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은코팅

Search Result 29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ynthesis of Nano-Colloidal Silica Coated with Silver (은을 코팅한 Nano-Colloidal Silica의 합성)

  • Lee, Joo-Heon;Lim, Yoon-Hee;Ham, Jae-Y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9 no.1
    • /
    • pp.45-50
    • /
    • 2008
  • The self assembled silver process and silver coating process after surface reforming for silica particle, were investigated to coat the silver to colloidal silica. The effects of silver amounts and reductant amounts on silver coating efficiencies were investigated. The silver coating process after surface reforming for silica particle using MPTS (3-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 and APTS (3-Aminopropyl trimethoxysilane), showed the higher coating efficiency and better antibacterial effect than the self assembled silver process.

FGM-TBC의 열충격 특성에 미치는 진공 플라즈마 용사조건의 영향

  • Jeong, Yeong-Hun;Byeon, Eung-Seon;Nam, Uk-Hui;Lee, Gu-Hyeon;Gang, Je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24-524
    • /
    • 2012
  • Thermal Barrier Coating (TBC)은 미사일, 로켓발사체와 같이 고온에 노출되는 장비를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코팅이다. 일반적인 Thermal Barrier Coating (TBC)은 모재와 코팅층간의 낮은 접합력과 높은 열충격으로 인한 박리가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접합력을 높이고, 열충격을 줄이기 위해 모재와 코팅층 사이에 본드코팅층을 만든 Duplex - Thermal Barrier Coating (Duplex-TBC)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Duplex - Thermal Barrier Coating (Duplex-TBC)은 금속재료인 본드코팅층과 세라믹재료인 탑코팅층 사이에서 박리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분말을 동시에 코팅하여 본드코팅과 탑코팅의 경계가 없는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의 열충격 특성에 미치는 진공 플라즈마 용사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는 진공 플라즈마 용사장치를 사용하여 Cu-Cr 합금위에 코팅하였다. 거리, Carrier gas flow, 그리고 챔버 내부의 압력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사용한 분말은 본드코팅용으로 Amdry 962와 내열 세라믹코팅을 위해 204NS를 사용하였고, 각각 분말 공급조건을 조절하여 두 분말의 비율을 달리하였다. 제조한 Functional Gradient Material - Thermal Barrier Coating (FGM-TBC) 코팅은 전기로에서 50분간 가열한 후, 수조에서 10분간 냉각하는 열충격 실험을 통해 열차폐 성능을 평가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진공 플라즈마 용사 조건 및 FGM 조성과 비율이 내열충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세조직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PDF

Reflectivity characteristics of Ag nano-crystals grown by electroless plating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성장되어진 은 나노결정의 반사율 특성)

  • Kim, Shin-Woo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3 no.5
    • /
    • pp.218-223
    • /
    • 2013
  • In this study, the reflectivity characteristics of Ag nano-coating grown by electroless plating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use as the reflecting plate of BLU (Back Light Unit) in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LE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equipment. The microstructure of Ag nano-coating was polycrystalline nano-structure that consisted of Ag nano-crystals to be reduced and precipitated, and the size of reduced nano-crystals increased as the thickness of nano-coating increased. The reflectivity of Ag nano-coating in the visible light decreased as the thickness of nano-coating increased and the reduction of reflectivity was more severe in the short wavelength region of visible light. The decrease of reflectiv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Ag nano-crystal and was thought to be due to the larger surface roughness of larger nano-coating thickness. Therefore, the finer Ag nano-crystals and thinner nano-coating thickness could be favorable for the higher reflectivity of Ag nano-coating grown by electroless plating.

스프레이 코팅으로 제작된 유연 투명 히터용 ATO 나노입자-은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 연구

  • Kim, Jae-Gyeong;Sin, Hae-In;Kim, H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76.1-276.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유연 투명 히터 (Flexible and transparent heater) 제작을 위한 ATO 나노입자-은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적화된 은 네트워크 (Self-assembled Ag network) 투명 전극 상에 20-30 nm의 직경을 가지는 ATO (Sb-doped $SnO_2$) 나노입자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상압, 상온에서 코팅하여 인쇄형 ATO-은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을 구현하였다. 스프레이로 코팅된 투명 ATO 나노 입자는 은 네트워크 전극의 빈 공간을 매워 줌으로써 은 네트워크 간의 연결성 및 표면 조도를 낮춰주어 유연 투명 히터 작동 시 전류의 집중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 ATO-은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의 최적화를 위해 스프레이 횟수에 따른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의 전기적, 광학적, 표면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최적의 조건에서 14 Ohm/square의 면저항과 66%의 투과도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을 구현하였다. 또한 FESEM 분석을 통해 ATO-은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전극의 표면 및 계면 구조를 연구하고 ATO 코팅이 은 네트워크 전극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최적화된 ATO-은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을 이용하여 유연 투명 히터를 제작하고 전압에 따른 히터의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차세대 유연 투명 히터용 투명 전극으로 인쇄기반 ATO-은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Coating Film with Antibacterial and Antifogging Function on PET Substrate (PET 기재 위에 항균성과 김서림 방지 기능을 갖는 코팅 도막 제조)

  • Ho Chan Kwon;Ki Chang So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1 no.3
    • /
    • pp.439-445
    • /
    • 2023
  • In this study, silver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reducing silver nitrate with PVA, and the solution prepared by addin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to the silver nanoparticles was coated on a PET substrate to prepare a coating film with antibacterial and antifogging function. When the coating films were in contact with water vapor at 80 ℃, the uncoated PET substrate was blurred due to the scattering of light due to the occurrence of fog, while the coating film coated with silver nanosol with CMC remained transparent despite contact with water vapor, showing excellent antifogging function. In addition,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s were measured by film adhesion method for Staphylococcus aureus, gram-positive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gram-negative bacteria. The uncoated PET substrate showed a large number of colonie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hile the coating film coated with the silver nanosol greatly inhibited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resulting in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tal Coated Graphite for Anodic Activ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금속 코팅된 흑연 입자로 제조된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 Choi, Won-Chang;Lee, Joong-Kee;Byun, Dong-Jin;Cho, By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6 no.2
    • /
    • pp.103-112
    • /
    • 2003
  • Various kinds of metals were coated on synthetic graphit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characteristics and thei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Gas suspension spray coating method was employed for the coating of synthetic graphite. In our experimental range, all of the metal coated synthetic graphite showed the higher capacity than that of raw material at high C-rate mainly due to decrease in impedance of passivation film. In cyclic voltammetry experiments, silver-coated and tin-coated graphite anodes found the lithium-alloy reaction. Considering smaller amount of metal coating, the most increase in discharge capacity was caused by improvement of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When single-component metal was coated, silver-coated graphite anode exhibited the highest discharge capacity and better cycleability. Double components of silver-nickel coated active material showed the highest discharge capacity, rate capability and the best cycle performance in the range of our experiments.

Anti-biofouling properties of silver nano-particle coated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은 나노 입자가 코팅된 인공경량골재의 생물오손 방지 특성)

  • Kim, Seongyeol;Kim, Yooteak;Park, Y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5 no.5
    • /
    • pp.212-217
    • /
    • 2015
  • Ships and marine structures have a lot of problems in their high maintenance and operating cost by biofouling. A biofouling occurrs by the adhesion of marine microorganism, algae and bacteria. In this study, the aim is to prevent or to reduce the biofouling phenomena through silver nano-particle coating on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and geopolym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m is tested according to ASTM E2149-2013a. The test results showed, it is estimated that silver nano-particles removed 99.99 % of bacteria. Specimens were set up in the sea side of field test area in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IOST) and have been observed for five months. The anti-biofouling effect and difference in weight change rate have been detected two months later after the installation. Because silver nanoparticles inhibit bacterial growth and kill the cells by destroying bacterial membranes, silver nano-particle coating on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is a well-suited and eco-friendly method for preventing biofouling in the sea up to 5 months.

고 진공 (UHV) 조건을 이용하여 구리 나노 분말에 도포한 1-octanethiol 기상 자기조립박막(SAMs)의 두께 조절에 관한 연구

  • Gwon, Jin-Hyeong;Kim, Dong-Gwon;No, Ji-Yeong;Park, Sin-Yeong;Lee, Tae-Hun;Yang, Jun-Mo;Lee,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23.1-23.1
    • /
    • 2010
  • Alkanethiol (CH3(CH2)nSH) 자기 조립 박막은 금, 은, 팔라듐 그리고 구리와 같은 금속 물질과 결합하여 산화 방지 보호막, 생화학적 멤브레인 그리고 케미컬 센서로 널리 이용되었다. 전도성을 가진 많은 금속 분말 중에서, 구리는 뛰어난 열, 전기 전도성과 풍부한 양으로 다른 귀금속에 비교하여 경제성까지 갖춘 물질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리 나노 분말은 대기에 노출된 구리 분말이 쉽게 산화된다는 결정적인 단점 때문에 그동안 널리 이용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구리의 단점을 극복하고 뛰어난 전도성의 특징을 이용하고자, Langmuir-Blodgett (LB), layer by layer (LbL), electrophoretic deposition (EPD), self-assembled monolayer (SAM)과 같은 구리 나노 분말 위에 유기 박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많은 방법이 시도되어왔다. 이러한 방법들 대부분은 습식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약 2-nm 두께의 SAM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그러나 습식 기반의 SAM 구조는 단지 수일 동안만 유효하며, 이는 코팅을 수행하면서 점차 떨어지는 source solvent의 순도와 적합하지 않은 코팅 조건, 그리고 이러한 원인으로 형성된 부실한 막질 구조 때문으로 추측된다. 게다가 이러한 습식 기반 공정은 코팅 막의 두께 조절과 코팅 시 solvent의 순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으로 알려져 왔다. 본 실험에서는 고 진공 챔버 (< $4.0{\times}10-6$ torr) 시스템을 이용하여 습식 기반 공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구리 나노 분말의 산화를 막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1-octanethiol (CH3(CH2)7SH)은 중간 길이의 hydrocarbon (n=7) 구조를 가진 특징 때문에 코팅 물질로 사용되었다. 게다가, alkanethiol 족 특유의 물질인 황(sulfur)은 구리와 결합하여 산화방지 보호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저 진공 조건에서는 10-nm의 multilayer가 일괄적으로 코팅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약 10-nm 두께의 자기 조립 박막(self assembled monolayers: SAMs)이 고 진공 조건에서 구리 나노 분말 표면 위에 코팅 조건의 변경을 통해서 5-nm에서 10-nm 두께의 1-octanethiol SAMs 구조를 얻어낼 수 있었다. 이는 고 진공 조건에서 1-octanethiol SAMs의 코팅 두께를 조절함으로 다양한 크기의 분말에 코팅 물질로 쓰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Electrochemical and Cavitation Damage after Sealing Treatment for Arc Thermal Sprayed Coating Layer (후처리된 아크 용사코팅 층의 전기화학적 및 캐비테이션 손상 특성)

  • Kim, Seong-Jong;Han, Min-Su;Park, Il-C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300-300
    • /
    • 2014
  • 해양환경 하에서 대형 강구조물의 경우 장기간 부식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크 용사코팅 기술이 오래전부터 유용하게 이용되어 왔다. 아크 용사코팅 기술은 타 용사코팅 기술에 비해 경제성과 생산성이 뛰어나 대형 강구조물에 적용되고 있다. 용사재료로는 Al, Zn 또는 그 합금들이 주로 사용되어 강재에 대해 희생양극 방식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아크용사에 의해 적층된 코팅 층은 용사공정 중 불가피하게 수많은 기공과 산화물이 포함되어 내식성 및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의 용사코팅 층에 대하여 다양한 후처리를 통해 내식성과 더불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용사코팅은 알루미늄 합금 선재(1.6 ${\varnothing}$)를 사용하여 아크용사를 실시하였다. 용사 시 용사거리는 200 mm, 공기압력은 약 $7kg/cm^2$ 정도로 유지하면서 용사코팅을 실시하여 약 $200{\mu}m$ 두께로 코팅 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용사코팅 층의 표면에 다양한 후처리재를 적용하였으며,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후처리 적용 전후 시험편에 대하여 캐비테이션 실험을 실시하였다. 캐비테이션 실험은 ASTM G32-92에 의거하여 주파수 20 kHz의 초음파 진동 장치(ultrasonic vibratory devic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험편 표면과 발진 혼에 부착된 팁(tip)과의 거리는 1 mm로 일정하게 유지시킨 뒤, 캐비테이션 발생 시간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손상된 용사코팅 층의 표면은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시험편 손상깊이는 3D 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캐비테이션 실험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감소량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리고 전기화학적 실험은 천연해수 속에서 자체 제작한 홀더(holder)를 이용하여 $0.33183cm^2$의 용사코팅 층만을 노출시켜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준전극은 은/염화은 전극을, 대극은 백금전극을 사용하였다. 분극실험을 통해 후처리 적용에 따른 용사코팅 층의 부식전위 및 부식전류밀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용사코팅 층에 의하여 강재에 대한 희생양극 방식전위가 확보되었으며, 후처리재가 적용된 용사코팅 층에서 내식성 및 캐비테이션 저항성이 향상되었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hydrothermal surface modification of non-swelling property mica using nano silver (은나노를 이용한 비팽윤성 운모의 수열적인 표면개질 및 특성평가)

  • Seok, Jeong-Won;Park, Ra-Young;Kim, Pan-Chae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17 no.4
    • /
    • pp.172-178
    • /
    • 2007
  • Mica (muscovite) powders were synthesized by hydrothermal method (horizontal turning method). The hydrothermal conditions for the synthesis of mica were prepared by the ratio of $K_2O : Al(OH)_3 : SiO_2$ = 1 : 3 : 3 mol% as the starting materials with KOH (8 mol%) solution as the hydrothermal solvent and reaction temperature at $260^{\circ}C$ for 72hrs. The synthetic powder used for preparation of nano silver coated mica by vertical hydrothermal treatment. The hydrothermal conditions for the treated as nano silver coating were prepared by the synthetic powder as raw materials, triple distilled water ($0.5{\ell}$) solution as the hydrothermal solvent with nano silver sol (1,000 ppm) as the material of nano silver coating and reaction temperature at $160{\sim}260^{\circ}C$ for 72 hrs. After hydrothermal treatment, structural, judgment of nano silver coating and character of nano silver coated mica were examined by XRD, SEM, TEM-EDX and shake plask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