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원서비스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User Music Recognition System For Online Music Management Service (온라인 음악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음원 인식 시스템 개발)

  • Sung, Bo-Kyung;Ko, Il-J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1
    • /
    • pp.91-99
    • /
    • 2010
  • Recently, recognizing user resource for personalized service has been needed in digital content service fields. Especially, to analyze user taste, recommend music and service music related information need recognition of user music file in case of online music service. Music related information service is offered through recognizing user music based on tag information. Recognition error has grown by weak points like changing and removing of tag information. Techniques of content based user music recognition with music signal itself are researched for solving upper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user music recognition on the internet by extracted feature from music signal. Features are extracted after suitable preprocessing for structure of content based user music recognition. Recognizing on music server consist of feature form are progressed with extracted feature. Through this, user music can be recognized independently of tag data. 600 music was collected and converted to each 5 music qualities for proving of proposed recognition. Converted 3000 experiment music on this method is used for recognition experiment on music server including 300,000 music. Average of recognition ratio was 85%. Weak points of tag based music recognition were overcome through proposed content based music recognition. Recognition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show a possibility that can be adapt to online music service in practice.

Security Analysis on Commercial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 and Countermeasures (국내 포털사이트 음원서비스 취약점분석 및 대응방안 제안)

  • Lee, Sang-Sik;Choi, Dong-Hyun;Won, Dong-Ho;Kim, Seung-Joo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6C no.6
    • /
    • pp.681-690
    • /
    • 2009
  • Nowadays, the music industry is moving from analog to digital. Most of the big portal sites provide commercial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tendenc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ecurity of the Korean commercial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s which are provide by the Korea's major portal sites(Dosirak, Cyworld, and Naver). Moreover, we show attacks on commercial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s that lead to an infringement of copyright and propose technical countermeasures for online commercial music streaming services, the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work are that the measures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music.

The Implementation of the multi-channel real sound player for User Interactive Music Service (사용자 Interactive 음원 재생을 위한 다채널 실감 Audio 재생기 구현)

  • Jung, Jong-Jin;Lim, Tae-Beom;Lee, Seo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66-269
    • /
    • 2010
  • 급속한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멀티미디어 재생 개발 기술들은 단순히 수동적으로 보고 듣는 재생 기술에서 벗어나 청취자 감성, 취향 등에 따라 보다 실감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기술로 진화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오디오 서비스는 음원 개발자 중심의 오디오 서비스, 즉 보컬 및 모든 악기가 믹스된 단일음원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순히 오디오 음원 개발자나 음반 제작사가 발매한 단일 음원을 일방적으로 수동적 청취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용자 능동형 오디오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음악적 취향에 따라 능동적으로 각각의 객체 기반의 독립 음원을 선택, 감성에 따른 음원 효과 추가, 최적의 음원 청취 위치(Sweet Spot) 변경, 음원 및 스피커 재생 공간 및 위치 변경 재생 등을 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음원들을 입력받아 임의의 필터링을 실행하고, 사용자 음원 보정 정보, 출력 유닛의 공간적, 음향적 특성을 상위제어기로부터 입력받아 전신호경로 상에 디지털 신호처리 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DSP 시스템 플랫폼 및 알고리즘에 관하여 소개한다.

  • PDF

The Diachronic Analysis on the Vertical Integration in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국내 음원 시장의 수직계열화 현상에 대한 통시적 분석)

  • Kim, Hee-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0
    • /
    • pp.267-27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ertical integration,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appears in each period and how these phenomena affect the digital music market. As a result, we could find out that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is a vertically integrated market centered on ISPs. There were a variety of subjects that led the digital music market from the early digital music in 2000s to the latest streaming market. However, ISP was the only subject that vertically integrated all aspects of cont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rough its subsidiaries and affiliated companies. A variety of combined services, supplementary services, and fare plans provided by using its platform and network have become mainstream services in the domestic digital market and have fixed the current transaction type in domestic market.

Analysis and Prevention of Contents Exposure in Music Streaming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음원과 메타데이터 노출 분석력 및 방지 방안)

  • Jung, Woo-sik;Nam, Hyun-gyu;Lee, Young-seok
    • KNOM Review
    • /
    • v.21 no.2
    • /
    • pp.10-17
    • /
    • 2018
  •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the consumption method of music contents is changing to streaming rather than download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meta data of the music source exposed on the network traffic for the 19 music streaming services in Korea and abroad. We propose a preventive measure.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all of the 19 services were exposed to the metadata of the music. We propose a music and metadata protection method such as certificate fixing method to prevent exposure of such music and metadata.

음원 소비 방식에 따른 소비자 행태 차이 분석 연구

  • Seok, Min-Seong;Yu, Byeong-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91-194
    • /
    • 2019
  • 최근 수십 년 동안 음악 산업처럼 빠르게 변하고 많은 도전에 직면한 산업군도 드물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CD와 같은 실물을 통한 음악 소비를 mp3와 같은 음원 소비 방식으로 바꿔 놓았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의 발달은 스트리밍을 통한 음원 소비 방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음원 스트리밍 시장은 IT 기술의 발전으로 빠른 성장을 거듭하여 스트리밍 이용 수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음원 다운로드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음원 소비가 소유방식에서 접근방 식으로 변화 중이라고 할 수 있다. 음원 소비 방식이 달라지면 소비 행태가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원 다운로드와 음원 스트리밍 소비 행태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음원 서비스 회사의 음원 스트리밍과 음원 다운로드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원 소비 방식에 따른 행태 차이를 살펴봄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을 듣는 탐색비용과 한계비용이 훨씬 적은 스트리밍이 다운로드에 비해 틈새시장(niche market)에 속하는 음악을 들을 가능성이 높아 소비자들이 다양한 음악을 청취할 것이라는 선행 연구와는 다르게 스트리밍이 다운로드에 비해 차트 상위권 음원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스트리밍 산업에서의 매출집중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기업 데이터를 통해 실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음원

  • Baek, Jae-Yeong
    • Digital Contents
    • /
    • no.5 s.156
    • /
    • pp.58-63
    • /
    • 2006
  • 모바일음원콘텐츠는 모바일서비스와 함께 시작된 콘텐츠로 서비스 초기에 많은 CP들이 참여하여 급격한 시장 확대를 이루어 냈으나 2004년부터 성장이 멈추고 경쟁이 극심해져 많은 CP가 도태되는 부익부 빈익빈 단계로 접어들었다. 모바일음원콘텐츠의 경우, 최근 MP3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온라인음악이라는 새로운 시장 개척이 활발해져 시장 확대에 기여를 하고 있으나 이동통신사의 매출증대에만 기여할 뿐 CP들의 매출에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PDF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for Songs Based on Co-Occurrence Analysis Method (동시출현정보분석을 이용한 음원 협력추천 서비스에 대한 연구)

  • Choi,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129-132
    • /
    • 2013
  • 협력추천은 이용자가 가지고 있던 지식과 경험 또는 정보를 활용하는데 사용하였던 지식을 토대로 다른 이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이 연구에서는 음원 서비스의 기존 이용자들이 구축해놓은 공개앨범에 나타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에 동시인용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음원을 찾고자 하는 이용자들에게 선호할 만한 음악을 추천해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동시출현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 가수 네트워크에서는 연관 가수 집단이 폭 넓게 표현될 수 있었고, 동시출현한 빈도가 높은 상위 곡은 이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유사정보를 추천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icing Policy of Music Service in Digital Music Market-focused on the Regulations for the Digital Music Service (디지털 음악시장에서 음원사용료 징수 개정안의 고찰-2013년 징수개정안을 중심으로)

  • Jung, Ji-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4
    • /
    • pp.341-348
    • /
    • 2015
  • As a result of growth of digital music market in Korea, Creator's rights and interests have been at the heart of the debate in terms of legal system. In the music industry, digital music revenue has now overtaken records sales and compared to download service it is now clear that music streaming and subscription is mainstream model in the rise of the worldwide market of digital music. This trend is also indentical to the domestic and withholding regulations for music service and creator's rights and interests have become an ever growing issu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d Tourism decided the revision of withholding regulations for the digital music service in 2013. The amendment is to change its policy of charging music service from the flat rate pricing to a usage-based system. This paper brought forward some disputable points such as fair division of profit, reasonable pricing for consumers etc. about the revision. Therefore, improvement of system and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uch copyrights are still required for both the encouragement of creator's activities and the high consumer satisfaction.

국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의 사용자 특성 연구

  • Seok, Min-Seong;Yu, Byeong-Jun;Lee,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27-30
    • /
    • 2018
  • 디지털 음원 시장을 양분하는 가장 대표적 디지털 음원 소비방식은 다운로드(download)와 스트리밍(streaming)이다. 음원 스트리밍 시장은 IT 기술의 발전으로 빠른 성장을 거듭하여 스트리밍 이용 수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다운로드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음원 소비 방식이 소유방식에서 접근방식으로 변화중이라고 할 수 있다. 스포티파이(Spotify)와 같은 음원 스트리밍 기업이 프리미엄(Freemium) 가격정책을 운용하는 반면, 국내 음원 스트리밍 기업은 정액요금제 가격정책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정액요금제 가격정책을 채택한 기업의 수입은 소비자가 매달 지불하는 일정한 금액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비용은 징수규정에 따라 소비자가 스트리밍을 하는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있다. 서비스를 열성적으로 이용하는 소비자가 추가 구매를 할 가능성이 높은 다른 비즈니스에 비해, 정액제로 운영되는 음원 스트리밍 비즈니스는 사실상 추가 구매가 이뤄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음원 이용 건수가 많은 소비자가 기업의 높은 가치를 주는(high-value) 고객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리밍 정액요금제 소비자를 음원 소비량에 따라 세분화(segmentation)하고 이들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음원 스트리밍 기업과 연구자에게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