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영 효과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7초

광원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쇼케이스 조명실험연구 (A Experimental Study the Showcase Lighting by Position of Light Source)

  • 김현지;장상옥;안옥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27
    • /
    • 2004
  • 본 실험은 상업공간 중에서 화장품매장 쇼케이스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바람직한 쇼케이스 조명환경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쇼케이스 조명의 실험 결과, "명시성" 과 "차별성" 을 얻기 위해서는 내부 조도를 높게 하고 균등하게 밝히며, "정서성" 을 얻기 위해서는 적당한 조도로 수평 뒷면 조명과 수직 앞부분 조명을 하여 음영의 효과를 얻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 셀 환경에서의 원편파 특성 해석 (An Analysis of Circular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in the Microcell Environments)

  • 김성명;김병옥;하인철;하덕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57-161
    • /
    • 2000
  • 본 논문은 2린 대역의 마이크로 셀 환경에서 원편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파의 특성을 이론적 해석과 실제 측정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였다. 가시거리에서는 원편파가 기수회 반사파 수신을 억제하기 때문에 다중경로 페이딩에 대한 경감 효과가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E"자형 건물의 회절 음영 지역에서도 원편파의 편파 특성이 잘 유지되는지를 측정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선회 원편파(C), 역선회 원편파(X), 수직편파(V), 수평편파(H)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각의 송수신 편파간 조합에 대하여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를 이동 측정하였다. 전파 모델은 "E"자형 건물의 회절지역 모델에서 2개의 경로를 선택하여 각각에 대한 전파의 편파 특성을 분석하였다.대한 전파의 편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DMB 방송망에 효율적 전송을 위한 텔레매틱스 컨텐츠 처리 시스템 (Telematics content processing system for the efficient transmission via DMB)

  • 이문수;김민정;최종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61-664
    • /
    • 2006
  • 과거 텔레매틱스와 DMB 기술 융합 모델은 대표적인 통방 융합의 예견되어 왔으며, DMB는 교통정보, 지도, POI 등 대용량의 텔레매틱스 컨텐츠를 방송망을 통해 내려 보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현재 DMB 방송에서 비디오/오디오 보다 데이터 수익성이 적어 많은 대역폭 할당에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방송에 적합한 텔레매틱스 컨텐츠를 컨텐츠별로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제한된 대역폭에서도 전송 주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차량의 고속 이동 중 음영지역을 고려하여 단방향 통신의 수신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 PDF

공간 필터를 이용한 스케치 스타일 효과 (Sketch Style Effect using Spatial Filter)

  • 김승완;권오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6-9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실영상(컴퓨터로 생성한 영상 또는 실제 촬영한 영상)을 직접 손으로 스케치한 것과 같이 터치감이 나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즉 실영상을 공간 필터 등의 영상 처리 기법을 통하여 사람이 손으로 직접 그린 것과 같이 농담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인간 친화적인 영상으로 변환한다. 먼저 소벨 마스크를 사용하여 윤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부분 중 불필요한 선들을 제거하여 첫 번째 영상을 구한다. 그리고 이를 반전시켜, 유사한 방법으로 두 번째 영상을 구하여 두 영상 간의 차를 구하고 여기에 해칭 효과를 적용하여 스케치 효과를 표현한다. 이와 같이 일련의 처리로 기존의 연필 해칭 효과 방식과 스케치 효과 방식에 비해 선에 농담 차이를 주어 수용성 펜을 이용하여 그린 느낌을 주었다. 또한, 입력 영상의 음영 부분에 서로 다른 해칭 효과를 적용하여 스케치의 느낌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었다.

TETRA TRS에서 DMO 단말기의 전파도달범위 예측 (Radio Coverage Prediction of DMO Terminal in TETRA TRS)

  • 이순화;김장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1-56
    • /
    • 2014
  •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는 디지털 TRS(Trunked Radio System)의 유럽 표준으로 재난통신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TETRA에서 제공하는 DMO(Direct Mode Operation) 기능은 기지국 중계 없이 단말기간 직접통신이 가능하여 기지국 전파가 도달되지 않는 음영지역에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DMO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파도달범위 예측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보급되어 운용 중인 TETRA DMO 단말기의 링크버짓을 계산하고 이를 경로손실 모델에 적용시켜 지역 환경별 전파도달 거리를 예측하였다.

기초 조형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도구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Instrument for Basic Formative Education)

  • 김병원;김종서;곽훈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2-376
    • /
    • 2008
  • 현재 교육현장 일선의 교사들은 교과 수업준비를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하고 있다. 특히 미술 교과수업의 기초 조형수업은 다양한 준비물(석고 모형 등)과 조명시설 준비를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져야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현실은 여러 여건상 그렇지 못하다. 제안된 웹 학습도구는 이러한 준비물과 조명 조작 도구를 웹 환경에 탑재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기초 조형수업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본 논문은 기초 조형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웹 학습도구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웹 학습도구를 사용한 기초 조형수업은 학생들이 표현하기 어려웠던 조명에 의한 물체의 음영 표현과 그림자 표현 등의 교육적 효과에 기여 할 것이다.

  • PDF

간질성 폐질환에서 TUNEL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학적 지표와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TUNEL Apoptotic Index with Clinicoradiologicopathologic Scores in Interstitial Lung Disease)

  • 김윤섭;명나혜;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136-147
    • /
    • 2002
  • 연구배경 : 간질성 폐질환은 병리소견, 임상경과 및 치료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폐섬유화로 진행한다. 최근 간질성 폐질환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폐상피세포의 아포프토시스가 폐섬유화로의 진행에 관여한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아포프토시스가 갖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하여 TUNEL을 이용한 아포프토시스의 지수와 임상양상, 병리소견, HRCT소견, 그리고 치료반응 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 법 : 개흉폐생검을 통해서 확진된 간질성 폐질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포프토시스의 지수는 TUNEL 양성세포의 분율에 따라서 0-2로 구분하였다. 임상양상은 CRP 점수체계를 응용하여 이용하였다. 병리소견은 섬유화, 세포충실도, 탈락화, 육아조직성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였다. HRCT소견은 간유리음영과 봉와양음영을 각 엽별로 침범한 정도에 따라서 점수화하였다. 치료의 반응은 치료전과 치료후 3개월째에 시행한 CRP 점수체계의 변화율이 10%이상 증가하였을 때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는 20명(남 14명, 여 6명)으로 조직학적 아형으로는 AIP 3명, NIP 2 명, BOOP 8명, UIP 7 명이었다.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CRP 점수체계의 요소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또한 HRCT소견인 간유리음영점수와 섬유화점수는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조직학적소견에서는 섬유화 점수, 세포충실도 점수, 그리고 탈락화 점수에서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신피질호르몬 치료를 받은 16명의 환자중에서 9명 (56.3%)에서 치료효과가 있었는데 부신 피질호르몬 치료효과 유무와 아포프토시스 지수사이에는 상관관계는 없었다. 급, 아급성 간질성폐렴에서는 세포충실도 점수와 탈락화 점수가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만성 간질성 폐렴에서는 섬유화 점수와 세포충실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간질성 폐질환에서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병리학적 지표들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관찰한 본 연구를 통하여 간질성 폐질환의 병태생리에 아포프토시스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단영상 시스템에서 선량크리프 현상의 최소화를 위한 고감도 AEC 센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sensitivity AEC-sensor for Minimization of Dose Creep in Diagnostic Imaging System)

  • 김교태;한무재;허예지;김주희;강상식;박지군;남상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21-325
    • /
    • 2016
  • 선량 크리프는 임상적 오류 중 하나로 검사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AAPM Task Group #116에 의하면 디지털 방식의 시스템에서 지속적인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현시점에서 선량 크리프 현상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재현성 향상이 가능한 자동노출제어장치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고효율 반도체 센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선량 크리프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자동노출제어장치의 센서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제작된 I형 센서 및 PIN형 센서의 경우 Ref 센서와 비교하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음영효과가 적게 나타날 것으로 사료되고, 대체로 낮은 민감도 특성이 나타나지만, 조사 조건 변화에 따른 일정한 추세를 가짐으로써 정확한 피드백 신호를 자동노출제어장치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잡지형에서의 일사량과 휘도 간의 관계 구명 (Relationship between Solar Radiation in Complex Terrains and Shaded Relief Images)

  • 윤은정;김대준;김진희;강대균;김수옥;김용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3-294
    • /
    • 2021
  • 경사면일사량은 수평면일사량과 해당위치 지형경사도 간의 기하학적 관계인 일사수광비율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추정한 일사량은 주변에 햇빛을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 만약 실제 농사를 짓고 있는 농장 등에 이를 적용할 경우에 지형으로 인한 차광 등의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음영기복도는 태양의 위치와 지형의 기복으로 인한 직달일사의 변이를 밝기(휘도)로 수치화한 격자 형태의 자료로서, 하나의 격자는 가장 어두운 값 0에서 가장 밝은 값 255까지의 값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으로 인한 차광효과를 모의하기 위해 30m 해상도의 DEM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음영기복도를 제작하고 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에 설치된 AWS 22개 지점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일조율 80% 이상인 날을 선별하고, 관측일사량과 각 지점의 휘도를 비교하여 휘도가 지형으로 인한 차광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휘도와 일사량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형의 영향이 큰 지점에서의 직달일사가 시작되는 시점과 끝나는 시점은 태양고도 보다는 휘도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주변 지형의 영향을 반영한 휘도를 이용한 상세한 일사량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격탐사자료와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한 지질학적 선구조 분석기술: 경상분지 의성지역을 중심으로 (A Technique Assessing Geological Lineaments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DEM : Euiseons Area, Kyungsang Basin)

  • 김원균;원중선;김상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9-15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TM 센서의 관측방향에 따른 선택적 증감효과와 이를 고려한 지질학적 선구조의 주방향성 분석방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분지내 의성지역의 2개의 소지역에 대한 TM 영상, 수치표고모형으로부터 얻어진 음영기복도, 지질도 및 지형도에서 분석한 선구조도에 대해 Hough 변환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들의 상관관계 및 선구조의 주방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Hough 변환은 지질학적 선구조의 방향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데 효과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Hough 변환을 이용하여 실제적인 선구조의 방향성을 구할 수 있었다. 위성 영상에서 센서의 관측방향에 따른 선택적 증감효과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관측방향에 평행한 선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보조자료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태양의 조명방위각이 센서의 관측방향에 수직인 음영기복도를 보조 자료로 이용하여 선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방위각을 달리한 음영기복도의 각각의 방향성분을 모두 더한 자료도 선구조도와의 상관관계가 높아 해석의 보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신동층군과 하양층군의 일부를 포함하는 의 성군일대는 $N5^{\circ}$~$10^{\circ}$W 방향의 주방향성을, 하양층군, 유천층군 및 불국사화강암이 분포하는 청송군일대는 N55$^{\circ}$~$65^{\circ}$W 의 주방향성을 보인다. 해석시 수치표고모형을 보조자료로 사용하여, 의성군일대의 TM 영상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N55^{\circ}$~$65^{\circ}$W 방향의 선구조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그 위치가 백악기의 특징적인 주향이동단층인 가음단층과 금천단층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어 두 단층은 북서부의 신동층군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