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소구별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음소인지에 관한 시각적 연구 (A Visual Study of the Phonemic Awareness)

  • 박희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19-225
    • /
    • 2015
  • 본 연구는 최소짝을 이용하여 한국인 피 실험자들의 영어자모음과 반모음의 음소구별능력을 살펴본 실험적 연구이다. 음소구별능력을 알아보는 실험의 방법으로는 청해시험을 활용하였으며, 거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피 실험자들이 영어자음음소의 구별에 비해 영어모음음소의 구별에 상대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영어모음음소 중에서도/ə:/와 /ɔ:/의 구별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로, 반모음/w/음의 유무에 따른 구별능력에서는 피 실험자 전원이 어려움 없이 구별해내고 있었는데, 이는 반모음/w/의 유무를 단어의 발음에서 쉽게 구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이러한 실험의 데이터 분석을 시각화함으로써 실험결과를 영어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스펙트로그램의 그림분석을 병행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호주 영어 모음 연쇄 /w+V/ 조음 비교 (Australian English sequences of semivowel /w/ + Back Vowel /3:/, / :/ or / / production by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 박시균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제15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KSCSP 98 15권1호)
    • /
    • pp.188-191
    • /
    • 1998
  • 호주 영어의 단어 중 한국인과 일본인이 구별하기 어려운 'work', 'walk', 'wok' 세 단어에 대해 다룬다. 우선 한국인과 일본인이 이들 세 단어를 어떻게 조음할 것인가를 예측하고, 실제로 한국인과 일본인 화자들이 조음한 자료를 가지고 모듬의 음질과 길이 두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예측한 사항과 비교하고 또 이들 단어를 조음할 때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 어떤 음성 음운적 특징이 나타나는지도 비교 분석한다. 결과는 모국어의 음성, 음운적 영향이 목표어의 음소를 습득하고 발음하는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wok/wo k/의 예는 언어 보편적인 요소가 L2의 음소를 습득하는데 있어 또 하나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도 알려주고 있다.

  • PDF

분산 신경망을 이용한 고립 단어 음성에 나타난 음소 인식 (Recognition of Korean Phonemes in the Spoken Isolated Words Using Distributed Neural Network)

  • 김선일;이행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4-61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총 106개의 단어로 구성되는 30개의 한국어 속담 문장에 대해 프레임 단위로 인식하는 분산 신경망을 구현하였다. 음성에 대한 특징값으로는 PLP 켐스트럼과 에너지 및 영교차율을 사용하였으며 분산 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이 특징값들이 음성의 시간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 주변의 넓은 영역에 걸쳐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20대 젊은 남자가 30개의 속담을 5번씩 발음하였다. 신경망 학습에 네집단을 사용하고 학습에 참여하지 않은 나머지 한집단은 인식용으로 사용하였다. 속담내의 단어와 단어 사이는 구별이 잘 되도록 묵음 구간을 두어 발음하였다. 인식 결과음소를 판 군별로 분류하는 대분류 신경망에서의 각 군의 프레임 인식율은 네 집단을 학습에 사용한 경우 $95.3\%$를 나타내었다.

  • PDF

External knowledge를 사용한 LFMMI 기반 음향 모델링 (LFMMI-based acoustic modeling by using external knowledge)

  • 박호성;강요셉;임민규;이동현;오준석;김지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7-613
    • /
    • 2019
  • 본 논문은 external knowledge를 사용한 lattice 없는 상호 정보 최대화(Lattice Free Maximum Mutual Information, LF-MMI) 기반 음향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External knowledge란 음향 모델에서 사용하는 학습 데이터 이외의 문자열 데이터를 말한다. LF-MMI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 학습의 최적화를 위한 목적 함수의 일종으로, 구별 학습에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 LF-MMI에는 DNN의 사후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음소의 열을 사전 확률로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LF-MMI의 목적식의 사전 확률을 담당하는 음소 모델링에 external knowlege를 사용함으로써 과적합의 가능성을 낮추고, 음향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External memory를 사용하여 사전 확률을 생성한 LF-MMI 모델을 사용했을 때 기존 LF-MMI와 비교하여 14 %의 상대적 성능 개선을 보였다.

음성파형의 비대칭율을 이용한 음소의 전이구간 검출 (On Detecting the Transition Regions of Phonemes by Using the Asymmetrical Rate of Speech Waveforms)

  • 배명진;이을재;안수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5-65
    • /
    • 1990
  • 연속음 인식을 위해서는 음성신호의 음성학적 경계를 결정짓는 분할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신호의 전이구간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한 프레임 내의 비대칭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그 프레임에서 음성진폭의 변화율을 대별하며, 인근 프레임의 비대칭율과 비교하면 현재의 프레임이 정상상태 혹은 전이영역에 있는지를 구별할 수 있게 해 준다.

  • PDF

기능성게임을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영어 발음 학습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Psychological Effects of Gamification on Young Learners: Focusing on a Serious Game for English Phoneme Discrimination)

  • 이선영;박주현;최정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1-12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태블릿 PC 기반 기능성게임을 활용한 음소 구별학습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앱 사용 학습과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초등 6학년을 대상으로 기능성게임 학습반과 사전앱 학습반으로 나누어 수업을 한 후 설문 조사와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문 조사에서는 두 반 모두 학습 흥미와 동기, 자신감, 집중력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면대면 인터뷰 결과에서는 게임 학습반이 사전앱 학습반보다 위의 모든 정의적 영역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어 학습 영역에서 태블릿 PC 기반의 기능성게임을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인 학습 흥미 유발, 동기, 자신감 및 집중력 강화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