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악 중재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9초

우울성향 여중생의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연주활동 (Musical Instrumental Playing Activity using Blues Music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epressive Tendencies)

  • 구새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1-17
    • /
    • 2007
  • 청소년기는 성장과 발달의 과도기적 단계로 모든 영역에서의 발달과 새로운 역할 수행, 학업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부담감 등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다. 이 시기의 청소년은 발달 과제를 해내지 못하거나 변화로 인한 좌절이나 갈등을 반복하는 경우 스트레스와 우울 같은 심리적 어려움을 토로하게 되고, 성숙한 대처를 못하거나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 우울이나 불안 같은 정신장애를 얻기도 한다. 오늘날 현대 사회의 청소년을 위한 실질적인 정신건강이나 정신장애에 대한 대응과 예방은 미비하며, 이에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나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울 성향을 가진 여중생에게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연주활동을 시행하여 참여자들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대상자들이 연주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D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중학생 3명으로 연구자가 70여명의 학생들에게 아동우울척도(CDI)와 자기효능감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선별한 여학생들이다. 실시된 10회기의 연주활동은 3단계로 나누어지는데, 1단계에서는 자기소개와 라포형성, 블루스 음악소개와 블루스 음악형식 연주를 통한 활동에 대한 흥미 유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블루스 음악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징적인 부분인 부점, 셋잇단음표, 엇박자를 활용한 블루스 음악형식을 연주해 익히고, 5회기 동안 각 회기에서 수행하는 음악과제의 난이도를 달리하여 음악연주과제(즉흥연주 포함)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3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배워 연주했던 곡들을 정리하고 각 대상자들이 곡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곡을 창작하여 연습한 뒤 음악연주 발표시간을 가짐으로써 완수경험의 극대화로 음악연주에 대한 경험을 확장하는 시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주활동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우울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부적상관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연주활동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으로는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영역 중 과제난이도선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연주활동에 참가자들의 음악연주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영역 중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넷째, 사후 인터뷰 질문지의 내용과 대상자들의 각 회기 세션 내용을 질적으로 서술하고 분석해 본 결과 대상자들은 블루스 음악형식 연주활동을 통해 과제난이도를 달리하여 연주활동을 했을 때, 자신감을 경험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했으며 대상자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주활동의 효과와 대상자들의 음악경험의 결과와 의미를 볼 때에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연주활동이 치료적인 중재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치석제거 시 음악중재가 공포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al intervention on the fear and anxiety reduction during scaling)

  • 남용옥;주온주;이광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5-40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patient's fear and anxiety during scaling. Methods: 360 patients who had visited W University dental hygiene laboratory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71.9%) and the experimental group (75.1%) had experiences avoiding dental treatment due to fear. In the control group (37.6%) and experimental group (40.6%), the highest influencing factor was the sound of machine and followed by pain. The experimental group preferred classical music, followed by pop songs, trot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In the experimental group (83.3%), fear and anxiety were alleviated by music, and 77.9% of the patients mentioned they would recommend music for scaling to other patients.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p=0.014)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lowest blood press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lse before and after pulse measurement (p=0.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ion between groups (p=0.042) and before and after respiration (p=0.030). Conclusions: Study results showed that music intervention that utilizes music during scaling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lleviation of fear and anxiety, affecting Pulse number among vital signs. Therefore, more systematic program is to be required to alleviate dental fear and anxiety with music therapy not only for scaling, but also for dental clinic in the future.

비국악인의 판소리 감상과정에서의 경험적 요소 (Experience of non-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n the Process of Pansori Music Listening)

  • 이수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2호
    • /
    • pp.19-34
    • /
    • 2012
  • 본 연구는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비국악인이 판소리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요소들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5명의 국악을 전공하지 않은 연구 참여자가 판소리를 듣는 동안에 경험하는 것을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로 수집하였고 이를 변형된(modified) 근거 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판소리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판소리 창자의 창법과 목소리의 음색, 판소리 사설, 고수의 북소리, 고수의 역할 요소는 감상자로 하여금 다양한 차원의 정서, 신체 반응을 경험하고 자신이 경험한 정서와 연관된 사고를 유발하였다. 이는 개인의 내적 문제와 연관되어 자신이 평소에 알지 못했던 내면의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내 안의 감정과 만나도록 중재되었다. 그리고 감상자가 경험한 개인의 정서와 인식은 또 다른 차원 반응을 유발하여 감상자는 판소리의 요소들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해결하는 근원을 찾고 내 안의 감정을 정리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재활을 위한 악기 연주의 임상적 활용 근거 연구 (A Rationale for Instrumental Music Playing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in Subacute Stroke)

  • 정은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23
    • /
    • 2013
  • 상지의 운동기능 장애는 뇌졸중 환자에게서 빈번히 보고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뇌졸중의 원인인 신경학적 손상의 회복은 발병 초기인 6개월 동안 가장 활발히 일어나며, 이 시기의 회복은 이후 기능회복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과 상지 운동기능의 재활을 위하여 다양한 재활치료 접근이 적용되어 왔으나 그 효과성에 있어서 일관성이 결여된 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기능적 상지 운동 기능의 재활을 촉진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재활의학 분야의 연구에서 음악은 운동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하지 운동기능 향상에 있어서 리듬 적용의 근거 및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음악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재활에 대한 근거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적용 대상 또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 제한 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기능을 촉진하는 음악의 역할을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재활을 위하여 다양한 음악활동을 사용한 선행 연구를 고찰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의 재활을 도모하기 위한 악기연주 활용 방안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문제 행동 특성에 따른 타악기 즉흥연주 패턴 연구 (Performance Patterns in Percussion Improvisation of Adolescents with Behavior Problems)

  • 강혜숙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8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 행동 특성을 충동성향과 우울성향으로 분류하고 각 성향에 따라 그룹 즉흥연주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이며 정서 행동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4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남녀 각 두 그룹씩 총 4개 그룹을 대상으로 타악기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45분씩 총 2회 실시되었다. 그룹 내 리듬 연주 패턴이 분석되었고 악기 선택, 연주 강도 및 템포, 연주 지속 시간에 있어서의 그룹별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성향별 그룹 간 즉흥연주 리듬형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악기 선택에 있어서는 두 그룹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흥연주의 강도, 템포, 지속 시간과 관련하여, 강도에 있어서는 문제 행동 특성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템포와 지속 시간에 있어서는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충동성향 그룹의 경우 우울성향 그룹과 비교해 연주 템포가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고, 평균 즉흥연주 지속시간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사가 음악치료 환경 내 즉흥연주에서의 대상별 리듬표현의 특징을 알고, 음악적 변인이 치료적으로 유의미하게 사용되도록 도울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청소년 대상군의 음악적 자기표현에 대한 치료사의 다층적인 이해와 그에 따른 민감한 반응은 자기표현 및 자기정체성 확인을 위한 해당 대상군의 음악적 시도를 촉진시키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즉흥연주 중심의 중재 효과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Agitation, Anxiety and Depression in Dementia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채공주;이미경;남은숙;이호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20-530
    • /
    • 2021
  • 목표: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10년부터 2019년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PsycINFO에서 종합적인 문헌검색을 하였고 메타분석에서는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 차이(Hedge's g)와 95% 신뢰 구간은 요약 측정으로 산출하고 랜덤 효과 모델과 역분산 방법을 적용하였다. 총 13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모두 오류 위험 평가를 위한 코크란 평가도구를 근거로 질 평가를 하였다. 결과: 효과 크기(Hedge's g)는 1차 결과 변수인 인지기능 0.31[95% CI:-0.02, 0.65], 초조행동 -0.03[95% CI: -0.17, 0.11], 2차 결과 변수인 불안 -0.61[95% CI: -1.17, -0.05], 우울 -0.44[95% CI: -0.88, 0.00]이었다. 음악중재 유형별 하위그룹 분석 결과 복합음악요법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g=0.45[95% CI: 0.03, 0.87])에 유의한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악요법은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복합음악치료는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음악중재가 인공호흡기 유지 중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Pain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 안미나;안혜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47-25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stening to music on pain and vital signs of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in intensive care units during nursing treatment (changes of posture and tracheal suction). Method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to use an mp3 player and a speaker to let them listen to classical music by Mozart during nursing treatmen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pain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K) was used. Th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PASW Statistics 20.0. Results: Hypothesis "The scores for pain would diffe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music intervention during nursing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Conclusion: Application of music intervention during nursing treatmen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in intensive care unit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ain. Therefore, music intervention during nursing treatmen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can be used as non-pharmaceutical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pain for the patients.

수술 중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on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 신효연;이명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1-13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level of adult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in the operating room.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48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from June 2003 to September 2()03. The 24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music therapy through headphon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to the end of the operation with local anesthesi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10.0 for Windows. Results: Postoperative state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traoperative pulse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respiratory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music therapy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hat relieves anxiety for adult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However, to determine the best use of this therapy, further study is required for different types of anesthesia and operations such as ambulatory surgery.

  • PDF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집단 음악요법의 심리적 중재 효과 (Psychological Intervention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배은숙;김미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2
    • /
    • 2016
  • Purpose: Music therapy is a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of th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in the areas of functionality,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35 participants, aged between 52 and 77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IPD) and reported suffering from depression, chronic illness anticipated stigma, and worrying about quality of life. The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outpatient neurology at School of Medicine, D University in B Metropolitan City. Group music therapy was performed for nine week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In terms of stigm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nd time (p<.05).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service metho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p<.05). Between tim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service metho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p<.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group music therapy will be effective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living in assisted and independent living communities.

자폐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중재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a Music Therapy Program for Autistic Children in Child Day Care Centers)

  • 주세진;최신형;남옥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4-122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the autistic childre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 autistic children who were trained in an Attachment Promotion Therapy Program for 6 months. The Children were all males and 4years 9months, 3years 1 month, and 3years 8month each, and diagnosed with Autism b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Data was collected by using video-taping methods(ADOS, Fagot's Interactive Behavior Code), an interview and observational methods(SMS). Music Therapy intervention was done once a week for 6 months. Data was gather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ale and Social Maturity Quotient(SQ) much improved after the Music Therapy After the Music Therapy, the Interactive Behavior Code : Gaze, Gesture for the communication, Verbal language, Laughing/Smile, and Normal play behaviors increased more than before the intervention. As the results show, the child's behavior became more positively responsive, playful, and attentive to othe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usic Therapy might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autistic disorder children in order to decrease autistic symptoms and increase joint attention behavi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