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융복합 기술

검색결과 2,393건 처리시간 0.039초

자동차산업에서의 내구신뢰성 발전 방향

  • 정원욱
    • 기계저널
    • /
    • 제51권8호
    • /
    • pp.39-43
    • /
    • 2011
  • 우리 나라 자동차산업은 길지 않은 역사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해 왔으며 세계 자동차산업의 큰 축 역할을 하고 있다. 자동차 개발기술은 계속 발전해 왔으며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 자동차들의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하며 선도기업 도약을 위한 기술개발이 매우 절실한 시기이다. 따라서 신뢰성연구기관, 학교, 수요기업, 협력사 간의 체계적인 신뢰성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우리 나라 자동차산업을 발전시키고 동반성장을 이룰 수 있는 융복합 자동차 내구신뢰성 개발체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 PDF

플랜트의 위험도 관리를 위한 GUI 기반 RBI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UI based RBI system for managing the plant risk)

  • 이호준;김유빈;최정우;윤기봉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 발표회
    • /
    • pp.176-176
    • /
    • 2010
  • 현재 국내 에너지 설비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안전 관련 기술(수명, 정비, 사고 관련 모든 기술)의 개발,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기반기술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이를 융/복합하여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응용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에너지 플랜트 설비(발전, 석유화학 및 정유 플랜트 등)의 최적 안전 관리를 위해서는 설비의 위험도(risk)에 근거한 관리가 가장 이상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준이 될 수 있는 위험도 기반 검사(risk-based inspection, RBI) 가이드라인과 사용자가 쉽고 효율적으로 위험도를 관리할 수 있는 도구 즉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 기반 검사 가이드라인과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 융/복합하여 사용자가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위험도 기반 설비 관리 시스템을 연구 개발 하였다.

  • PDF

효과적인 AR 영상통화 구현 방법을 위한 가설 방안과 연구 (The Study and Hypothesis of Realize AR Video Calling Method)

  • 곽대위;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13-419
    • /
    • 2018
  • 스마트폰은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한 통신수단이 되었고 이미 인류의 일상생활에 융합되었다. 만약에 미니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HMD)를 활용하여 증강현실 기술로 통신 중인 양쪽 상대방의 용모, 표정, 동작 등의 요소가 통화 환경에 들어오면 사용하는 사람에게 직관적이고 특별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이 방식으로 시각의 한계성을 넘어설 수 있으므로 미래 시각예술 영역의 크게 발전을 촉진할 수 있어서 이런 기술적인 문제에 관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AR 영상통화 구현 방법에 대한 현재 사용되는 기술 중 몇 가지를 융복합하여 실현 가능한 두 가지 가설방안을 세우고 분석과 비교하여 두 가지 가설방안의 문제점을 발견한다. 그리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 가능한 디자인 방안을 꺼낸다. 또 사례연구의 방식으로 실제 사례를 제출하여 두 가지 가설 방안은 미래에 실현 가능하다는 결론을 검증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우리의 일상에 더욱 재미요소와 편리함을 제공할 것이라 예상된다. AR 영상통화를 순조롭게 구현하는 것은 예견할 수 있고 나중에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있다.

고등 음향기술 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미국과 유럽 대학원의 교과과정 사례 연구 (Audio Engineering Curriculums for the Higher Education : Case Studies on the USA's and the European Graduate Schools)

  • 오원근;이에스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77-83
    • /
    • 2014
  • 현재 음향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유럽 소재 대학의 대학원 과정의 음향 기술 커리큘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은 미국음향학회(ASA)와 오디오 엔지니어협회(AES)에 링크된 대학원의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교육과정을 교육목표와 특징에 따라 3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사례를 고찰하였다. 제안된 내용은 급변하는 디지털 융복합 시대에 효과적인 음향 기술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융·복합 학문으로서 내러티브 과학의 시사점 및 방향 탐구 (In Search of Narrative Science as a Convergence Discipline and its Implication and Direction)

  • 강현석;이지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5-53
    • /
    • 2017
  • 그동안의 학문분야는 한국연구재단에 따라 그 영역이 세분화되어 있었으며, 단일 학문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바 있다. 그러나 새로운 트렌드에 따라 융·복합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는 융·복합 학문으로서 내러티브 과학의 정의와 그 특성을 탐구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사점과 앞으로의 과제를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내러티브 과학은 내러티브 인식론에 바탕을 둔 인간과학으로서, 인간의 해석능력과 소통능력 및 간주관성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내러티브 과학은 그 특성에 따라 여러 구조를 갖고 있으며, 기존의 학문체계에 있어 내러티브적 상호연관성을 제공하고 인간 내부의 영역에도 주목을 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내러티브 과학이 앞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서사학이라는 오해와 질적 연구라는 단일한 연구방법론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에 유의하면서 내러티브 과학 분야는 내러티브 철학과 심리학을 토대로 인간과학의 측면에서 융·복합적으로 탐구될 필요가 있다.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T Resources on the Work Effici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Mobile Smart-Work Environment)

  • 이민우;오민정;김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65-176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IT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한 기업에서 기업 내부의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을 적용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파악된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의미를 가지며, 제조업, 서비스업, 물류/유통산업, 금융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스마트워크의 유의미성을 기업의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는지를 파악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연구 결과, IT인프라와 IT스킬이 개인 업무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IT스킬이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업무 효율성과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은 기업성과인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산업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IT 융복합 기술을 통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기업 내부의 IT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재안전을 위한 BIM기술과 드론 및 IT융복합 기술을 접목시킨 소방안전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Fire-Safety System that combines BIM technology for fire safety with drones and IT convergence technologies)

  • 김대건;이기휘;홍일혁;김민성;이동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5-176
    • /
    • 2018
  • While damage caused by fire increases, awareness of fire is still low. Morever, Small fires often spread into big fires as they fail to keep the golden time due to the delay in initial response. In particular, the initial response is more important in areas where many unauthorized buildings are called " Panjachon " as firefighting facilitie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Therefore, we will combine BIM technology, drones and IT convergence technologies to develop a firefighting safety information system that can speed up initial response and help combat fires.

  • PDF

적층제조기술 응용사례 및 최신기술동향 (Review of Recent Trends and Technology for Additive Manufacturing)

  • 이재향;박성준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5
    • /
    • 2016
  • Additive manufacturing is converting a digitally designed object into a tangible three dimensional solid using an additive process where materials are applied in successive layers with no or very limited material waste. It can be distinguished form traditional manufacturing which begins with a fixed amount of raw material and removes excess to arrive at the final product. Generally there are five stages to the additive manufacturing supply chain, namely materials, systems, software, application design and production. In this paper, recent market trends and technology about additive manufacturing based on supply chain are analyzed and reviewed.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Spent Fuel Processing Technologies for Waste Recycling)

  • 박병흥;김기섭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7-12
    • /
    • 2012
  • Spent fuels are discharged from nuclear reactors as a result of power generations. The spent fuels would be considered as a useful resources because the main constituent is uranium and some other actinides are included in them. In order to utilize the resources chemical processes should be developed to treat the spent fuels and obtain uranium and other actinides to be fueled in a fast reactor. The technologies are categorized into wet and dry processe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such technologies is summarized to give a insight and a deep understanding on nuclear fuel cyc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