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윤활제첨가효과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내연기관용 윤활유 첨가제의 국산화에 대한 연구

  • 김종호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3 no.2
    • /
    • pp.15-22
    • /
    • 1987
  • 윤활유는 일반적으로 윤활기유의 물성을 개량하기 위해 여러종류의 윤활유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첨가제는 윤활기유가 가지고 있는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과 윤활기유에는 없는 물성을 얻기 위해 첨가하는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윤활기유의 산화분해, 열분해, 마찰이나 마모의 감소등을 위해 첨가흔 넉승 전자에 속하는 경우이고 기유 분해분의 침적을 막아주거나 부식을 방지하며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를 극소화시키기 위한 첨가제는 후자에 해당한다. 즉 윤활유 첨가제는 윤활기유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보완 또는 강화시키므로서 윤활유로서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첨가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본 보에서는 위에서 열거한 여러종류의 첨가제 중 사용물량이 많아 수입대체 효과가 뚜렷한 6종의 첨가제의 국산화에 대한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기술하였으며 앞으로 2회에 걸쳐 나누어 설명코자 한다.

Shear Thinning Effects on Engine Valve Train Contacts (엔진 밸브 트레인 접촉에서의 유막 감소 효과)

  • 장시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342-346
    • /
    • 1998
  • 최근의 자동차엔진에서 사용되는 윤활유에는 여러 가지 첨가물이 사용된다. 특히 고분자량 폴리머계의 점도 지수 향상제를 윤활유의 원유에 첨가함으로써 온도 증가에 따른 점도 불안정성을 방지하는 다등급 윤활유 성격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량 폴리머계의 첨가물은 고온의 엔진 운전 조건에서 윤활유의 점도 안정성을 보장해줌에도 불구하고 엔진 부품들의 정상적인 운동 속도에서도($1-^6 S^{-1}$) 고 전단 변형율 속도로 인하여 유막 감소 효과를 발생 시킨다. 또한 이 첨가제들은 엔진 부품의 마찰 표면에 큰 전단 응력을 지닌 끈끈한 형태의 경계막을 형성한다. 고분자량 폴리머계의 점도 지수 향상제에 대한 예기치 못한 영향은 유막 감소 효과로 인하여 엔진 부품간의 마모를 증가 시키고 점도의 감소로 마찰을 감소 시키는 반면 경계막으로 인하여 고체면이 보호를 받는데 있다. 이러한 유막 형성의 물리적인 개념에 대하여 고체면의 끈끈한 경계막의 존재 효과와 두 경계막 사이에서 일어나는 유막 감소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이 쓰이고 있는 점도 향상제가 첨가된 윤활유가 자동차 밸브 트레인 시스템에서 유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마찰 효율과 마모 방지의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 PDF

Effect of Zinc Stearate Addition on Apparent Density, Blending and Compaction of $UO_{2}$ (Zinc stearate의 첨가가 $UO_{2}$분말의 겉보기밀도, 혼합 및 성형에 미치는 효과)

  • Na, Sang-Ho;Kim, Si-Hyeong;Lee, Yeong-U;Yang, Myeong-Seung;Son, Dong-Seong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5 no.4
    • /
    • pp.426-432
    • /
    • 1995
  • 윤활제인 zinc stearate의 첨가량 (0~4wt%)을 변화시켜 U$O_{2}$분말의 겉보기밀도, 성형시의 분말입자간 마찰과 입자/다이벽 마찰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소량의 윤활제 첨가시에는 U$O_{2}$분말입자간 박막의 윤활제 도포층이 형성되어 겉보기밀도가 증가한 반면 다량의 윤활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U$O_{2}$ 분말입자에 두꺼운 윤활제 도포층이 형성되고 미혼합된 윤활제가 존재하여 겉보기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윤활제를 첨가혼합한 상태에서 다이벽 윤활도포 유무에 따라 구한 U$O_{2}$ 성형체의 성형압력/성형밀도 자료로부터 분말입자간 마찰, 입자/다이벽 마찰 그리고 성형시 lubrication/inhibition등의 상대적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입자/다이벽 마찰에 의한 압력손실은 입자간 마찰에 의한 압력손실보다 크게 나타났다. 입자/다이벽 마찰에 의한 압력손실은 다이벽 윤활제 도포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성형시의 inhibition이 야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lybdenum dialkyl dithiocarbamat의 마찰특성

  • 김영환;강부평팔랑;익자정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11a
    • /
    • pp.41-58
    • /
    • 1989
  • 현재 자동차엔진유를 비롯한 각종윤활유에 마찰마모방지제 및 산화방지제로 사용되고 있는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은 윤활제의 첨가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은 윤활제의 첨가제로서 마찰부분의 고온에 의해 열분해함으 2 유화몰리부덴($MoS_2$)을 생성하기 위해서 합성한 것이다. $MoS_2$는 마찰마모 감소제로서 잘 알려져 있지만 고체이기 때문에 마찰면에 COATING 하거나 윤활유에 분산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윤활유에 분산시키는 것과 마찰면에 흡착시키는 것과는 계면화학적 반대현상이므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윤활유중에 안정한 분산계를 만들어 사용시에는 비교적 안정한 COLLOID 계가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열가학적으로 불안정한 COLLOID 계를 유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므로 유용성인 몰리부덴계 화합물을 윤활유에 용해시켜 열적 혹은 TRIBOCHEMICAL 적으로 분해해 줌으로서 마찰표면에 $MoS_2$의 생성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유용성 몰리부덴화합물은 마찰마모감소작용 및 산화방지작용의 메카니즘에 관해서는 불투명한 점이 많다. 본 논문은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중 Molybdenum dialkyl dithiocarbamate (이후 MoDTC로 명함)를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해 마찰실험을 통하여 마찰감소작용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고, 특히 마찰표면에 생성될 $MoS_2$막의 효과에 관해 중점을 두고 분위기의 효과로 부터 MoDTC의 마찰감소작용의 인자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 PDF

고체윤활용 $MoS$_{2}$ Bonded Film의 마찰마모 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 공호성;윤의성;한홍구;권오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06b
    • /
    • pp.38-46
    • /
    • 1995
  • Bonded film을 형성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고체윤활제들로는 이황화-몰리브데늄, 이황화-텅스텐(WS$_{2}$), 보론-나이트라이드(BN), 흑연(Graphit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고체윤활제를 표면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지류는 페놀 및 에폭시계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아. Bonded film의 마찰마모특성은 이와 간이 피막 내에 첨가된 고체윤활제 및 수지의 종류, 고체윤활 입자들의 크기 및 순도,그리고 이들 상호간의 배합비율 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며, 아울러 피막 내에 소량으로 첨가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보조첨가제들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체윤활제 성분들의 조성과 더불어, 재료표면의 물리화학적인 전처리 조건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윤활피막내 고체윤활제들의 배합, 고체윤활피막의 표면전처리 방법들을 변화하고 이들에 따른 상기 고체윤활피막들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 PDF

Effect of Volume Fraction of Lubricant Additives on Characteristics of Diamond Micro Blade (다이아몬드 마이크로 블레이드에 있어 윤활 첨가제의 부피분율에 따른 특성)

  • Kim, Song-Hui;Mun, Jong-Cheol;Sin, H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5a
    • /
    • pp.269-270
    • /
    • 2009
  • 본 연구는 윤활첨가제에 의한 반도체재료 가공용 다이아몬드 마이크로 블레이드의 절삭성능 향상과 수면연장을 위한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다. 마이크로 블레이드와 피 절삭재 사이의 마찰특성의 향상, 그로인한 절삭성능의 향상 등에 미치는 윤활제의 종류와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Cu/Sn계열 다이아몬드 마이크로 블레이드용 결합제에 흑연과 $MoS_2$를 통일한 부피분율로 첨가한 시편을 만들고, 기계적 특성평가와 순간전력소모로 평가하는 절삭성능시험, 블레이드의 마모량 측정을 통한 내구성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기계적 특성과 밀접한 내마모성에 기인한 수명의 관점에서 $MoS_2$를 첨가한 경우가 흑연을 첨가한 경우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절삭할 때 필요한 순간전력소모로 평가한 절삭성능 평가에서는 동일한 부피분율의 윤활제가 첨가된 경우 차이는 비교적 미미하였다.

  • PDF

Effect of Other Additives on Wear-Preventing Property of ZDDP (ZDDP의 마모방지특성에 미치는 타첨가제의 영향)

  • Moon, Woo-Sik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7 no.2
    • /
    • pp.28-35
    • /
    • 1991
  • 3원통/링 마모시험기를 사용하여 윤활유 공급하에서 미끄럼 마모시험을 수행하였다. 엔진유에 첨가되는 대표적 첨가제인 ZDDP, 청정제, 분산제의 첨가제 3종과 모델 산호물로서 유성제인 스테아린산을 선택하여, 그 배합유의 마모방지특성을 조사하였다. 청정제 및 분산제 각각의 첨가에 의해 마모방지특성은 향상되었으나, 청정제 및 분산제를 동시에 첨가할 경우 마모방지성능의 향상효과는 없어졌다. 또한, 모델산화물인 스테아린산의 첨가로 인하여 ZDDP의 마모방지작용은 나빠지나, 청정분산제가 그 악영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II. 윤활기유 공정 및 제품소개

  • 이두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6.06a
    • /
    • pp.10-20
    • /
    • 1986
  • I. 윤활기유 제조시설소개 개요 1) 고급 윤활기유(HVI)생산공장으로서 그간 수입에만 의존하던 최고급 품질의 기유를 국내 수요업체에 안정공급 2) 세계 최신 공정인 Gulf Lube Oil Hydrotreating Process Type III (수소첨가 개질공정)채택 3) 국내 최초일뿐 아니라, 세계에서도 일본, 카낟에 이어 3번째로 건설 1. 고품질 제품 생산-고점도 지수, 산화안정성 및 열안정성 우수, 잔류탄소분, 윤황분, 질소분 극소, 방향족 성분 및 회분 극소, 색상 양호 2. 첨가제(특히 산화방지제 및 점도 지수 향상제)사용효과 상승으로 완제품 생산시 생산비 감소 3. 동일 VI 제품 생산기준 수율이 높음 - Hydrocarbon Structure 변화로 원료 유중 부적합성분의 윤활기유화 4. Severity 조절로 Production Mode 변경 용이 5. 양질의 부산물 생산 - HDT Naphtha, Middle distillate 6. 용제 추출기유는 원유종류 및 성상에 따라 제품특성이 결정되나, 사용가능 원유가 다양 하면서도 제품특성 및 품질이 일정함.

  • PDF

Study of Alternative Fuel Suitability for Special Antarctic Blend Diesel (남극유 대체연료 적합성 연구)

  • Lim, Young-Kwan;Kim, Ji-Yeon;Kim, Jong-Ryeol;Ha, Jong-Ha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8 no.4
    • /
    • pp.460-466
    • /
    • 2017
  • The common petroleum can make precipitation such as a wax in a polar region due to severely cold weather condition, which can cause problems to fuel supply system. The petroleum product used in the polar region has thus been manufactured and sold suitable for the cold environ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supply such petroleum products on time since these were mainly supplied abroad. In this article, the original fuel properties were first analyzed in order to find alternative fuel products for polar region. Jet fuel which is excellent cold characteristics was chosen and the fuel properties was tested by adding a constant concentration of lubricant additives to the jet fuel. As a result, the lubricant additive R621 showed the best lubricity, and adding 1000 mg/L of R621 content to the jet fuel was sufficient to enhance the lubricity. We envision that the jet fuel added 1000 mg/L of R621A can be suitable for alternative special antarctic blend diesel (SAB) in an severe polar environment.

Effect of Lubrica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butylene terephthaln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물성에 대한 윤활제의 효과)

  • Kim, Hoy-Gap;Kim, Jun-Kung;Lim, Soon-Ho;Lee, Kun-Wong;Park, Min;Kang, Ho-Jang
    • Polymer(Korea)
    • /
    • v.28 no.3
    • /
    • pp.239-244
    • /
    • 2004
  • Effect of lubricants on the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were investigated. Calcium stearate and adipic acid glycol polyester (AhGP) were used as processing lubricants for PBT. Decrease of melt viscosity was accomplished by the addition of 1 wt% of lubricants. It was understood that melt viscosity was affected by the enhancement of chain mobility of PBT with AhGP as an internal lubricant as well as the lubricity on processing equipment developed by calcium stearate as an external lubricant. Lubricants also influenced chain scission of PBT which caused the viscosity drop as well. In addition, lubricant is resulted in the lowering of thermal stability, however, this might be minimized by adding less than 3 wt% of calcium stearate as a lubricant. As a consequence, calcium stearate as an external lubricant is more effective to control the melt viscosity of PBT with minimizing of chain scission and thermal instability in PB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