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영 효과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artoon Rendering for Facial Expression (얼굴 표정의 카툰 렌더링)

  • Jung, Hye-Moon;Byun, Hae-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449-454
    • /
    • 2009
  • The human face has "expression" as an important visual factor in contrast with general objects. For this reason, cartoonists draw shadow that emphasizes facial shape and facial expression in order to convey atmosphere of scene and trait of character. This shadow should be considered when doing cartoon rendering for facial expression although it is not an physical shading. This paper proposes a cartoon rendering system for facial expression based on shading techniques of real cartoonist. First of all, we searched such techniques of cartoonist through variety of collected cartoon images and defined shadow templates according to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to do cartoon rendering diffently. After that, we demonstrated cartoon rendering system of facial expression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 that effectively emphasizes facial shape and facial expression. Finally, we showed the usefulness through the user questionnaire.

  • PDF

Flood Monitoring and Extraction of Water Area Using Multi-temporal RADARSAT SAR Imagery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수계지역 추출 및 홍수지역 모니터링)

  • Sohn, Hong-Gyoo;Yoo, Hwan-Hee;Song, Yeong-Sun;Jung, Won-Jo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48-5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각각 1998년 8월 12일(홍수 발생시), 8월 19일(홍수 발생 후) 옥천, 보은 지역을 촬영한 RADARSAT SA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계지역 및 홍수지역 분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두 장의 위성영상에 대해서 각각 스페클 잡영(speckle noise)을 제거하고, ${\sigma}^0$(sigma naught, dB)을 계산한 후 수계지역에 대한 ${\sigma}^0$값을 분석하였다. 이 값을 기준으로 각각 두 장의 위성영상에서 각각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여 수계지역을 분류하였다. SAR 영상은 영상취득의 원리에 의해 지형의 기복에 따른 음영효과(shadow effect)가 발생하는데, 음영효과가 발생하는 지역의 ${\sigma}^0$값은 수계지역과 비슷한 반사특성(낮은 dB 값)을 보인다. 따라서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의 수계지역 분류시 음영효과를 제거해야 효과적적인 분류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위성의 헤더자료로부터 촬영시 각각의 촬영중심을 계산하고, 촬영중심과 지상좌표와의 기하학적 관계를 고려하여 음영효과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수계지역만이 추출된 영상에 대해 영상의 기하보정을 수행하였으며, 기하 보정된 두장의 위성영상에 대해 차분영상를 생성함으로서 홍수지역을 분류하였다.

  • PDF

Real-time Shading Effect For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위한 실시간 광원정보 획득 방법 및 가상물체의 음영효과 적용 - 증강현실에서 몰입감과 사실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광원정보 상황연계)

  • Cho, Jae-Hwan;Park, Jin-Ah;Kim, Jong-Sung;Son, Wook-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85-789
    • /
    • 2008
  • 증강현실은 실제환경에 가상물체를 합성하는 기술을 이용하고 여러가지 상황정보를 반영하여 가상물체가 실제환경에 있는듯한 느낌을 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가상물체의 좌표계를 실제환경과 일치시킴으로서 사실성을 주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환경의 주변광원이 가상물체에 사실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면 몰입감이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에서 가상물체에 실제환경의 상황정보 중 음영정보를 손쉽게 일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여 사실성을 증가 시키고자 하였다. 음영효과는 주변광에 의해서 만들어지므로 가상물체를 합성할 위치 주변의 광원을 미러볼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획득하고 가장물체에 적용될 광원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 소개될 주변광원 정보 획득 및 음영을 적용 방법은 특수장비가 필요없고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환경, 모바일 환경 등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다.

  • PDF

Mipmap-Based Deferred Soft Shadow Mapping (밉맵 기반의 지연된 부드러운 그림자 매핑)

  • Kim, Sunggoo;Lee, Sungkil
    • Journal of KIISE
    • /
    • v.43 no.4
    • /
    • pp.399-403
    • /
    • 2016
  • Deferred Shading is a shading technique that postprocesses pixels in the screen space, following geometry-only rendering passes with depth buffering. Unlike typical shadow mapping techniques, this technique allows us to render shadows from multiple light source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endering pipelines. This paper presents a deferred shadow mapping technique and its extension to soft shadows using mipmapping. Our technique first generates visibility maps from light sources, and blurs the visibility maps for deferred shading. This strategy leads to efficient soft-edged shadows, but does not incorporate depth variation, producing light bleeding to some extent. In order to suppress the light-bleeding artifacts, we also propose a depth-adaptive mipmap sampling technique in the screen space.

Detection Filter of Pulmonary Nodules Shadow in Chest X-ray Images (흉부 X선 영상에서 폐 종류 음영 검출필터)

  • Kim, Eung-Kyeu;Lee, Dok-Y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440-44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폐 종류 음영검출에 대해서 다중해상도 필터를 에너지 차분 영상에 적용하여 기존 방법과의 비교평가 및 폐 종류 음영검출 자체에 관하여 그 검출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택해서 분석을 하였다. 다시말해서, 폐 종류 음영 검출자체에 관해서 복수의 분석인자를 선택해서 복수의 관점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즉, 영상 인자로서 보통 X선 영상 및 에너지 차분영상을, 검출필터 인자로서 라플라시안-가우시안 필터, 최소방향 차분필터 및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다중해상도 필터를 선택해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폐 종류 음영검출에 있어서 에너지 차분 영상의 유효성, 최소방향 차분필터의 보통 X선 영상에서의 효과 및 다중해상도 필터의 에너지 차분 영상에 있어서의 유효성을 식견으로서 터득하게 되었다.

  • PDF

A Hybrid Shadow Testing Scheme During Ray Tracing (광선추적 수행중 혼합 음영검사에 관한 연구)

  • Eo, Kil-Su;Kyung, Chong-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6 no.3
    • /
    • pp.95-104
    • /
    • 1989
  • This paper presents a new shadow testing acceleration scheme for ray tracing called Hybrid Shadow Testing (HST) based on a conditional switching between the conventinal shadow testing method and Crow's shadow volume method, where the shadow polygons as well as the object polygons are registered onto the corresponding cells under the 3-D space subdivision environment. Despite the preprocessing time for the generation and registration of the shadow polygons, the total shadow testing time of the proposed algorithm, HST was approximately 50% of that of the conventional shadow testing method for several examples while the total ray tracing time was typically reduced by 30% from the conventional approach. This due to the selective use of the shadow volume method with a compromise between the maximal utilisation of shadow's spatial coherency and minimising the computational overhead for checking ray intersections with the shadow polygons. A parameter, $N_{th}$ denoting the critical number of shadow polygons between successive reflection points was used as a guideline for switching the shadow testing scheme betwee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shadow volume method. A method for calculating $N_{th}$ from such statistical data as the number of object polygons, average polygon size average peripheral length of the polygons was proposed, resulting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PDF

Minimization of short range shadow zone using HMS vertical scanning method (HMS(Hull Mounted Sonar) Vertical Scanning 기법을 이용한 근거리 음영구역 최소화)

  • Han Yunhoo;Lim Sehan;Oh Imsang;Kim Seongil;Na Jungyu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37-440
    • /
    • 2004
  • HMS(Hull Mounted Sonar) 운용 시 수중음속구조의 영향에 의한 음파가 경계면(해저면, 해수면)의 반사를 통해서 근거리 음영구역(short range shadow zone)을 발생시킨다(그림 1).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중음파탐지 무기체계 가운데 특히 단상태 (monostatic) 조건일 때 HMS에 의해 발생하는 근거리 음영구역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즉, 2차원 수중공간 (수심-거리)에서 빔형성기법 (beamforming)을 이용한 HMS Vertical Scanning (HMS Verscan) 기법을 제안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을 위해 HMS 운용환경에 근접한 고주파 음선모델(BELLHOP)과 잔향음 모델(HYREV)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HMS Verscan 기법은 수평방향의 음파방사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근거리 음영구역으로 해저반사를 통하여 음파를 전달시켰고, 근거리 음영 구역에 숨어있는 표적의 탐지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실제 산란환경을 고려한 수치실험 결과에서도 부분적으로 표적이 탐지가 됨으로써 HMS Verscan 기법의 근거리 음영구역의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tists' Shading and CG Shading (미술가들의 음영 표현 특성과 CG 쉐이딩 알고리즘 간의 상관관계 분석)

  • Byun, Hae-Won;Park, Yoon-Yo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5
    • /
    • pp.691-702
    • /
    • 2011
  • Recently, several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combine human visual perception and computer graphics. Cole et. al. suggest the study results in which line drawing algorithm in computer graphics characterize the properties of line drawing made by artists. The paper also evaluates CG line drawing algorithms depending on whether people recognize effectively specific 3D shape from the image made by those CG line drawing algorithms. However, human recognizes the shape of objects more effectively in image made by BRDF shading model than line drawing algorithm. It means that the shading factor is important to recognize shape with human percep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hading made by human artists and that made by CG shading algorithms. The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mathematical properties of artists' shading and CG shading. This type of analysis can guide the future development of new CG shading algorithm in computer graphics for the purpose of shape perception.

Normal Calculation Using GPU in Point Rendering (점 렌더링에서 GPU를 이용한 법선 벡터 계산)

  • 조광현;권구주;신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634-636
    • /
    • 2004
  • 3차원 공간상에 분포되어 있는 정들로부터 기하정보를 재구성하여 렌더링 할 때 법선 벡터가 필요하다. 이 점들은 서로간의 연결성 정보가 없고 법선 벡터가 없기 때문에 음영 효과를 표현 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점들의 연결성 정보를 추정하여 법선 벡터를 구하는 과정에서 GPU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GPU로 법선 벡터를 계산할 경우 CPU의 부하가 줄게 되고 계산 시간도 감소된다 이 방법을 점 렌더링에 적용하여 법선 벡터를 신속하게 계산하고 가시성 검사와 음영처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nalysis of Digital Terrain Model Display by Comparison of GIS Shaded Relief and Rendering (GIS 음영기복과 렌더링의 비교에 의한 수치지형모형의 표현 분석)

  • Lee, Hy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1
    • /
    • pp.127-136
    • /
    • 2006
  • Shaded relief is used in the analysis of digital terrain model, but accurate shadow zone has not been affirmed on account of idea only shadow of terrain that would be in shadow are shaded. This study is to analyze each display difference of a digital terrain model by grasping the shadow characteristics of terrain and comparing shaded relief function used terrain display of GIS with a rendering technique. After terrain with road in subject area is selected and created to digital terrain model of TIN, shaded relief and rendering according to altitude and azimuth of the sun at 9:00 am and 3:00 pm is applied. As the results, only backward portions of the terrain that is in shadow from the sunlight are shaded in case of shaded relief. The rendering created the shadow, which is cast by terrain features. By these mutual comparison, this study represented data for understanding of shaded relief.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ndering method could be used to analyze sunshine influ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