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악 중재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9초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Art Therapy and Hospice & Palliative Care in Korea)

  • 김창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2호
    • /
    • pp.85-96
    • /
    • 2015
  • 한국의 현대적 예술치료는 1960~1970년대 국내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의 보조치료인 활동요법(activity program)의 형태에서, 1982년 정신과 의사들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예술학회가 창립되면서, 음악치료(music therapy), 미술치료(art therapy), 무용치료(dance therapy), 시치료(poetry therapy), 정신치료극(Psychodrama) 등의 예술치료가 정신장애환자를 대상으로 발전하였다. 1990년대에는 한국미술치료학회와 한국음악치료학회 등 분야별 전문단체가 본격적으로 출범하였고, 2001년 한국예술치료학회가 창립되었다. 통합예술치료의 예술은 한 개인의 내적인 세계와 연관된 인간자체가 가지는 본연의 능력인 창조적 활동이며, 여기에는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시치료 등이 포함된다. 통합예술치료는 인간의 체험현상을 그대로 인정하고 자각하게 하는 현상학적 측면에서 신체와 창조성의 회복을 목표로 예술매체를 활용한 심신치료활동이면서 심신의 성장과 발달을 목표로 하는 치료예술활동이다. 최근 국내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신체기능 효과 변인군을 제외한 모든 변인군에서 효과크기가 유의했고, 심리적응 효과, 행동적응 효과 그리고 생리적 효과 변인군 순으로 효과크기가 확인되었다. 2015년 7월, 보건복지부는 완화의료 건강보험수가 급여를 일당정액제로 시행하면서, 국내 56개 호스피스전문기관에서 대부분 시행중인 음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에 대한 수가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것은 1977년 정신과 환자에 대한 예술요법의 수가가 인정된 이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환자에 대한 예술치료의 수가가 인정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예술치료매체와 중재유형, 그리고 치료효과간의 인과관계의 명확한 제시, 즉 치료기전의 문제와 무분별하게 발급되는 자격증 취득자의 교육 수련 수퍼비젼을 통한 전문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학회 및 협회 등 전문단체간의 유기적인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 감소를 위한 가창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f a Singing Program for Decreasing Withdrawal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 김수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1호
    • /
    • pp.33-53
    • /
    • 2009
  • 본 연구는 가창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실험연구로 교사에게 추천 받은 서울 소재 S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위축행동 아동 5명에게 가창 프로그램을 한 회기 6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양적 측정을 위해 아동에게는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검사를, 교사에게는 K-CBCL의 교사 평가 위축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위축행동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 변화와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회기 녹화된 비디오를 분석하고 이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점수는 6.4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유의수준 .042(p <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K-CBCL의 교사 평가 위축척도 점수는 3.6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역시 유의수준 .042(p <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대상자들이 가창 활동 안에서 보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과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를 비디오 분석을 통해 회기별로 분석한 결과 가창 활동 초기에 비해 후기에 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창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중재도구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음악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중환자실 환아의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vital signs and pulsatile oxygen saturation of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children)

  • 유정숙;송계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82-396
    • /
    • 1999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 of emotional stability and vital signs applying music therapy program to the children admitted in the PICU.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1997. The subjects were 30 patients admitted in the PICU of 'S' University Hospital whi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Each group had 15 subjects. Method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et repeated design, observing vital signs and activity of subjects prior, during, and after the music intervention. The study tools were cassette tapes of 'Mother's music whose babies want to listen' and Space-lab patient monito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x^2$ test and t-test to analyz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 paired t-test to prove hypotheses. Result were as follows; 1. Infants lower than seven months showed changing into stable vital signs from applying the music therapy, however infants from eight months to three-year old showed no change in vital signs. 2. Vital signs changed to stabilized condition in infants lower than seven months were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3. The stability of vital signs during music therapy turned back to the previous state while terminating music therapy. 4. The effect of music therapy in the state of activity had on both infants group of lower than seven months and from eight months to three-year old, particularly more effective in the later group. I recommend follows on the base of above results ; 1. As above results shows, listening to music is effective on infants and toddler, intervention with music therapy appropriate to chidlren's age is hot recommended. 2. Comparative study with noise blocking effect and music therapy effect within the ICU environment be recommended. 3. The repeated study on when the exact time is and how many repeat the music therapy to show the above mentioned effect be recommended. 4. We recommend this music therapy to be done in the recovery room, isolating room, operating room as well as ICU.

  • PDF

노래 가사 토의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 정용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1호
    • /
    • pp.43-64
    • /
    • 2015
  • 본 연구는 노래 가사 토의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 만성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9명과 통제군 8명으로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총 12회기에 걸쳐 노래 가사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군에는 중재가 적용되지 않았다. 통제군에게는 연구 종료 후 실험군이 참여한 것과 동일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노래 가사 토의를 위해 대상자들이 20대였을 때 유행하였던 대중가요 중 치료 목표에 적절한 가사가 연구자에 의해 사전에 선정되었고, 토의 과정은 활동 중심, 통찰 중심, 재구성적 접근에 근거해 단계별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는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와 재활동기 척도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노래 가사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실험군의 경우 우울 점수는 유의하게 감소하고 재활동기 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1). 반면 통제군은 사전-사후 검사 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은 재활동기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고, 특히 과제 지향적 동기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무동기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래 가사 토의가 노인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정서적인 이슈를 적절하게 다룸으로써 재활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음악중재가 비수축검사 임부의 불안과 태아심음 양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Maternal Anxiety and Fetal Heart Rate Pattern During Non-Stress Test)

  • 오명옥;김영점;백초희;김주희;박노미;유미정;송한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5-32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cross-over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maternal anxiety, fetal heart rate pattern and testing time during non-stress tests (NST) for antenatal fetal assessment. Methods: Sixty pregnant women within 28 to 40 gestational week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30) or control group (n=30). Music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pregnant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NST. Degree of maternal anxiety and fetal heart rate pattern were our primary outcome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changes in peripheral skin temperature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ternal anxiety. Baseline fetal heart rate, frequency of acceleration in fetal heart rate, fetal movement test and testing time for reactive NST were assessed to measure the fetal heart rate patter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state anxiety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between the two groups. Baseline fetal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requency of acceleration in fetal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tal movement and testing time for reactive NS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music intervention c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alleviating anxiety during non-stress test.

화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청취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iveness of Music-listening intervention on Hwa-byung Patients)

  • 박소정;정선용;황의완;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41
    • /
    • 2007
  •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velop cost-effective and accessible self-intervention program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self intervention program for Hwa-byu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nflicts with family and economical problems, in quantity and quality. Subjects: Seven middle age women who bad been diagnosed with Hwa-byung by Hwa-Byung Diagnotic interview Schedul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Method: Participants learned music listening techniques and visited hospital three times a week during 2 weeks. Music-listening self intervention for Hwa-byung patients was consisted of three sad musics(in minor) and three sedative musics(in major) and perlO1med at home for 2 weeks. Patient's somatic symptoms and self awareness (of Hwa-byung scale), anxiety(STAD, anger(STAXD, depressive mood(BDD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6 weeks later after study completed. And various and subjective responses of Music-listening self intervention for Hwa-byung patients were collected by semi- structured interview made for this study. Results: Their Somatic symptoms(especially insomnia), self-awareness of Hwa-byung and depressive mood were improved except anxiety, anger. This improvement had maintained over a 6-week follow-up period. Patients had used constantly the music-listening program for Hwa-byung patients after the study completed. Conclusion: The music-listening program will be an effective for Hwa-byung patient's 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mood and had been used constantly by them. But, much methodological supplementation will be needed to assess clinical effects on this program.

  • PDF

실어증 환자 대상 디지털 기술 기반 언어재활에 관한 최근 문헌 고찰: VR, A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A Review of Recent Digital Technology-Based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phasia: Focusing on VR, AR, and Mobile Application)

  • 정채윤;홍유정;공성현;최유진;이교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6-63
    • /
    • 2022
  • 디지털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며 이를 의료 분야에 융합하려는 흐름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연구들은 실어증 환자 대상 언어재활에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및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를 제안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어증 환자 대상 디지털 기술 기반 언어재활을 시행한 최근 4년 (2018~2021년) 연구의 특징을 종합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주제범위 문헌 고찰(scoping review)을 시행하였다. Web of Science, CINAHL, RISS에서 검색된 국내외 문헌 중 선정 기준을 만족한 총 20개의 논문을 검토한 결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재활 훈련 콘텐츠에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환자 맞춤형 개인화 등을 적용하거나 가상 의사소통 환경을 구현하여 재활 훈련을 돕는 등 새로운 형식의 재활 콘텐츠가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 기반 언어재활은 기존 언어재활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재활 훈련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 노인 합창단원의 합창단 유형에 따른 청지각적 음성평가(GRBAS) 및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비교 (A comparison of the perceptual-auditory voice quality evaluation (GRBAS)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ccording to choir type of elderly women choir members)

  • 이현정;강빈나;김수지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51-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의 청지각적 평가도구(GRBAS)와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를 통해 합창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음성 특성과 음성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부산 소재의 합창단에서 활동 중인 만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 총 77명이었다. 합창단은 참여 유형에 따라 합창단(Regular choir)과 찬양단(Church choir)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청지각적 음성평가는 /a/ 모음을 발성하는 음성을 듣고 전문가가 청지각적 평가(GRBAS)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합창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비교했을 때 찬양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에 비해 합창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의 경우 주관적 음성 인식 수준에서 대화 시 음성 사용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의 신체 기능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합창활동이 노년기 음성기능의 개선뿐 아니라 음성사용의 주관적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노인 음성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신경인지장애의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비약물학적 개입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Neurocognitive Disorder)

  • 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23
  • 신경인지장애 환자들은 인지저하 뿐만 아니라 초조, 공격성, 우울, 배회 등의 정신행동증상들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환자와 가족이 상당한 고통을 받게 된다. 정신행동증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 중심의, 비약물학적인 치료가 우선되어야한다. 본 논문은 신경인지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신행동증상을 관리하고 치료하기 위한 비약물학적인 개입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초조, 우울, 무감동, 불면, 배회 등의 정신행동증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 약물 등의 유발 인자를 파악하고 평가한 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비약물학적인 개입 방법으로는 안심시키기, 활동 격려하기, 주의를 분산시키기, 환경을 변화시키기 등을 들 수 있다. 환자의 관점에서 행동을 이해하고, 그들의 요구와 능력에 맞게 접근해야한다. 비약물학적인 개입 방법으로 회상요법, 음악치료, 향기요법, 다중감각자극요법, 운동요법, 광선치료, 마사지 요법, 인지중재치료, 애완동물요법 등의 다양한 요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 방법이 환자의 우울, 무감동, 초조, 공격성, 불안, 배회, 불면 등의 증상을 호전시켜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효과에 대한 증거 수준이 높지 않아 향후에 좀 더 광범위하고 정확한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