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란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Human Bodies Detection in Color Images for Discrimination of Destructive Site to Public Moral (유해 사이트 식별을 위한 칼라 영상에서 인체 검출)

  • 이병선;정장호;이은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352-354
    • /
    • 2001
  • 컴퓨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 사용이 손쉬워 짐에 따라 청소년들에게 무제한으로 유해 사이트가 공개되어 많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사용자에게 음란 정보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칼라 영상에서 인체를 검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효율적인 인체 검출을 위해 인체의 특징의 하나인 피부색을 HSI(Hue, Saturation, Intensity)의 공간에서 조명의 강도 및 각도 차에 영향이 적은 H값과 피부색을 이루는 RGB(Red, Green, Blue)공간에서 R값의 비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미디언 필터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잡음 제거를 하고, 라벨링을 통하여 임계값보다 작은 라벨을 제거함으로써 2차적인 잡음을 제거한다. 다양한 자세의 전신을 템플릿으로 DB화하고, 유형을 2차적인 잡음을 제거한 영상의 크기와 동일하게 확대 한 다음, 템플릿 매칭으로 유사성을 비교하여 인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피부색을 검출하는 제안 방법이 명암 차를 극복하였고, 다양한 피부색 검출에 양호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템플릿을 만들어, 1차 잡음제거와 라벨링으로 2차 잡음제거를 한 입력 영상과의 템플릿 매칭으로 다양한 자세의 인체를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n blocking virus and harmful information through firewalls (방화벽에서 바이러스 및 불건전정보 차단에 관한 연구)

  • Song, Eui;Kwon, Seok-Chul;Kim, Nam-Wook;Lee, Byung-Man;Song, Kwa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6.11a
    • /
    • pp.185-189
    • /
    • 1996
  • 외부의 불법 침입자로부터 내부 네트웍 보안을 위한 하나의 솔루션으로 방화벽이 제공되고 있다. 방화벽은 크게 패킷필터링 방식과 어플리케이션 방식의 방화벽으로 나누어지는데 어플리케이션방식은 프락시 기능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방식의 방화벽에서 FTP Proxy, SMTP Proxy를 통한 파일전송시 바이러스 차단 및 HTTP Proxy를 통한 음란, 폭력물과 같은 불건전정보를 차단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데이터 기반 딥페이크 탐지기법에 관한 최신 기술 동향 조사

  • Kim, Jeongho;An, Jaeju;Yang, Bosung;Jung, Jooyeon;Woo, Simon S.
    • Review of KIISC
    • /
    • v.30 no.5
    • /
    • pp.79-92
    • /
    • 2020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 '가짜 연예인 음란 동영상' 및 '지인 능욕'에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딥페이크(Deepfakes)기술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딥페이크 기술이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악의적으로 조작된 음성, 영상, 이미지 등을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더욱더 빠르고 정교한 생성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딥페이크 기술은 빠른 개발 속도와 쉬운 접근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범죄에 악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딥페이크 생성 기술을 설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탐지 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술의 현황을 설명한다.

A Study on the Effective Selective Filtering Technology of Harmful Website Using Internet Content Rating Service (인터넷 등급서비스를 이용한 효과적인 유해사이트 선별 기술에 관한 연구)

  • Lee, Jae-Sun;Jeon,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355-2358
    • /
    • 2002
  • 인터넷의 급격한 보급으로 음란외설 폭력정보와 같은 불건전 정보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해정보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보편화된 차단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장한 인터넷 내용 등급제를 비교분석하고,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제시한 등급기준을 토대로 PICS(Platform for Internet Content Selection) 기반의 선별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기존 차단 프로그램과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구현된 프로그램은 현재 실용화되는 기술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Proposal of Technical Method for Solving Internet Harmful Contents (채팅, 화상채팅의 실태 분석 및 기술적 해결 방안의 제안(II)-기술적 해결 방안을 중심으로-)

  • 조동욱;정진우;한선아;전환규;정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0-47
    • /
    • 2004
  • This research proposes the technical solving method for blocking Internet harmful sites such as chatting and image chatting. For this, biometric verification using human front-faces is proposed. Also, signal processing method is proposed for blocking pornographic acts.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is paper is demostrated by experiments.

  • PDF

Classification of Phornographic Videos Based on the Audio Information (오디오 신호에 기반한 음란 동영상 판별)

  • Kim, Bong-Wan;Choi, Dae-Lim;Lee, Yong-Ju
    • MALSORI
    • /
    • no.63
    • /
    • pp.139-151
    • /
    • 2007
  • As the Internet becomes prevalent in our lives, harmful contents, such as phornographic videos, have been increasing on the Internet, which has become a very serious problem. To prevent such an event, there are many filtering systems mainly based on the keyword-or image-based method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ise a system that classifies pornographic videos based on the audio information. We use the mel-cepstrum modulation energy (MCME) which is a modulation energy calculated on the time trajectory of the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as well as the MFCC as the feature vector. For the classifier, we use the well-known Gaussian mixture model (GM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ystem effectively classified 98.3% of pornographic data and 99.8% of non-pornographic data. We expec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uses both video and audio information.

  • PDF

유해 멀티미디어 분석 및 차단 기술 동향

  • Han, Seung-Wan;Choi, Byeong-Cheol;Lim, Jae-Deok
    • Review of KIISC
    • /
    • v.22 no.3
    • /
    • pp.19-24
    • /
    • 2012
  • IT 기술의 발달은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새로운 사회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해 매체의 범람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가장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사회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린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여 유해 멀티미디어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정보복지를 실현시킬 수 있는 현재의 기술적 방법들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최근 유해음란물의 주요 유포경로가 되고 있는 웹 하드 등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OSP: Online Service Provider) 측면에서 유해음란물이 배포되기 이전에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미디어, 통신, 디바이스, 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해 멀티미디어 차단 기술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제안한다.

An Efficient Technique to Select Key-Frames for Identifying Objectionable Video Images (동영상의 유해성을 판별하기 위한 효율적인 대표 프레임 선정 기법)

  • Park, Myung-Cheol;Jun, Y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677-680
    • /
    • 2002
  • 동영상에서 음란정보와 같은 유해정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대표프레임을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존의 대표프레임 선정 기법은 대부분이 장면전환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법은 연속된 변화특성을 가지는 유해 동영상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대표프레임으로 인해 전체적인 판별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판별시스템의 입력이 되는 대표프레임을 프레임간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의 실험을 위해서 기존의 판별시스템에 제안된 기법으로 선정된 대표프레임을 투입한 경우에 90% 이상이 유해하다고 판별하여 입력의 적합성이 입증되었으며, 선정된 대표프레임의 수도 I-프레임에 비해 68%의 감소율을 보여 시간적 효율성도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본 기법은 효율적인 유해성 판별시스템을 가능하게 하여, 건전한 동영상 정보의 유통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 PDF

메타버스 범죄 동향 및 디지털 포렌식 대응 방안

  • Park, Yunji;Jeong, Doowon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41-47
    • /
    • 2022
  •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관심 및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기존 사이버 범죄 유형인 정보통신망 침해 범죄, 정보통신망 이용 범죄, 불법 콘텐츠 범죄와 더불어 아바타에 대한 강간, 강제추행, 공연음란, 스토킹 등 새로운 유형의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형사법적 관점에서의 대응 방안과 기술적 관점에서의 디지털 포렌식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하여 가상 환경이 현실이라고 느낄 정도의 실감 기술을 제공하는 메타버스의 특성으로 인해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포렌식 분석은 기존의 전통적인 포렌식 연구와는 다른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범죄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 동향을 파악해 보았다. 또한 메타버스에 대한 포렌식 분석 시 기존 디지털 포렌식과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고등학생들의 음란 영상매체 접촉 실태)

  • Kim Han Sook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6 no.1
    • /
    • pp.45-6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as well 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774 students of six high schools in Seoul, three boys' and three girls' respectively, from August 22 to August 25, 2000. This study shows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such as CD-ROMs, internet, video tapes and adult movies has become very serio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students surveyed, $23.5\%$ of them currently has opposite-sex friends, while $42.2\%$ used to have and $34.2\%$ has never had opposite-sex friends. 2. $55.3\%$ of the students pick up their sexual knowledge from their friends, followed by mass media $(47.5\%),\;school (21.1\%),\;adult\; magazines (17.1\%)\;, internet (14.1\%)$, pornography visual $materials (11.5\%),\; sexual\; books (3.6\%)$ and pornography printed $materials (2.4\%).$ 3. Regarding the frequency of sexual education taken in school, $54.2\%$ of the students answered 'often', while $37.6\%$ answered 'almost none', 'several times' $(4.4\%)$, 'never' $(2.9\%)$ and 'frequently' $(0.9\%)$, respectively. Regarding sexual education at home, $42.2\%$ answered 'almost none', followed by 'never' $(36.3\%)$, 'often' $(16.3\%)$, 'several times' $(3.3\%)$ and 'frequently' $(1.8\%)$, respectively. 4. $68.2\%$ of the students have been exposed to adult movies, followed by pornography videos $(60.1\%)$, internet chatting $(50.2\%)$ and pornography computer diskettes $(38.0\%)$. 5. The degree of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of boy studen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girl students. 6. It appears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kind of schools and the degree of the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7.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 is. the more they have been exposed to pornographic materials. 8. It shows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9. There is also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students' pocket money and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10.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11. It appears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ir parents' relations with them and the degree of the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1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ir residential area. 13.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income of their families. 14.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mean sexual education at h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