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모산 영산재 범패 옹호게의 선율구조

The Melodic Structure of the Bulmosan Youngsanjae, Ongho-ge

  • 투고 : 2017.01.10
  • 심사 : 2017.02.05
  • 발행 : 2017.02.28

초록

짓소리 홋소리 같은 범패(梵唄)는 대개 무장단(無長短) 무박자(無拍子)로 진행 되기 때문에 난해한 음악으로 간주되어 왔다. 또 외견상 그 선율이 다른 한국의 전통음악들과는 많이 달라서 학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었다. 그러나 범패도 한국에서 수천년간 전승되어왔기 때문에 여타의 한국 전통음악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오늘에 이어진 음악이기 때문에 서로 같은 음악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불모산 영산재의 범패도 경제 범패와 유사하게 무박자로 이루어져 그 선율의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경제 선율에 비해 비교적 구조적 질서를 갖기 때문에 선율구조의 분석이 수월해 보인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한국 범패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영제인 불모산 영산재 중 옹호게의 선율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범패는 경상남도 창원지역에 전승되는 불모산(佛母山) 영산재(靈山齋) 중 옹호게(擁護偈)이다. 옹호게는 시연(侍輦), 삼신이운(三身移運)(괘불이운(掛佛移運)), 조전점안(造錢點眼), 신중작법(神衆作法) 등의 절차에서 불려지는 범패로, 의식도량을 정화(淨化)하고 영혼을 옹호(擁護)하기 위해서 의식의 첫머리에 부른다. 이 지역에서는 이 소리를 '짓소리'라고 한다. 범패는 보통 짓소리와 홋소리가 있다고 하며 그 가락은 길게 늘어진다고 한다. 따라서 옹호게는 다른 홋소리의 범패에 비해 비교적 길게 지어서 소리하는 부분이 많다. 즉 범패의 장인굴곡(長引屈曲)의 음악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만영은 5언 또는 7언 4구로 된 경제 범패 홋소리를 분석하여 ABAB의 형식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경상남도의 불모산 영산재의 짓소리 옹호게를 분석하였다. 이를위해 하나의 지속되는 음, 즉 원점을 추출하고, 원점의 진행에서 반복구를 찾아 구조선율을 정리하였다. 불모산 영산재의 옹호게 제1구 '팔부금강호도장(八部金剛護道場)'은 4개의 구조선율, 제2구 '공신속부보천왕(空神速赴報天王)', 제3구 '삼계제천함래집(三界諸天咸來集)'. 제4구 '여금불찰보정상(如今佛刹補禎祥)'는 각각 두 개의 구조선율로 모두 10개의 구조선율로 이루어 졌다. 그리고 그 구조선율은 '미라도라미'의 구조의 반복이다. 즉 한만영의 경제 범패 홋소리의 분석결과 ABAB와는 달리 5언 또는 7언 4구의 노랫말에 따른 악구 구조가 아니라 구조선율의 반복형태에 따라 10개의 구조로 되었고, 그 구조선율은 '미라도라미' 한 가지 형태의 반복이라는 것이다.다만 길게 확장하여 짓소리의 짓는 소리로 만들기 위해서, '미'를 '미라미' 또는 '라미', '도라'를 '도라도라', '라미'를 '라미라미' 로 만드는 등, 음을 앞이나 중간에 더 삽입하거나, 반복하여 길게 짓는 방법으로 선율을 확장한다. 결국 불모산 영산재 옹호게의 선율구조는 '미라도라미'를 10번 반복하는 매우 단순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길게 짓기 위해서 앞에서 정리한 삽입, 반복 등의 방법 외에, 간음 삽입이나 매우 복잡한 형태의 장식음 활용으로 전체 선율을 매우 다채롭게 만들고 있어, 간음과 장식음에 대한 분석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하겠다.

Because the Jitsori and the Hotsori of the Beompae(the Korean Budhhist chant) has no meter and no Jangdan(a Rhythmic cycle of the Korean Music), so it is hard to analyze the melody of the Beompae. Also the melody of the Beompa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Korean traditional music, so studying of the Beompae has been out of the limelight of many scholars, studying the Korean music. But the melody of Beompae had been handed down for thousands of years in Korea, it and other Korean trditional music, had exchanged the impacts each other for a longtime. So I thinks that the Korean Beomapae have shared the similarity of the musical features with the other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use the Beompae of the Bulmosan Yeongsanjae on the Geongsangnamdo province has also no meters and no Jangda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oo. But because the Onghoge of Bulmosan Yeongsanjae have a well-regulated melodic structure in comparison with the Beompae of the Seoul province, so called Geongjae Beompae, it seem to be easy to analyze its melody. So I will analyze the melody of Bulmosan Yeongsanjae Onghoge. This analyze should be contribute to investigate the rule of the melodic progress method on the convoluted Beompae melody. Onghoge has been sung on the procedure for Siryeon, Samsiniun(Goebuliun), Jojeonjeoman, Sinjungjakbeop. And the monk for the ritual has sung the chant first to purify the ritual place and to protect the soul. They has called the song, Onghoge a Jitsori at the Bulmosan Yeongsanjae preservation society of the Gyeongnam province. Commonly, there were Jitsori and Hotsori in the Beompae melody, and the melody of Jitsori is longer than that of the Hotsori. So, the melody of Onghoge is lengthened. In other word, the melody of the Onghoge show the lengthened and curved melodic feture of the Beompae very well. Hahn Manyeong, who had studied on the Beompae, Budhhist chant, said that the Hotsori has five letters in a phrase, and there were 4 phrases in a song. And he had insisted that the form of the song, Hotsori, is ABAB. I analyze the melody of the Onghoge by the Hahn's method. I will extract the Wonjeom(a primary tone of a skeletal melodic structure) from the melody of Onghoge, and in the progress of the Wonjeom of Onghoge melodies, I will arrange the repeat of the Wonjeom melody. It is a structural melody of Onghoge. The first phrase of Bulmosan Yeongsanjae Onghoge, 'Pal bu geum gang ho do ryang(八部金剛護道場)' have 4 structural melodies, the second phrase 'Gong sin sog bu bo cheon wang(空神速赴報天王)', the third phrase 'Sam gye je cheon ham le jip(三界諸天咸來集)', the firth phrase 'Yeo geum bul chal bo jeong sang(如今佛刹補禎祥)' have 2 structural melodies each. The structural melodies of Onghoge are 10 in total. And the structural melody of the Onghoge is formed the shape of 'Mi - La - do - La - Mi'. All of the Onghoge melodies is repeated 10 times by the melodic shape. The form of the Onghoge is not ABAB by Hahn, but is 10 times repeat of the shap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부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