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육박나무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진도군 접도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Jeopdo(Island), Jindo-gun)

  • 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41
    • /
    • 2020
  • 본 연구는 식물학적 가치가 높으나 식물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구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5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곰솔-소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상수리나무군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육박나무-동백나무군락 총 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접도의 식생은 크게 상록침엽수군락(군락 I, II),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군락 III, IV, V), 상록활엽수군락(군락 VI, VII)로 구분할 수 있다. 상록침엽수군락은 현재 소나무, 곰솔이 졸참나무와 경쟁 상태에 있으며, 천이 중간단계 및 극상단계의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의 세력이 미비하여 현재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은 토양조건의 영향으로 식생발달 속도가 늦어 현재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록활엽수군락은 소나무, 곰솔 등의 천이 초기단계에서 졸참나무를 거쳐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표본목의 연령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목은 구실잣밤나무로 예측연령이 약 59년이었다.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곰솔과 사스레피나무, 소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육박나무와 동백나무 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나무와 소사나무, 소사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생천이계열 고찰 -육박나무군락을 중심으로-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Focusing on Actinodaphne lancifolia Community-)

  • 박석곤;최송현;이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96
    • /
    • 2018
  •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식생천이계열을 논의하기 위해 극상림이라 알려진 육박나무군락이 생육하는 한국 3곳(비진도, 애도, 보길도)과 일본 1곳(다치바나산)을 조사 및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관련문헌을 검토해 상록활엽수림의 분포특성, 식생천이계열 및 극상수종을 고찰했다. 다치바나산과 애도는 육박나무군락이 가장 발달한 식생구조를 보였지만, 토양분석 및 CCA분석에서 육박나무군락을 난온대 천이극상단계의 조건으로 판단하기엔 부족함이 보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육박나무군락은 드물게 분포하는 반면, 동아시아 난온대 지역에 보편적인 식생유형은 후박나무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였다. 한국 난온대 지역의 식생천이계열은 곰솔 소나무 졸참나무 등(초기단계)${\rightarrow}$후박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육박나무 등(중간단계)${\rightarrow}$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극상단계)의 순으로 2차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단, 조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입지조건이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의 종자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는 후박나무류 유형이 토지극상일 것이다.

두륜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Mt. Turyunsan, Korea)

  • 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57
    • /
    • 1994
  • 두륜산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은 개서어가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 개서어나무와 붉가시나무가 경쟁적 관계에 있는 조사구군, 붉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으로 크게 대별되었다. 대부분의 상록수림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붉가시나무는 굴참나무, 졸참나무에서 개서어나무를 거쳐 천이된 수종으로 판단되며, 참식나무로 천이될 것으로 추정된다. 개서어나무와 졸참나무는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참식나무 및 후박나무와 경쟁적 관계에 있다고 판단되며, 동백나무와 붉가시나무 그리고 참식나무와 육박나무는 각각 동일한 생태적 적소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심도의 식생구조 (Forest Structure of Jisimdo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 안현철;김정운;추갑철;신현수;박삼봉;안종빈;박정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27-36
    • /
    • 2012
  • 지심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내 거제 해금강지구에 속하며 경남 거제시 일운면 옥림리에 위치하고 있다. 본 조사는 지심도 탐방로를 따라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6개 조사구(단위면적$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동백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에서 곰솔과 머귀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조록나무와 광나무; 왕작살나무와 사스레피나무; 육박나무와 생달나무; 육박나무과 센달나무 등의 종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육박나무과 곰솔; 머귀나무와 구실잣밤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519~1.022로 국립공원 내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심도의 탄약고 주변에 환경부에서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야생식물 II 급인 애기등이 10개체가 출현하였는데,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훼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 식생구조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Vegetational Structure -)

  • 오구균;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102
    • /
    • 1996
  • 한반도 난대기후대의 식생구조를 연구하기 위하여 남해안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 지역에 52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은 지리적 격리와 인위적 교란에 의해 지역간 식생구조가 매우 상이하였다. 조사지의 식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연적 식생천이가 이루어진 상록활엽수림 집단, 장기간 훼손되었거나 관리되어온 상록활엽수림 집단, 그리고 상록활엽수종으로 천이되고 있는 조림식생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52개 조사구에서 80% 이상의 상재도를 보인 수종은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마삭줄, 생달나무, 광나무 등이었다. 난대기후대의 극상군락이라고 추정되는 육박나무군락은 주도와 애도에 잔존하고 있었다. 과거 교란이 있었던 해안지역에서는 구실잣밤나무로 이차천이가 예상된다.

  • PDF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ongbaekdongsan(Mt.), Jeju-Do, Korea)

  • 한봉호;김종엽;최인태;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6-346
    • /
    • 2007
  •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물군집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4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28{\sim}52$년 된 식생으로 TWINSPAN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결과 먼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때죽나무군집 등 총 7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상대우점치와 흉직경급별분포 분석결과 동백동산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었다. 먼나무군집과 종가시나무-때쭉나무군집은 교목층이 훼손된 식생이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종인 6개 군집은 $0.8745{\sim}1.3018$이었으며, 먼나무군집이 0.7619로 가장 낮았다. 7개의 군집 모두에서 제주도 상록활엽수림의 전형적인 아교목 및 관목성상 수종인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먼나무, 마삭줄, 백량금 등이 출현하였다. 또한 조사구내 난대기후대의 극상수종으로 추정되는 육박나무, 생달나무 및 참식나무가 출현하였으며 생달나무의 상재도는 80%이상이었다.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혼생하는 식생으로 그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며, 천이방향은 상록활엽수림의 극상수종으로 보고되고 있는 육박나무, 참식나무 등의 세력 이 약하며 하층에 동백나무의 세력이 강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였다.

육박나무의 목재성질 (Wood Properties of Actinodaphne lancifolia Meisn.)

  • 정성호;정두진;박병수;이도식;조성택;서준원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28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ood propertie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arm temperate tree species. The tested species were Actinodaphne lancifolia Meisn. grown in Korea. Fundamental wood properties such as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nents were examined. This species was diffuse porous, straight grained and fine textured wood. The heartwoods of this species was not distinguished clearly to the sapwoods. This species had moderate specific gravity, shrinkage,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is species had high content of the extractives by organic solvent.

  • PDF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한 한국산(韓國産) 녹나무과(科) 식물(植物)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 (Taxonomical Studies of Lauraceae in Korea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ipules (I))

  • 박광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9-15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녹나무과(科) 식물(植物) 중 상록활엽수(常錄闊葉樹) (4속(屬) 5종(種))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관한 것으로는 조사(調査)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녹나무과(科) 식물(植物)의 탁엽(托葉)은 5~31매(枚)로 호생(互生)하며, 단엽(單葉)의 형태(形態)로 되어 있고, 엽맥(葉脈)은 기저망(基底網) 상맥(狀脈)과 우상맥(羽狀脈)을 가지며, 탁엽형(托葉形)은 장(長) 광수원형(廣隋圓形), 도피침형(倒披針形), 능형(菱形)으로서 둔두(鈍頭), 예두(銳頭)이고, 유저(流底)로서 전연(全緣)이었으며, 털은 견모(絹毛), 밀면모(密綿毛)와 장연모(長軟毛) 등(等)이었다. 이상(以上)의 제(諸) 특징(特徵)으로 각(各) 수종(樹種)을 식별(識別)할 수 있었다. 2) 탁엽맥(托葉脈)의 형태적(形態的)인 변화형(變化型)은 A, B, C 형(型)의 세가지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즉, A형(型)-주맥(主脈)이 뚜렷한 우상맥(羽狀脈)인 것(육박나무), B형(型)-삼출맥(三出脈)이 발달(發達)한 기서망상맥(基序網狀脈)인 것(참식나무, 생달나무, 녹나무)과 C형(型)-평행맥(平行脈)으로 발달(發達)한 기저망상맥(基底網狀脈)인 것(후박나무)이었다. 3) 탁엽폭(托葉幅)의 변화형(變化型)은 세가지 형태(形態)이었는데, (1) a>d>g>j 형(型)은 생달나무, 녹나무와 육박나무이었고, (2) a>cj, (aj, (a>j) 형(型)은 후박나무이었다.

  • PDF

정공청 장군 유품(중요민속자료 38호)의 분석과 보존처리 (Identification and conservation of Kongchong Jung's relics)

  • 정영동;강애경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5-53
    • /
    • 1998
  • 조선시대의 정공청 장군의 유품 중 무기류의 주요한 재료인 목재의 보존을 위한 사전조사로써 재질조사와 수종식별 및 보존처리를 하였다. 재질의 구조적인 조사는 육안 및 X-ray로 실시하였으며 유물의 상태는 일부 미세한 할렬이 나타났지만 대체로 양호하였다. 광학현미경을 통한 수종조사 결과, 각 유품의 해당수종은 화살대가 대나무류, 깃봉이 육박나무, 깃대가 물푸레나무류, 족자대가 소나무이었다. 보존처리를 위한 치수 안정화 약재로써 세틸 알코올로 처리하였으며, 처리 후 접합고정에는 초산 비닐계와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 PDF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cdot$미조리 방풍림의 식물상연구 (Studies on the Flora of Mulgun-ni and Mijo-ri Windbreak Forests in Namhaegun, Kyungsangnamdo)

  • 오현경;김용식;고명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6-257
    • /
    • 2005
  • 본 조사 지 역의 식물상은물건리 방풍림에서 66과 135속 147종 25변종4품종총 176분류군이, 미조리 방풍림에서는63과 123속 138종 13변종2품종 총 1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살펴보면, 물건리 방풍림에서 I 등급은 말오줌때,푸조나무, 천선과나무 등24분류군, n등급은 갯걱이삭, 검양옻나무, 모감 주나무 3분류군 등 총 27분류군으로 분석되었으며, 미조리 방풍림에서는 I 등급이 구실잣밤나무,장딸기,보리밥나무등28분류군,르등급에는 생달나무,감탕나무,육박나무 등7분류군등총3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에는 물건리 방풍림에서 17분류군, 미조리 방풍림에서 9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각각$9.7\%,5.9\%$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