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은폐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1초

이슈&이슈 - 누구를 위한 가스 은폐배관 점검구 설치인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92호
    • /
    • pp.95-98
    • /
    • 2014
  • 지난 해 12월 개정된 세대 내 도시가스 은폐배관 점검구 설치 규정이 현실과 동떨어진 과도한 규제라는 지적에 따라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 여러 차례 회의를 한 결과 지난 9월 19일 개최된 제56차 가스기술기준위원회에서 '1개의 점검구 설치와 점검구 규격은 $900cm^2$'로 조정됐다. 그러나 대한설비건설협회 가스설비공사협의회(위원장 이두형, 이하 가스협의회라 함)는 "은폐배관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단 한건의 가스누출 사고도 없었을 뿐만아니라 시공 구조 상 점검구가 필요치 않으며, 점검구가 꼭 설치해야 한다면 점검구 크기가 $10cm^2$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최근 가스시공업계의 최대 이슈인 도시가스 은폐배관 점검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그래디언트 차를 이용한 확장된 블록매칭 기반의 에러은폐기법 (Error Concealment based on Extended Block Matching using Gradient Difference)

  • 김동욱;김진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2C호
    • /
    • pp.201-208
    • /
    • 2003
  • 에러 은폐기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회의 등 실시간 전송을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불연속에 민감한 시각 특성을 고려하여 블록 경계의 차를 최소화하는 에러 은폐기법을 제안한다. 손실 블록에 대한 에러 은폐는 그래디언트 차에 기반을 둔 확장된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제안된 기법은 실험 영상에 대한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기법에 비해 평균 약 1.3㏈ 의 화질의 향상을 가져왔다.

시간적 에러 은폐를 위한 공간적 스무딩 (Spatial Smoothing for Temporal Error Concealment)

  • 김동욱;김진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708-171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패킷 손실을 위한 새로운 시간적 에러 은폐 기법을 제안한다. 각 손실 블록에 대한 에러 은폐는 시간적 움직임 보상을 바탕으로 보상된 블록과 주변 블록간의 경계에 대한 공간적 스무딩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모의실험에서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에 비해 약 2㏈의 화질 향상을 가져왔다.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중국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지식은폐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Leader' Abusive Supervision on Employees' Knowledge Hiding and Job Engagement in Chinese SME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

  • 두찌아싱;장준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107-117
    • /
    • 2022
  • COVID-19의 지속적인 영향에 따라 경영환경의 열악함과 경제 전반의 하락으로 조직성과에 막강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정적인 변수로 지식은폐에 초점을 두었고 긍정적인 변수와 관련하여 직무열의에 초점을 두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구성원들의 상사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들의 상사신뢰는 지식은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성원들의 상사신뢰는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들의 상사신뢰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구성원들의 지식은폐 및 직무열의 사이에서 모두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어떻게 조직에서 상사들의 비인격적 감독과 구성원들의 지식은폐를 감소시키는 방법과 구성원들의 상사신뢰, 직무열의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 김주영;신희천;김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05-51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과정을 자기은폐가 매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자기은폐, 이상섭식행동을 측정하였다. 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는 자기은폐와 이상섭식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 은폐 또한 이상섭식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구조방적식 모형을 검증하여 자기은폐가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는 직접적으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높은 자기 은폐를 매개로 이상섭식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부여함과 동시에 스스로에게 비판적이고 타인의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사람, 즉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자는 부정적인 사적인 정보를 숨기는 경향, 즉 자기은폐를 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이상섭식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식은폐 연구동향 분석 (Exploration of Knowledge Hiding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주재홍;송지훈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217-2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지식은폐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지 않는 것을 넘어 의도적으로 숨기는 등의 구성원의 지식은폐에 대한 연구가 확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국내외 지식은폐 관련 게재된 연구 120편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346종 578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데이터 표준화 기준에 따라 키워드를 코딩하여 최종적으로 86개 노드와 667개의 링크로 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정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지식은폐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네트워크 구조를 비교하여 연구 동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지식공유, 창의성 그리고 성과 키워드가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그리고 근접 중심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식은폐의 이론적 기제와 관련이 있는 "심리적 주인의식"과 "개인의 정서"에 대한 에고 네트워크를 분석함과 개념적 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변수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oncealment, Satisfy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Commitment of Romantic Relationship in Early Adulthood)

  • 채지은;박정윤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3호
    • /
    • pp.305-323
    • /
    • 2021
  •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은폐와 이성관계 헌신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현재 이성교제 중인 20-29세 성인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v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성별, 연령, 이성교제 기간이 이성관계 헌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본심리욕구 중 관계성을 충족하는 것이 이성관계 헌신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자기은폐가 이성관계 헌신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와 이성관계 헌신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다. 초기 성인기의 이성관계 헌신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기은폐를 낮추고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을 충족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변인들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려고 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초기 성인기의 이성관계 헌신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의 근거를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학업도움추구와 은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Help-Seeking and Concealment on the Relations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 정은선;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71-681
    • /
    • 2016
  •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학업장면에서 도움추구 및 은폐가 부정적 정서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위험 예측과 이득 예측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구분하였고, 부정적 정서로는 우울과 불안을 상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68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하여 최종 252부를 가지고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에서 도움추구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을 완전 매개하고, 은폐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도움추구를 통해 우울 및 불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직접 또는 은폐를 거쳐 우울 및 불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긍정적 측면을 밝힘과 동시에 적극적인 도움을 청하고, 은폐를 줄임으로써 우울 및 불안을 낮추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적 도움요청태도 간의 경로 검증 (Paths from Self-Esteem to Professional Help-seek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최정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5-28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전문적 도움요청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자아존중감, 자기은폐, 우울, 도움요청태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구 및 경북 지역 대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그 적합도와 주요 변수들 간의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자기은폐와 우울에 각각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은폐는 우울에는 정적으로, 그리고 전문적 도움요청태도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요청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