호 왜곡 혹은 투과 손실 측정을 수행한다. 제한된 크기의 수조 시험장에서 투과 손실이 측정이 되는데, 음원 반사, 회절(diffraction) 등의 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측정이 불가피 하다. 이때, 좁은 빔폭 (Beamwidth)을 갖는 Parametric array를 이용하여 음원 회절이 생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음향창 시편의 크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제한된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음향창 시편의 투과 손실을 측정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arametric array를 이용하여 음향창 시편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향창 투과 손실을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coustic Power Measurement System of Array Probes for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Using Radiation Force Balance Methods (방사힘 측정법을 이용한 초음파 진단장치용 배열 탐침자의 음향파워 측정시스템)

  • Yun, Yong-Hyeon;Jho, Moon-Jae;Kim, Yong-Tae;Lee, Myoung-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6
    • /
    • pp.355-364
    • /
    • 2010
  • Considering biological safety,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acoustic power from ultrasonic array probe for diagnostic ultrasound imaging applications. In this paper, to measure acoustic power from each element on array probe for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we reconstruct and automate the acoustic power measurement system. The acoustic power from linear, phased and curved array were measu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measurement, the effects caused by directivity of sound beam from curved array were founded. To remove these effects, we developed and applied the correction model. The proposed system is useful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al output power of array probe.

Design of Underwater Acoustic Measurement System with Vertical tine Array (음향측정을 위한 수직선배열측정체계 설계 기법)

  • Son Kweon;Choi Jae Yong;Heo Bo Hyeon;Dho Kyeong Ch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49-25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수중음향측정을 위한 수직선배열측정 체계 설계 개념을 연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선배열 측정체계를 이용한 음향측정 시 고려해야 할 설계 기법들을 고찰하고, 측정 주파수 대역에서 지향지수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비선형 센서배열 설계 알고리즘과 피측정 음원의 위치추정을 위한 음향학적 능/수동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유용성은 시뮬레이션과 해상시험으로 확인한다.

  • PDF

Room acoustic measurement and analysis (실내 음향 측정 및 분석 기법 연구)

  • Hong Seung-Wook;Jeon Jin-Ho;Lee Sin-Lyu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57-56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실내음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향 측정 신호인 blank pistol, maximum length sequence, sine sweep 을 이용한 충격응답 특성을 분석한다. 각 충격응답의 실내음향 인자들을 먼저 비교 분석하고 sine sweep 속도에 따른 충격응답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실내음향 인자를 찾기 위한 sine sweep 속도를 결정한다.

  • PDF

A Comparison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Jeonmin Catholic Church (전민동 성당의 음향 특성에 관한 모의 실험 및 측정 결과 비교)

  • Jeong Cheol-Ho;Kwon Young-Ill;Shin Sung-Hwa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41-244
    • /
    • 2004
  • 전민동 성당은 얕은 팔각뿔대 형상의 지붕을 가진 팔각기둥의 형태로 재설계되었다. 팔각기둥의 형상은 마주보는 4쌍의 벽들로 인하여 공간에서 정상파가 발생하기 쉽고, 지붕 또한 둥근 형태로 음향 초점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전민동 성당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음향 인자들을 예측하였고, 예측치와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사용된 음장해석 프로그램은 $CATT^{TM}$이고 예측 또는 측정된 음향인자는 RT, D50, C80 등이다. 건축물만의 특성과 전기음향설비가 포함된 음향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무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한 측정과 성당에 장착된 전기음향장치를 이용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공연장과 마찬가지로 성당의 신도석에서도 음이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도석에서의 음압분포를 예측과 측정을 통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 PDF

A study for Estimation of Sound Source location using 256 Channel Microphone (256채널 마이크로폰을 사용한 음원 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

  • 송성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85-18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256(16$\times$16)개의 마이크로폰 정방형 배열에 의한 음향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제작하고, FFT에 의한 음향 홀로그래피법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원 위치 추정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측정 시스템은 방사된 음들을 동시 수음함으로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환경 잡음이 존재하는 실음장에서도 계측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고분해능으로 안정하게 음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SYSNOISE에 의한 음장해석과 음향 홀로그래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 간격 및 측정면 크기, 측정거리의 최적 조건을 구한 후 실음장 측정 실험에 적용하였다. 수치 시뮬레이션과 무향실에서 실험 데이터에 의해 음원 위치를 추정한 결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