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악하기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ronunciation Method for Words of a Song through Breathing and Vocalization (호흡과 발성을 통한 노래가사 발음 표현법)

  • Cho, Tae-S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57-360
    • /
    • 2009
  • 노래를 부르는 가수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확한 음정과 박자이다. 그와 더불어 중요한 부분이 바로 발음인데, 노래라고 하는 것이 멜로디와 가사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음이 불명확하면 내용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성악이나 판소리의 경우 사전에 충분한 훈련을 통해 음정, 박자와 더불어 발음부분까지 충분히 숙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대중음악부분은 모든 가수들이 충분한 훈련 기간을 거쳐 데뷔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상당부분 미숙한 것이 사실이다. 그중에 가장 소홀히하는 부분이 발음인데, 노래에 멋을 부린다고 하기엔 발음이 너무 과하거나 왜곡되게 표현되는 부분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노래를 부를 때의 정확한 발음법과 노래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효과적인 발음법에 관해 연구해 본다.

  • PDF

A Study of Constructive Character in Creative Musical Wonhyo with Princess Yosuk as the Central Figure (창작 뮤지컬 인물 구축 연구, 뮤지컬 원효의 요석 공주 역할을 중심으로)

  • Lee, Eun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3-124
    • /
    • 2012
  • 21세기의 여러 가지 공연 문화 중에 뮤지컬 장르는 현대 문화의 아이콘이라고 할 만큼 우리 생활 속에 친근하게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한국 창작 뮤지컬 분야는 그 소재를 우리 역사 속 인물을 제 창조 하여 국민들의 공감대를 형성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해외에 비해 창작을 해온 역사가 아직은 짧고 전문 인력이 부족 하기 때문에 지금도 완성이 아닌 현제 진행형이라고 볼 수 있다. 뮤지컬 원효는 우리 역사 속 인물인 원효 대사를 새로운 인물로 재창조 하여 창작된 뮤지컬로 작품속에 녹아 있는 '일체유심조'사상과 요석 공주와의 관계를 통해 원효 대사가 파계하는 모습 등을 여러 가지 사건과 음악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뮤지컬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존재 이유가 명확할 때 작품의 의도 또한 잘 전달 되어 질 수 있지만 뮤지컬 원효에서 여자 주인공 역할인 요석 공주는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인물의 목표와 장면마다의 연계성에 대한 부재가 크다고 판단되었다. 본고는 뮤지컬 원효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중심인물인 요석 공주의 시점으로 장면을 분석하고 더 나은 공연이 되기 위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Design for the Representation of Jung-Gan-Bo(Korean Traditional Musical Notes) on the Web Based on XML (XML을 이용한 초등 국악보 웹 표현 시스템 설계)

  • Do, Jae-Chun;Moon, Gyo-S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269-274
    • /
    • 2008
  • 초등 음악에서 전통 국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간보라는 대표적인 국악보가 있지만 제재곡의 대부분을 서양 악보인 오선보로 표기하고 있다. 제7차교육과정에서 단소 연주를 위한 한글 율명의 가로 정간보를 도입하였지만 오션보로 표기된 제재곡과는 별개로 등장하여 연관성이 부족하다. XML은 고정되지 않은 마크업 언어이며 확장성이 높고 재사용하기가 쉬운 보편적인 포맷으로 차세대 인터넷 표준 언어라고 불린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그래픽 형식의 오선보와 정간보를 동시에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초등 국악보의 공통된 정보를 찾아내어 연관성을 제시하고 XML을 이용하여 표준화된 초등 국악보 정보를 제공하고 플래시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웹으로 표현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런 표준화된 정보로 국악교육에서 오선보와 정간보가 일관성 있게 사용이 될 것을 기대하며 나아가 동일한 표준정보를 활용하여 세로 한자 정간보의 표현 등으로 확장될 것을 기대한다.

  • PDF

Musical Instrument Conversion and Mixing Application for Smartphone (스마트폰을 위한 악기 변환 및 합성기 애플리케이션 개발)

  • Jang, Won;Cho, Hyo-Jin;Shin, Seong-Hyeo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25-2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위한 악기 변환 및 합성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혼자서 합주를 하기 위한 가상 악기 애플리케이션은 자연스러운 연주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하여 소리를 녹음하고, 이를 여러 다른 악기 소리로 변환하여 하나의 밴드 음악으로 합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어쿠스틱 기타 한 대만을 연주하여 혼자서 여러 악기의 합주 효과를 낼 수 있다.

  • PDF

Theory of Acoustic Quanta and its Application on Sound Design (음향 양자 이론의 사운드 디자인적 응용)

  • Koo, Ja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9
    • /
    • pp.420-426
    • /
    • 2018
  • Acoustic Quanta, which British Physicist Dennis Gabor created,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granular synthesis and has influenced many computer music artists and sound designers. Acoustic Quanta is a very short sound burst, lasting only 1 to 100 ms. Granular synthesis is a sound synthesis technique which slices original sound into sound grains and re-combines them into a new acoustic event. Concept of sound grain is borrowed from the acoustic quanta. Granular Synthesis can make very unique sound, so that it can be useful in many ways, especially in sound design. This paper presents concept of acoustic quanta and granular synthesis. It then discusses making a synthesizer as an implementation of synchronous granular synthesis and its applications on sound design. As a result, the duration of acoustic quanta should range between 0.239 and 33.367 ms, in consideration of audible frequenci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the acoustic quanta.

A Study on Development of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based on Integrated Tasks to Support the Free Semester System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통합 주제 중심의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 Lee, Kyeong-Hwa;Song, Gi-Ho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7 no.4
    • /
    • pp.85-10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based on the integrated topics to promote inquiry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take part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o that end, the cont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n a national level was analyzed to develop 6 inquiry themes that incorporate Korean, Social Studies, Music and Art.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guide were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forming a background knowledge, researching and creating and evaluating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e detailed activities for research step were consisted of the four steps of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forma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ompilation of information and evaluation for each activity. Among the themes "environment" and "appreciation" were applied to a public library and a middle school library as a trial. The trial application saw that students took an interest in programs that subject themes are link with various topics. They were also very satisfied with such programs.

The Melodic Structure of the Bulmosan Youngsanjae, Ongho-ge (불모산 영산재 범패 옹호게의 선율구조)

  • Choi, Heo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4
    • /
    • pp.383-421
    • /
    • 2017
  • Because the Jitsori and the Hotsori of the Beompae(the Korean Budhhist chant) has no meter and no Jangdan(a Rhythmic cycle of the Korean Music), so it is hard to analyze the melody of the Beompae. Also the melody of the Beompa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Korean traditional music, so studying of the Beompae has been out of the limelight of many scholars, studying the Korean music. But the melody of Beompae had been handed down for thousands of years in Korea, it and other Korean trditional music, had exchanged the impacts each other for a longtime. So I thinks that the Korean Beomapae have shared the similarity of the musical features with the other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use the Beompae of the Bulmosan Yeongsanjae on the Geongsangnamdo province has also no meters and no Jangda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oo. But because the Onghoge of Bulmosan Yeongsanjae have a well-regulated melodic structure in comparison with the Beompae of the Seoul province, so called Geongjae Beompae, it seem to be easy to analyze its melody. So I will analyze the melody of Bulmosan Yeongsanjae Onghoge. This analyze should be contribute to investigate the rule of the melodic progress method on the convoluted Beompae melody. Onghoge has been sung on the procedure for Siryeon, Samsiniun(Goebuliun), Jojeonjeoman, Sinjungjakbeop. And the monk for the ritual has sung the chant first to purify the ritual place and to protect the soul. They has called the song, Onghoge a Jitsori at the Bulmosan Yeongsanjae preservation society of the Gyeongnam province. Commonly, there were Jitsori and Hotsori in the Beompae melody, and the melody of Jitsori is longer than that of the Hotsori. So, the melody of Onghoge is lengthened. In other word, the melody of the Onghoge show the lengthened and curved melodic feture of the Beompae very well. Hahn Manyeong, who had studied on the Beompae, Budhhist chant, said that the Hotsori has five letters in a phrase, and there were 4 phrases in a song. And he had insisted that the form of the song, Hotsori, is ABAB. I analyze the melody of the Onghoge by the Hahn's method. I will extract the Wonjeom(a primary tone of a skeletal melodic structure) from the melody of Onghoge, and in the progress of the Wonjeom of Onghoge melodies, I will arrange the repeat of the Wonjeom melody. It is a structural melody of Onghoge. The first phrase of Bulmosan Yeongsanjae Onghoge, 'Pal bu geum gang ho do ryang(八部金剛護道場)' have 4 structural melodies, the second phrase 'Gong sin sog bu bo cheon wang(空神速赴報天王)', the third phrase 'Sam gye je cheon ham le jip(三界諸天咸來集)', the firth phrase 'Yeo geum bul chal bo jeong sang(如今佛刹補禎祥)' have 2 structural melodies each. The structural melodies of Onghoge are 10 in total. And the structural melody of the Onghoge is formed the shape of 'Mi - La - do - La - Mi'. All of the Onghoge melodies is repeated 10 times by the melodic shape. The form of the Onghoge is not ABAB by Hahn, but is 10 times repeat of the shape.

Analysis on the Therapeutic Music of Chinese Five-sounds (오음 표준화를 위한 중국 '오음' 치료음악의 분석)

  • Ha Ki Jong;Lee Yong Tae;Kim Gyeong Cheol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 /
    • v.16 no.6
    • /
    • pp.1106-1109
    • /
    • 2002
  • The analysis on the therapic music of chinese five-sounds studied in order to the stand ardization of the five-sou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entral sound of Gung(宮) becomes Do. This music goes on slow speed from first to last and appears the bright, quiet and stable mood. The central sound of Sang(商) becomes Re. This music mainly uses the brass and the fist appears the heavy feeling but gradually becomes ascending mood. The central sound of Kang(角) becomes Mi. This music mainly uses the wood-wind imstrument and appears the most light and vivid feeling. The central sound of Chi(徵) becomes Sol. All instruments sound grandly in the first part, and subsequently sound gentle. The central sound of Woo(羽) becomes La. This music appears dark and tragic mood that is generally used in the minor key. It is played slowly on the whole and appears lyrical feeling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and quiet. In the future, the study on diagnosis and therapy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the five-sounds will be continued.

A Study on the Car Audio Sound Qualify Enhancement under Vehicle Noise (차량 주행소음을 고려한 자동차 오디오 음질 개선법 연구)

  • Park Seok Tae;Kim Kyung Hwan;Lee Jong Ky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74-277
    • /
    • 1999
  • 자동차 오디오는 차량의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급 차량일수륵 또한 젊은 층일수록 차량 구매시 선택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동차 오디오는 크게 두가지 면에서 가정용 오디오와 차이가 있다. 첫번째는 청취공간이 매우 헙소하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주행시 차량소음이 차 실내로 유입되어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미친다. 차 실내는 즘은 공간 음향폭성으로 인한 음향 dip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오디오 음질의 왜곡을 가져오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라우드스피커 최적배치 뿐 아니라 주행소음에 대한 시험 및 분석을 하여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밴드를 파악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음에 차량소음이 섞인 경우에 대하여 차량의 라우드스피커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밴드별 출력을 디지털필터를 이용하여 수정하는 방법으로 음질 개선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필터의 보정치는 차량 주행소음 특성과 차 실내 음향특성을 고려하였다. 차량소음을 섞은 주파수 옥타브 밴드 분석법을 이용한 객관적인 분석과 감성적 분석법인 NCB곡선으로 차량소음을 분식하여 디지털 필터 보정치를 구하는데 사용하였다. 제안한 9가지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차량소음과 음악을 합성하였고 이중에서 좋은 음질에 대한 판정을 하기 위해 Scheffe가 제안한 7점 주관 평가법을 사용하여 64명이 내린 주관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user scenario design using remote user behavior analysis tool - Case : online news service project (원격 사용자 행동 분석 툴을 활용한 사용자 시나리오 도출에 관한 연구-온라인 뉴스 서비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Hong, Sae-Ro-Na;Lee, Rick;Shim, Min-Jung;Oh, Ki-Tae;Lee, Kun-Py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13-319
    • /
    • 2006
  • 쇼핑, 음악, 영화 등 오프라인에서 즐기던 많은 서비스가 이제는 온라인화 되어 일상화되었다. 그 중 뉴스의 경우도 미국의 리서치업체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자의 21%가 온라인 뉴스를 오프라인보다 더 선호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 대한 선호도가 비약적으로 늘고 있다고 밝혔다. 종이 페이퍼로 뉴스를 제공할 때는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행위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온라인 뉴스와 같은 컨텐츠 서비스는 하이퍼텍스트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컨텐츠 서비스 사용 행위를 분석하기 위해 아이트랙킹, 인뎁스인터뷰 등 여러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아이트랙킹 연구는 Poynter Institute 에서 2004년도에 진행한 사례가 있지만 여전히 컨텐츠 서비스에서의 핵심 이슈인 컨텐츠 영역에 대한 관심도, 영역별 연관성 파악 등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컨텐츠 서비스 사용자의 유저 시나리오 도출을 위해 온라인 뉴스를 대상으로 한 분석 케이스를 소개한다. 본 사용자 행동 분석 리서치 수행을 위해 원격툴을 개발하였으며, 이 툴을 실제로 적용해봄으로써 컨텐츠 서비스 분석시 가능성과 고려사항들을 함께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