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무형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9초

다중 센서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무형유산 콘텐츠: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Interactive Intangible Heritage Contents using Multiple Sensors: Focused on Bongsan Mask)

  • 원해연;유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373-374
    • /
    • 2019
  • 2004년 이후로 무형유산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박물관의 설립 및 전시 콘텐츠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그 콘텐츠를 활용한 ICT응용기술 발전이 미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무형유산중 하나인 봉산 탈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육형 인터랙션 콘텐츠 응용을 제안한다. 키넥트와 팔에 장착된 자이로 센서들을 활용한 향상된 동작 추적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봉산탈춤의 기본 동작 및 과정을 따라함으로써 봉산탈춤을 학습 할 수 있다.

  • PDF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종묘의 유·무형 콘텐츠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Tangibility and Intangibility Value Contents Influence Factor of Jongmyo Shrine Using Text Mining Analysis)

  • 박은수;김지은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2권
    • /
    • pp.169-183
    • /
    • 2015
  • 시대가 급변함에 따라 한 시대를 대변하는 문화는 보다 세분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다.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해 과거 공간 중심의 개별적인 분야에서 이해할 수 있었던 영향, 요인, 특성들이 단일 분야만의 관점으로는 이해할 수 없게 되었으며,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렇게 정보와 지식 전달체계의 발전으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문화 콘텐츠가 다양하게 생성되고 소멸되고 있으나, 한 가지 관점만으로 설명 또는 이해가 될 수 없는 부분들이 많다. 이러한 현상들을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종묘의 유·무형적 콘텐츠를 도출하여 공간의 형성에 주요한 요인이 된, 핵심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고 그 관련요소들의 중요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 방법론으로 적용되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 기법은 공간을 해석함에 있어 새로운 가치 판단과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공간의 다양한 유·무형 콘텐츠 영향 요인을 통해 공간을 다각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고자 새롭게 시도되는 연구이다.

자가용 수, 변전설비 원격감지시스템

  • 길경석
    • 전기기술인
    • /
    • 제205권9호
    • /
    • pp.47-52
    • /
    • 1999
  • 건축물의 대형화, 정보화, 자동화 등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력설비가 대용량화되고 복잡해져서 한 순간이라도 정전이 발생하면 유, 무형의 경제적 손실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과거보다도 전력설비의 고안정도, 고신뢰성이 한층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수, 변전설비에 대한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 PDF

민속의약 전통과 대구약령시 전승문화 (Inheritances of Folk Medicine and Hanbang Culture of Daegu Yangnyongshi(藥令市, Medicinal Herb Markets))

  • 박경용
    • 고문화
    • /
    • 64호
    • /
    • pp.47-74
    • /
    • 2004
  • 필자는 민속의약에 대한 연구가 일천한 현실에서 이에 대한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350년의 역사와 전통을 갖는 대구약령시(大邱藥令市)를 중심으로 전통의약과 관련한 유$\cdot$무형 전승문화의 존재양상을 유물과 자료, 지식과 기능, 행위전승 등의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대구약령시의 유$\cdot$무형 전승문화는 약령시의 고유기능 수행과 관련하여 오래 전부터 전해져 내려온 유형적 문화요소와 기능$\cdot$지식$\cdot$행위양식$\cdot$규범 등의 무형적 은화요소를 총칭한다. 약령시 전승문화는 약령시 사람들의 생업활동과 관련된 물질전승과 기능 지식전승, 행위전승 등으로 대별된다. 물질전승은 한약재의 관리와 유통, 질병 치료를 포함하여 약령시 유지에 필요했던 각종의 물질적 증거들(material evidences)로서 약령시전시관과 한방 관련업소 등에 전시 및 소장되어 있다. 지식$\cdot$기능전승은 한약재를 정선(세척$\cdot$절단$\cdot$건조$\cdot$선별$\cdot$작근) 하여 저장$\cdot$유통시킴은 물론 약으로 제조하거나 치료하는 등의 관련 지식과 기능을 의미한다. 이는 대부분 업소에 오래 동안 종업원으로 근무하면서 형성되는 전인적 인간관계에 기초한 도제시스템에 의해 전승되어 榮다. 대구약령시에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 및 전문 인력의 밀집과 수세대에 걸친 비전(秘傳) 등으로 많은 비방과 탁월한 약재 감별지식이 전승되고 있다. 약령시 행위전승은 약령시의 생활경험 및 문화사적 의의와 가치를 발양하고 계승하기 위해 반복되는 행위의 여러 표상들을 제의적$\cdot$기예적$\cdot$오락적 차원으로 정형화한 것으로서 약령시축제와 약령제가 대표적이다. 이상의 사실처럼, 대구약령시는 민속의약 전통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삶의 공간이자 민속의약의 저수지이기도 하다. 따라서 약령시 사람들의 생활경험과 기억을 포함하여 관련 물증들을 시$\cdot$공간적 차원에서 수집$\cdot$분류$\cdot$해석하고 효율적으로 보존$\cdot$계승$\cdot$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PDF

농촌지역 유.무형 자산을 활용한 마을 가꾸기 사업의 추진현황 분석 - 신문화공간조성사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oject of Creating a Village by Utilizing Assets in a Rural Area - Focused on the Project for a New Cultural Space Creation-)

  • 전영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7-2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physical and intangible assets, and to analyze the use of planning in a new cultural space creation project areas. For this study, literature survey, filed survey and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ject's characteristics had a variety of space utilization's scope. It was to emphasize the organizations and participants in the human side. 2) There are the pumping stations, mokgammak, mills, barbershops, marketplaces etc in physical assets, and it was worth the historic or agricultural facility. 3) The using plans of three kinds in hardware facilities, software programs, human ware(human abilities)are linked to each other organically. 4) The problems in the project's process include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factors rather than planning matters.

  • PDF

국내.외 정보보호 수준 팽가 체계 및 지표 동향

  • 이동희;여돈구;염흥열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4-85
    • /
    • 2010
  • 인터넷의 발달로 해킹과 같은 각종 보안위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기업 그리고 개인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해킹으로 인해 유/무형적인 손실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위협에 대한 적절한 보안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며, 또한 수립된 보안 대책 및 대상의 보안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보호 체계 및 평가 지표들이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개발된 정보보호 평가 체계와 지표, 그리고 국제 표준과 진행 동향을 살펴보고, 각 체계간의 차이점을 도출한다.

근대유산, 공간스토리 연구 -김유정을 중심으로- (Modern Heritage, Space Story Study with Kim YouJeong)

  • 김금미;이영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0
    • /
    • 2013
  • K-POP으로 인해 전 세계에서 한국이 주목 받고 있다. 그로 인해 국내유입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 또한 늘고 있다. 한국 문학에 대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번역과 한국어교육프로그램 같이 병행하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작가의 작품에 드러나는 심상공간은 작품뿐 만 아니라 문화를 이해하고 중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역 유 무형자원의 담보로 공간스토리델링으로 새롭게 창조될 수 있는 가치가 무한하다. 이는 지역을 브랜드화하여 홍보 할 수 있는 특징들을 가지게 된다.

  • PDF

조선시대의 상징적 재난예방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c disaster prevention awareness of the Choseon dynasty)

  • 조선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7-118
    • /
    • 2013
  • 우리나라는 재난예방에 고나한 의식 분야에서 세계 어디에 내놓더라도 자랑할 만한 유 무형의 상징적 문화유산과 스토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그 발굴과 계승 측면에서 책무를 지고 있는 소방의 관심 소홀로 인해서 대중적인 것을 물론이고 소방 내부적으로도 생소하기까지 하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하였으며, 조상들이 남겨 놓은 재난예방에 관한 상징적 유산들을 고찰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 PDF

경상북도 중소기업공동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oint Brand for Small & Medium Manufactures in Kyungbuk)

  • 유왕윤;강대인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0-71
    • /
    • 1999
  •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최근,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나름대로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분야에 대한 시대요구적 인식을 바탕으로 지역이미지통합계획(Regional Identification Program) 에서부터 캐릭터 개발에 이르기까지 지역이 가진 유,무형의 이미지자원을 이용한 디자인개발은 가히 $\ulcorner$$\lrcorner$이라고 부를만 하다.(중략)

  • PDF

TV홈쇼핑 쇼호스트의 구매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 (Persuasive Communication Strategy of Showhost in TV Homeshopping)

  • 이정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11-320
    • /
    • 2011
  • 본 연구는 TV홈쇼핑의 상품판매를 위해 쇼호스트가 전달하는 다양한 메시지 분석을 통해 쇼호스트의 구매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홈쇼핑 판매의 양대산맥인 유형상품과 무형상 품에서의 그것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해 향후 보다 세련된 연구와 전략 수립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두편의 해외여행상품, 등산복, 호두 판매방송 각1편씩을 선정해, 언어수사적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 유, 무형재 상품에서 공히 <상품매력성강조전략>, <가격매력성강조전략>, <희소성소구전략>이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반면 <사회적증거제시전략>, <긍정적소비가치소구전략>, <구매안전성소구전략>은 무형재 상품의 판매만에서 크게 중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상품군을 포괄하지 못하고 네편의 방송만을 분석대상으로 한 한계점을 안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각 전략들이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경험적 연구 및 실험적 연구가 나오는데, 본 연구가 이론적 초석으로 작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