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악 요법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1초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Agitation, Anxiety and Depression in Dementia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채공주;이미경;남은숙;이호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20-530
    • /
    • 2021
  • 목표: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10년부터 2019년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PsycINFO에서 종합적인 문헌검색을 하였고 메타분석에서는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 차이(Hedge's g)와 95% 신뢰 구간은 요약 측정으로 산출하고 랜덤 효과 모델과 역분산 방법을 적용하였다. 총 13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모두 오류 위험 평가를 위한 코크란 평가도구를 근거로 질 평가를 하였다. 결과: 효과 크기(Hedge's g)는 1차 결과 변수인 인지기능 0.31[95% CI:-0.02, 0.65], 초조행동 -0.03[95% CI: -0.17, 0.11], 2차 결과 변수인 불안 -0.61[95% CI: -1.17, -0.05], 우울 -0.44[95% CI: -0.88, 0.00]이었다. 음악중재 유형별 하위그룹 분석 결과 복합음악요법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g=0.45[95% CI: 0.03, 0.87])에 유의한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악요법은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복합음악치료는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

소아환자를 위한 음악: 무작위 임상연구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Music for Pediatric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이진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3
    • /
    • 2013
  • 본 연구는 소아환자대상 최근의 음악치료 및 음악을 사용한 임상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3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 사이에 영어로 발표 된 무작위 임상 및 교차설계 연구들을 자료로 수집하였고, 최초 검색 되었던 1023개의 논문 중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영어문헌 15건을 선별하였다. 선별 결과 연구 대상자는 1개월에서 만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으로 11명에서 150명 까지 표본크기가 다양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는 987명으로 집계되었다. 선별된 연구들은 음악요법 및 음악치료 연구로 분류되어 전반적인 유형, 연구절차와 방법론, 임상접근법, 측정도구 및 연구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총 7건의 음악요법과 8건의 음악치료로 분류된 연구들은 7개영역의 종속변수를 36종류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음악의 임상적 사용에 있어 음악의 선택, 종류 및 임상접근방법에 큰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절차와 방법론의 분석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연구절차에 대한 기술이 충분치 않고 특히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배정순서 은폐(Allocation Concealment), 이중 또는 부분은폐(double or partial blinding) 및 참여자 감소율(Attrition Rate)과 같은 방법론적 표준에 미치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전반적인 연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긍정적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연구 방법론적 문제들과 임상접근법들의 이질성으로 인해 그 결과가 편향에 의해 오염되거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악이 소아 환자들의 신체 및 사회 심리적 필요를 다루는 도구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제안할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로서는 절차와 접근법이 보다 엄격하고 균일하여 추후 재현이 가능한 연구들이 다수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음악요법을 이용한 노인의 우울증 완화 로봇 'BOOGI'의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for the Robot that Relieves Depression in the Elderly Using Music Therapy)

  • 정유화;정성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4-85
    • /
    • 2015
  • 타악기가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우울증을 겪는 노인에게 자아 존중감의 증가 및 우울증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음악 요법을 로봇에 접목하여 노인들이 음악을 직접 연주할 수 있게 하는 타악기 로봇의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노인의 우울증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로봇의 콘텐츠로써, 노인과 로봇의 상호작용 요소가 도출되었다. 회상을 자극할 수 있는 노래가 선정되었고 노래의 연주에 따른 타악기의 타격에 대한 점수체계가 개발되었다. 또한 상호작용 요소 중 노인들의 감성적 자극요인이 될 수 있는 로봇 표정 요소가 디자인되었다. 표정은 무표정, 기쁨, 아주기쁨으로 구분되며 타악기의 연주 참여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여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노인이 로봇에서 나오는 음악을 따라 연주하고 참여도의 정도에 따라 노인과 로봇이 상호작용할 수 있다면 단순한 음악 게임기가 아닌 우울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로봇으로서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알코올 의존자에 대한 요가 및 음악 치료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Yoga and Music Therapies on the Care of Alcohol dependents)

  • 조현;허은승;이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144-2151
    • /
    • 2010
  • 요가 및 음악 치료는 그 개념과 목적의 측면에서 볼 때 알코올 중독자의 정신적, 심리적 치료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어 점차적으로 많은 클리닉이나 재활 센터에서 정식적인 프로그램의 하나로 채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해 소재 1개 알코올 전문병원의 3개동에 입원해 있는 환자 가운데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DSM-IV의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알코올 의존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가와 음악요법이 알코올 치료에 미치는 효과 분석을 위하여 2009년 11월 10일부터 12월 29일까지 요가는 1주일에 2번씩 총 10번의 프로그램을, 음악치료는 1주일에 1번 총 5번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들 가운데 10회의 요가 프로그램을 모두 수행한 16명과 5회의 음악프로그램을 모두 수행한 2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노시 행동', '분노시 표현', 그리고 '설문답변시의 심리상태' 세 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요가와 음악요법 치료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크게 유의하지는 않지만 세 경우 모두 음악 및 요가 요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실험기간의 장기화, 그리고 실험 대상자의 감정적 편이(emotional bias)를 보정하기 위한 뇌파검사 등이 병행될 경우 더욱 신뢰성 있고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음악선호도에 따른 음악요법이 여대생의 생리적,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Wome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Preference of Music)

  • 정현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21-33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how the choice of music affect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women college student during music therapy. Methods: A nonequivalent experimenta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19 out of 54 subjects were assigned to listen to their favorite music and 17 to their unfavorite music for 20 minutes using MP3 players and headphones. Anxiety, blood pressure, pulse and blood glucose levels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the SPSS/WIN 10.0 program.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systolic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anxiety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avorite music group. however sy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anxiety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unfavorite music group. The favorite music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unfavorite music group. Conclusion: Choice of music affect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an individual. Favorite music listening would enhanc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herefore, selection of music must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subject's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s.

  • PDF

음악요법이 조기진통 임부의 조기진통 스트레스 및 자궁수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 Therapy on Stress of Preterm Labor and Uterine Contraction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 박혜진;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1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effects of music therapy on stress due to preterm labor and uterine contraction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Methods: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35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who were between 20 to 37 weeks of pregnancy: control group (n=18) received only tocolytic drugs, while experimental group (n=17) received additional music therapy. In the experimental group, Traumerei was applied before Non-Stress Test (NST) from the second day to fifth day after admission as music therapy.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due to preterm labor (z=-3.368, p<.001)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music therapy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the stres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노인을 위한 음악요법 프로그램이 우울, 균형,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usic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Balance, Flexibility in the Elderly)

  • 이원유;권선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3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balance, and flexibility in the elderly.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3 people, was given music therapy for 90 minutes per a week for 6 weeks, while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21 people, was not given music therapy with quasi-experimental design. Resul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decr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flexibility in the elderly. However,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Despite one part, nursing intervention of music therapy to adapt Rhythm for Life elevated the strength of the elderly's body and showed decrease in depression. Therefore the Music therapy Program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PDF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에 대한 음악요법의 적용 일례 (A Case of Clinical Application of Music Therapy in Patient with PTSD)

  • 권순재;양종철;박태원;정영철;정상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0-54
    • /
    • 2012
  • Music therapy had been widely used in the area of psychiatry. However recently, participation of psychiatrist has been decreased, due to recent trends of emphasizing biological psychiatry and rapid effectiveness of pharmacotherapy. A 46 years old male PTSD patient was admitted to psychiatric ward. He has suffered from PTSD symptoms, such as intrusive distressing recollection of his past traffic accident, social avoidance, insomnia and depression. Music therapy, which is conducted by a psychiatrist and a music therapist, was applied. This case suggests the positive role of music therapy in treatment of PTSD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psychiatrist, as an organizer during music therapy.

음악요법에 관한 연구 (The Literature Review of Music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 이원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5-261
    • /
    • 2000
  • Based on the literature, status and role the music therapist in America was reviewed for this study.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usic therapy program in America suggests to us many things: In America, music therapists have sustained a mutually beneficial status with their clients for, over fifty years. Excellence in academic education and clinical training enable music therapists to continue to provide quality music therapy. The magnitude of change in to music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creates the challenge of providing real access to music therapy continues in the future. Music therapy is the use of music in the accomplishment of therapeutic aims: the restoration,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Music therapists work with individuals of all ages who require special services due to behavioral. social. learning, or physical disabilities. Employment may be in hospitals, clinics, day care facilities, school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ubstance abuse facilities, nursing homes, hospices, rehabilitation centers, correctional facilities, or private practices. The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AMTA) was founded in 1998 as a result of a union between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founded in 1971) and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founded in 1950). Music therapists are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s who have completed approved degree programs and had clinical training in order to receive Board Certification(MT-BC), with the designation of Registered, Certified, or Advanced Certified Music Therapist(RMT. CMT - or ACMT). AMTA provides several mechanism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music therapy programs: Standards of Practice. a Code of Ethics, a system for Peer Review, a Judical Review Board, and an Ethics Boa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1. It is concluded that music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can be effective for the clients. 2. It is a great challenge to develope a music therapy program for nursing intervention however, it is also task and responsibility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nursing.

  • PDF

선호 음악요법이 전신마취 산부인과 수술 환자의 불안과 활력 징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avorite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 in patients undergoing gynecologic surgery using the general anesthesia)

  • 양정임;노민영;양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89-119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부인과 전신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선호음악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5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이며, 대상자는 W대학병원의 산부인과 수술환자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23명, 총 44명이다.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선호음악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간의 불안은 수술실 입실 시와 마취직전 사이 및 마취 직전과 의식 회복 후(p=.003; p=.011)의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축기 혈압은 의식 회복 후와 회복실 퇴실 시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23), 맥박은 마취 직전과 의식 회복 후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6). 향후 선호음악 요법은 산부인과 전신마취 수술환자의 불안 감소 및 안정된 활력징후를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