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주

Search Result 1,61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psychological study of determinant factors on drunk-driving judgements (음주운전 결정요인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 최상진;손영미;김정인;박정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33-47
    • /
    • 2001
  • 본 연구는 운전자가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음주운전결정요인에 대해 탐색하고, 이들 요인들에 대해 음주운전자와 비 음주운전자 간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단심층면접과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얻은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사회심리적 요인들을 종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는 음주운전 경험이 있는 운전자 136(남자 122명, 여자 13명)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운전자들은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1) 음주정도, 2) 음주 후 경과시간 정도, 그리고 3) 다음날 이동시의 불편함, 4) 집과의 거리 정도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에 대해 음주운전자와 비 음주운전자 간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잘못된 신념'에 해당하는 요인들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에 비해 음주단속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음주단속과 교통사고 발생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고, 자신의 운전실력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목전단기이익 추구 경향성'에 해당하는 요인들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보다 음주 후 차를 두고 갈 경우 야기되는 비용부담, 다음날 이동시의 불편함 그리고 집과의 거리 정도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보다 마신 술의 양(음주량)에 대해 더욱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음주운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선박의 음주관리

  • Kim, 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82-184
    • /
    • 2019
  • 2019년 2월 28일 광안대교와 충돌한 러시아 화물선 사고를 계기로 한국의 해상음주 관련규정과 해기사의 음주문화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해상음주 기준(혈중알코올농도 0.03%)은 국제적 기준(0.05%)보다 높으며 이에 따라 회사의 음주관리기준도 강화되어 있다. 한국 해기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해기사의 음주율은 국민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음주동기는 한국민과 유사한 현상을 보이지만 직책, 선종, 해역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으며, 회사의 음주관리지침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음주로 인한 폐해는 크기 때문에 해상직업의 특성을 고려한 음주환경을 만들고, 효과적인 선상 음주통제를 위해서는 선종이나 해역별로 차별화할 필요가 있으며, 해상환경에 맞는 합리적인 음주통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Comparison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State of Drinking,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간호대 여학생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

  • Kim, Jong-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8
    • /
    • pp.183-19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respect to drinking habit, drink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Ed note: confirm edited version; original is a bit unclear in intent) Subjects includ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an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and May, 2018. A total of 18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and drinking-problem group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of drinking problem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drinking problems. The findings show that the frequency of drinking, rate of drinking, drinking motives, life stress, and prior experiences with drinking problems recorded a high risk ratio for drinking problems. Specifically, the group with a drinking frequency of 2~3 times per week showed a risk ratio that was 21.53 times higher than the group with a drinking frequency of 1~4 times per year. The group of higher drinking motives recorded a risk ratio that was 5.96 times higher than the group of lower drinking motives. The group of higher experiences with drinking problems showed a risk ratio that was 8.80 times higher than the group of lower experiences with drinking problems. In conclusion, the frequency of drinking, rate of drinking, drinking motives, life stress, and experiences with drinking problems were factors highly related to the drinking proble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highlight that careful evaluation of drinking habit of college students are needed. Moreover, periodic temperance education and programs designed to identify and prevent drinking problems are necessary to lower the risk of developing drinking problems and promote a safe drinking culture.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cheon Area (춘천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Yoon-Sun;Kim, Bok-R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6
    • /
    • pp.934-94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cheon area. Lifelong drinking rate of subjects was 98.1%. Problematic drinking rates according to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were as follows: 21.3% 'no problem', 58.0% 'at-risk drinking', 10.0% 'alcohol abuse' and 10.7% 'alcohol dependence'. Research has shown that problematic drinking is more prevalent among freshmen, early drinkers, those with hypochondria, and students who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campus life or whose own parents are frequent drinkers. It has been shown that more serious problematic drinking is associated with higher 'positive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and 'coping motives for drinking', and 'recognition level of drinking cultures' is considered less desir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oping motives for drinking'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problematic dr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Developing and fostering various alcohol-reducing programs that largely focus on 'coping motives for drinking' will greatly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atic drinking.

A Study on the Effective Alcohol Education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Alcohol Problems (음주문제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보건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 Lee, Young-Sook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2 no.2
    • /
    • pp.139-145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문제의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음주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문화적 행위로서의 음주행동의 특징을 파악하고 음주로 인한 위해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음주행동은 한 사람이 속한 사회의 문화와 관습이 허용하는 범위에 따라 그 사회가 공유하는 음주에 대한 태도나 가치의 영향을 받아 학습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음주는 사망률, 이환율, 유산율, 범죄율 등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생명손실은 엄청난 것이다. 매스미디어를 통한 음주교육은 다른법적 제재와 병행될 때 효과적이다. 음주연령이나 세금부과 등을 통해 음주행위를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주교육의 주기능은 법령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perceived fear)를 높이는 것이다. 음주행위에 관용적인 사회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법령이나 처벌보다 더 효과적이다. 과도한 음주행위에 대한 비판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같은 비공식적인 사회적인 제재가 음주문제의 예방에 더욱 중요하다. 청소년의 음주행위는 부모와 동료집단과의 관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모와 동료집단의 참여하에 객관적인 태도를 통해 자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음주교육에 대해 지식과 경험을 갖춘 교사가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음주문제에 대한 이해와 바람직한 태도를 습득하게 하고 동료집단의 압력을 거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는 편견이 없는 객관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하고 최종적 결정은 지식에 근거하여 청소년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음주는 가정불화, 좌절감, 실업, 이혼 둥의 부정적 감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깊은 인간관계를 통한 상담이 효과적이다. 단주친목과 같은 자발적인 민간단체는 알코올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 모여 친목하는 가운데 도움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단체의 활용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병원에서의 음주교육은 노조의 참여하에 전문적인 의료인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전에 알코올중독에서 회복된 사람을 동료교육가(peer educator)로 활용하는 것도 효율적인 교육방법중의 하나이다. 의과대학의 교과과정에 음주교육에 대한 내용을 더욱 확대하여야 한다. 음주교육은 음주라는 행위의 저변에 깔린 문화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계획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음주교육은 지역사회 전체의 참여를 통해 부모, 학생, 정부, 민간단체, 매스미디어의 공동참여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 PDF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of Employees: Focus on the White Collar Employees (직장인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무직 직장인을 중심으로)

  • Kweon, Gu-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2
    • /
    • pp.93-118
    • /
    • 2005
  • This research examined influence of job stress and drinking subculture on the drinking of white collar employe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higher percentage of population among white collar employees who hold drinking problems in terms of frequency of drinking, amount of drinking, frequency of binge drinking comparing with general populace. The results of research revealed that drinking problems of white collar employees is quite close to dangerous level. Second, job stress didn't display a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however, drinking subculture revealed that it was related with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exhibiting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results of research didn't support tension reduction hypothesis, and it was identified that social learning theory is main factor that will explain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of white collar employees. Therefore, researcher suggested as follow; Firs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exert their efforts for studying about drinking in the relationship to white collar employees. They should also have more interests in the topic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Second, suggest that EAPs be introduced in order to prevent white collar employees from drinking problem and to promote increase of entire welfare. Third, suggest that succeeding research endeavors be required, which shall embrace all of white & blue collar employees.

  • PDF

The Effect of Alcohol Advertising and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on Alcohol-related Harms in Adult : Dual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Level (주류광고, 주류 판촉 마케팅이 성인 음주폐해에 미치는 영향: 음주동기와 음주수준의 이중매개효과)

  • Park, Ka Young;Lee, Hee 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559-570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level between alcohol advertising,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and alcohol-related harm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2,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70 years, recruited by an online surve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alcohol advertising,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drinking motivation, drinking level, alcohol-related harms appeared more in men than in women. In addition, alcohol advertising,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have positive effects on alcohol-related harms. Also,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level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alcohol sale promotions marketing exposure, and alcohol-related harms. In order to prevent alcohol-related harms, a social environment that causes alcohol-related harms should be tightened regulations about alcohol advertising,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at needs the intervention not only personal perception but also social environment and regulations about alcohol advertising,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existence of spouse and drinking behavior (결혼 후 배우자 유무와 음주 행태의 관련성 연구)

  • Lim, Jong-Min;Na, Bak-Ju;Lee, Moo-Sik;Hong, Ji-Young;No, Young-Su;Jeong, Gye-Rim;Hwang, Hye-Je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79-483
    • /
    • 2009
  • 서론: 최근 음주가 사회적 문제로 더욱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음주 소비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빠른 사회경제적 변화는 새로운 도덕과 가치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알코올 소비량의 증가와 관계가 있다.(양정남, 1998) 특히 결혼 및 배우자 유무는 음주에 중요한 관련 요인이라는 주장이 있음에도(김태수 등, 2003) 실증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 후 배우자 유무와 음주 형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음주 관련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40대 이상의 남녀 중 결혼 경험이 있는 14,970명 중 음주행태에 관한 설문에 응답한 3,190명이었으며, 결혼 후 배우자의 유무에 따른 고위험 음주 경험 및 다빈도 음주, 음주자제빈도, 고위험음주빈도와의 관련성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 후 배우자 유무에 따른 음주 행태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 1,678명(52.6%)이며, 여자 1,512명(47.4%)였다. 연령별로는 65세 미만 2,359명(73.9%), 65세 이상 831명(26.1%)이었다. 결혼상태는 유배우 2,621명(82.2%), 사별 344명(10.8%), 이혼 및 별거 225명(7.1%)이었다. 고위험 음주경험은 한달에 한번 미만 1,883명(59.0%), 한달에 한번 정도 379명(11.9%), 일주일에 한번 이상 928명(29.1%)으로 한달에 한번 미만 고위험 음주를 경험한다가 가장 많았으며, 일주일에 한번이상. 일주일에 한번정도 순으로 고위험 음주를 한다고 응답하였다. 월평균 음주 횟 수에 있어서는 5회 이하 1,149명(36.0), 6회-10회 395명(12.4%), 11회이상 593명(27.7%)이었다. 고위험 음주 경험을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고위험 음주 경험을 많아 하며, 연령이 증가하면 고위험 음주음 경험이 낮아지며, 교육수준이 높아지면 고위험 음주 경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자제 경험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음주자제 경험을 많아 하며, 연령이 증가하면 음주자제 경험이 낮아지며, 교육수준이 높아지면 음주자제 경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빈도 음주 경험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다빈도음주 경험을 많아 하며, 연령이 증가하면 다빈도 음주 경험 높아지며, 가구 평균 소득이 증가 하거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 다빈도 음주 경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결혼 후 배우자 유무와 고위험 음주는 남녀를 합친 전체와 남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음주자제빈도에서는 남녀를 합친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다빈도 음주에서 여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절주사업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PDF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 여대생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 Park, Gyung;Choi, Soo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9
    • /
    • pp.364-37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over 8 scores of AUDIT-K.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 students with intervention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tudents with no intervention program in the control group and analyzed using ${\chi}^2$, t-test and ANCOVA. Results: The Drinking related knowledge(F=14.33, p<.001)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optimistic drinking outcome expectancy(F=18.28, p<.001),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F=5.57, p=.003)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receive this program to prevent and reduce their drinking behaviors.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Smoking and Negative Behaviors among Police Officers (경찰공무원의 음주, 흡연과 부정적 행동의 관련성)

  • Sin, S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8
    • /
    • pp.218-225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describ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smoking and negative behaviors especially absenteeism and discipline among police officer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And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health improvement of police officer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