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육계 사료

검색결과 621건 처리시간 0.028초

조기제한 사양의 강도와 시기 및 기간이 육계의 보상성장과 사료효율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ly-life Feed Restriction Severities, Ages and Duration on Compensatory Growth, Feed Efficiency, and Abdominal Fat, Pad Deposition in Broilers)

  • 이규호;오용석;함영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5
    • /
    • 2002
  • 조기제한사양의 강도(정도)와 시기 및 기간이 육계의 보상성장과 사료효율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실험 1에서는 7일령된 무감별 육계 240수를 4처리 3반복에 반복당 20수씩 공시하여 7일령에서부터 49일령까지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7일령부터 49일령까지 전기간 육계 전기사료와 후기사료를 자유채식을 시켰으며, 시험구(T1,T2 및 T3)들은 각각 1일 0.75 kcal ME/9B $W^{0.67}$로 7일령부터 9일령까지 3일간, 1.50 kcal ME/gB $W^{0.67}$로 7일령부터 11일령까지 5일간 및 2.25 kcal ME/gB\$^{0.67}$로 7일령부터 13일령까지 7일간 육계전기사료를 제한급여하였다. 실험 2는 4일령된 무감별 육계 420수를 7처리 3반복, 반복당 20수씩 공시하여 4일령에서부터 49일령까지 실시하였는데 대조구(C)는 4일령부터 49일령까지 전기간 육계 전기사료와 후기사료를 자유채식을 시켰으며, 시험구(T1~T6)들은 모두 1일 0.75kcal ME/gB $W^{0.67}$로 4,7일 및 10일령에 3일간 또는 5일간육계전기사료를 제한급여하였으며, 제한사양이 끝난 시험구들은 전기사료 및 후기사료를 자유채식시켰다. 실험 1에서 제한사양기간을 포함한 21일령가지의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적었으나(P<0.05), 22일령부터 49일령까지의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전기간인 7일령부터 49일령까지의 증체량과 49일령 체중은 처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제한사양후부터 21일령까지의 사료섭취량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시험구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2~47일령의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전기간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다 (P<0.05). 제한사양기간을 포함한 7일령부터 21일령까지의 사료요구율은 T1구만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22일령부터 49일령가지의 사료요구율과 전기간동안의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서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 복강내지방함량 및 전기간 폐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육계사료내 마늘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HMG-CoA Reductas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arlic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HMG-CoA Reductase in Broiler Chicks)

  • 윤병선;남기택;김창원;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9-134
    • /
    • 1996
  • 본 연구는 사료내 마늘의 첨가가 육용계의 생산성 및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HMG-CoA) 환원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3주령의 육용계(Abor Acres) 50수를 처리구당 10수씩 마늘 0%, 0.3%, 0.6%, 1.0%를 첨가한 5개의 처리구에 배치하여 사료와 물은 자유채식시켰다. 사료섭취량, 중체량, 사료효율에 있어서 마늘 첨가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 및 간장과 혈청내 지질함량은 마늘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마늘이 첨가된 사료를 급여한 육계의 혈액내 콜레스테롤의 감소는 HMG-CoA 환원효소 활성의 저하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팽이버섯 균사체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맹장 내 병원성 미생물 및 배설물 중의 NH3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lammulina velutipes Mycelium on Broiler Chick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Counts in Caecal Contents and Amount of NH3 in Excreta)

  • 이상범;최영하;조성근;신택순;조병욱;강한석;김근기;김선구;이홍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5호
    • /
    • pp.341-347
    • /
    • 2012
  • 팽이버섯 균사체 (FVM)의 급여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육계 병아리 96수를 4개 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구는 기초사료(C)만 급여하였고, 시험구는 기초사료에 FVM 1% (T1), 3% (T2) 및 5% (T3)로 하여 7주 동안 급여하였다. FVM을 기초사료에 5%까지 첨가하여 급여하여도 증체,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생체중과 도체중은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나 (p<0.05), 도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가식내장의 근위와 간은 유의 있게 증가하였다 (p<0.05). FVM의 급여 수준이 높을수록 맹장 내 Salmonella 균수와 계분 내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05). 따라서 FVM의 육계 사료 내 첨가 실험을 통하여 5% 첨가수준까지 육계용 사료를 대체 첨가하여도 무방함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FVM의 첨가수준 증가와 함께 장내 병원성 미생물인 Salmonella와 계분 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육계 사료 내 첨가 이용성이 인정될 것으로 본다.

사료의 희석 및 무급여일 설정방법에 의한 조기제한사양이 육계의 보상성장과 사료효율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ly-life Feed Restriction with Diet, Dilution or Skip-feeding Programs on Compensatory Growth, Feed Efficiency, and Abdominal Pat, Pad Deposition in Broilers)

  • 이규호;오용석;함영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3
    • /
    • 2002
  • 본 시험은 왕겨에 의한 사료의 희석과 무급여일 설정방법에 의한 조기제한사양이 육계의 보상성장과 사료효율 및 체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7일령된 무감별 육계 300수를 5처리 3반복, 반복당 20수씩 공시하여 7일령에서부터 49일령까지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7일령부터 49일령까지 전기간 육계 전기사료와 후기사료를 자유채식을 시켰으며, 시험구(71-74)들은 모두 7일령부터 14일령까지 육계전기사료와 왕겨를 50:50(wt/wt)으로 혼합한 희석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제한사양기간동안 T1은 희석사료를 자유채식시켰으며, T2는 1일절식-3일급여, T3는 1일절식∼2일급여 및 T4는 1일절식∼1일급여하였고, 제한 사양이 끝난 시험구들은 전기사료 및 후기사료를 자유채식시켰다. 제한사양기간을 포함한 21일령까지의 증체량과 21일령 체중 모두 T1은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시험구들은 대조구보다 적었다(P<0.05). 22일령부터 49일령가지의 증체량은 T1구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다. 전기간인 7일령부터 49일령 까지의 증체량과 49일령 체중도 T1구만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다른 시험구들은 대조구보다 적었다(P<0.05) .제한사양후부터 21일령까지의 사료섭취량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시험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P<0.05) , 전기간 셥취량도 T1구만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희석사료섭취기간의 왕겨섭취량을 제외한 육계사료 섭취량에서는 모든 시험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다(P<0.05) 제한사양기간을 포함한 7일령부터 21일령까지의 사료요구율은 T1구와 T2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22일령부터 49일령가지의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전기간동안의 사료요구율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시험구들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 희석사료섭취기간의 왕겨섭취 량을 제외 한 육계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서 모든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낮거나(P<0. 05)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복강내 지방함량 및 전기간 폐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고 섬유질 곡류의 섭취가 육계의 성장능력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Fiber Grains on the Growth Rate and Fat Accumulation in Broiler Chickens)

  • 정하연;이봉덕;임재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1987
  • 고-섬유질 곡류의 육계의 성장률, 도체조성 및 복강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갓 부화한 암평아리 24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저-섬유질 곡류로서 옥수수와 수수를, 고-섬유질 곡류로서 호밀과 겉보리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을 같게 하였다. 시험 설계는 4처리 5반복의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12수를 철제 battery cage에 수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5% 수준에서 실시하였고, 평균간의 비교는 신다준 검정법(Duncan, 1955)을 사용하였다. 육계의 성장률은 2주령 시에는 호밀 사료구가 6주령 시에는 수수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불량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3주령 시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6주령 시에는 보리와 옥수수 사료구가 수수와 호밀 사료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좋았다. 3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의 지방 함량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보리 사료구도 수수 사료구 보다는 낮았으나 옥수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와 방혈ㆍ탈모만을 한 도체의 조성은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복강지방 함량에 있어서도 곡류의 섬유질 함량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육계 사료 내 삼채(Allium hookeri) 첨가에 따른 사양성적 및 장 건강 지표 변화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Allium hookeri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Health for Broiler Chickens)

  • 이채원;윤준혁;안수현;조인호;공창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1-169
    • /
    • 2023
  • 본 연구는 28일령 육계 사료 내 삼채(Allium hookeri) 뿌리를 첨가했을 시 사양성적, 혈청 항산화 효소 활성, 맹장 내 지방산 조성 및 밀착연접(tight junction) 단백질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부화 직후 동일한 사양조건과 사료 급여 조건에서 사육한 10일령 수평아리 96수를 공시하여 2처리, 6반복, 반복당 8수로 실험구를 배치하였다. 옥수수-대두박을 기초로 하는 사료를 급이한 대조구와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에 삼채를 0.3% 첨가한 실험사료를 급이한 처리구로 구성되었다. 28일령에 각 케이지의 중앙값에 해당하는 체중을 지닌 개체를 선별하여 혈액, 맹장 소화물, 공장 조직을 채취하였다.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삼채 뿌리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한 처리구에서 21일령까지 그리고 전체 실험기간 중의 사료효율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관찰하였다(P<0.05). 삼채 뿌리가 혈청 항산화 효소 활성, 맹장 내 지방산 조성, 밀착연접 단백질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 내 삼채 뿌리의 첨가는 28일령 육계의 사료효율을 제외한 사양 성적 및 생리적 지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활성효모 및 효모배양물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육계에 있어서 효모제품의 첨가효과- (The Effects of Live Yeast and Yeast Cultur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Effects of Yeast Products on the Broiler Chickens-)

  • 유종석;남궁환;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7-181
    • /
    • 1991
  •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제품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rbor Acres종으로 2차에 걸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육계 숫 병아리 200수를 무첨가 대조구, yeast culture 0.25%구(YC-0.25%) 및 2.5%구(YC-2.5%), 활성효모 0.05%구(LY-0.05%) 및 0.1%구(LY-0.1%)의 5처리에 4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battery에 완전임의배치하여 6주간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2는 육계 감별추 암, 수 각 120수씩을 성별로 무첨가대조구, 후기(4~6주)에만 0.1% 활성효모첨가구 그리고 전기간 0.1% 활성효모첨가구를 2$\times$3 요인 배치하고 각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공시하여 7주간 사양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증체율과 사료섭취량 및 폐사율에 있어서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YC-0.25%와 LY-0.1%가 대조구나 타처리구에 비해 3주 이후부터 증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사료효율은 LY-0.05%가 대조구, YC-0.25% 및 LY-0 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영양소 이용율은 처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a 및 P의 이용율은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소장내의 미생물총균은 Lactobacilli spp., Streptococcus spp. 그리고 yeast 수는 첨가구들에서 높고 Coliforms세균수는 대조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사료, 성별, 사료$\times$성별 상호작용이 증체량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숫 육계에서는 활성효모를 전기간 첨가한 구가 증체량이 가장 높은 반면 암 육계에서는 후기만 첨가한 구가 가장 높았다 사료섭취량과 폐사율은 숫 육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료효율은 사료$\times$성별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숫 육계에서는 활성효모 전기간 첨가구가 그리고 암 육계에서는 후기만 첨가한 구가 가장 높았다. 영양소 이용율에 있어서 숫 육계는 암 육계보다 건물, Ca및 P의 이용율이 유의하게 높았고 활성효모 첨가구들은 Ca및 P의 이용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근위, 소장 상, 하부 및 맹장의 세균수를 조사한 결과 Lactobacillus spp.와 yeast는 소장 상, 하부 그리고 Streptococcus spp는 소장과 맹장에서 활성효모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Coliforms 세균수는 소장 상, 하부에서 대조구가 첨가구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소장의 pH는 활성효모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있었다.

  • PDF

육계의 사료원으로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valuation of Spent Bleaching Clay as a Feed Ingredient in Broiler Chicks)

  • 전해열;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9-104
    • /
    • 2007
  • 본 연구는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를 육계 사료 원료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는 대두유의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어지며, 생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속에는 조지방(26.0%)과 조회분(68.3%)은 풍부하나, 수분(5.2%)과 조단백질(0.5%)의 함량은 낮게 평가되었다.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와 대두유의 산가는 각각 9.72 및 0.001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뿐만아니라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과산화물가는 대두유보다 유의하게 높아서(P<0.05)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빠른 산패 가능성을 시사한 결과이다. 그러나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산패는 인공적인 방법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육계 사육에서의 $2.0{\sim}4.0%$의 첨가는 사료 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 효율을 개선시켰다.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에 $2.0{\sim}4.0%$의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내 Phytase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Excreta Excretion of Broilers)

  • 황보종;홍의철;강보석;김학규;허강녕;추효준;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5-263
    • /
    • 2011
  • 본 시험은 사료 내 phytase 첨가가 육계 암수의 생산성과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Ross종 육계(평균체중 $44.7{\pm}1.5$ g) 192수를 선별하였으며, 육계의 성별(male, female)과 phytase 첨가 유무(0, 300 FTU/kg)에 따라 $2{\times}2$의 총 4처리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2수씩 체중별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계 초기(0~2주), 전기(2~4주)와 후기(4~7주)의 기초 사료에 phytase를 첨가하였다. 증체량은 수컷이 암컷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hytase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섭취량은 수컷이 암컷에 비해 높았으며,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사료 효율은 phytase 첨가구의 수컷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분뇨 배설량은 수컷이 높게 나타났으며, phytase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질소와 인의 배설량은 수컷이 높았으며, phytase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해 높았다(P<0.05). 따라서, 사료 내 파이타제 첨가 시 육계의 생산성이 개선되고, 분뇨, 질소 및 인의 배설량이 감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