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angibility and Intangibility Value Contents Influence Factor of Jongmyo Shrine Using Text Mining Analysis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종묘의 유·무형 콘텐츠 영향요인 연구

  • Park, Eun Soo (Institute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Hanyang University) ;
  • Kim, Ji Eu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ookmin University)
  • 박은수 (한양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
  • 김지은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Received : 2015.10.12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As time is rapidly changing, the culture to represent an era is getting more subdivided and complex. Due to cultural diversity, the influence, cause, characteristics which could be understood in individual field centered by space in the past cannot be understood now only by the viewpoint of one field, and it has become difficult to predict and correspond to the change of the futur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delivery system, various cultural contents to form a space are being created and lapsed, but there are a lot of parts which cannot be explained or understood by only one point of view. To inspect these situation, this study is aimed to draw the Tangibility and Intangibility Value causes that became the influence with Jongmyo Shrine, designated from UNESCO at February 1995, a traditional space with historical superiority, analyze the key factors that became the main factor to form the space, and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related factors. The unconstructured data technique which is applied as the method of analysis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a new value judgement and viewpoint in interpreting the space. Therefore, this study is a new trial to provide a frame for multilaterally interpreting the various traditional space and culture of Kore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시대가 급변함에 따라 한 시대를 대변하는 문화는 보다 세분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다.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해 과거 공간 중심의 개별적인 분야에서 이해할 수 있었던 영향, 요인, 특성들이 단일 분야만의 관점으로는 이해할 수 없게 되었으며,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렇게 정보와 지식 전달체계의 발전으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문화 콘텐츠가 다양하게 생성되고 소멸되고 있으나, 한 가지 관점만으로 설명 또는 이해가 될 수 없는 부분들이 많다. 이러한 현상들을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종묘의 유·무형적 콘텐츠를 도출하여 공간의 형성에 주요한 요인이 된, 핵심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고 그 관련요소들의 중요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 방법론으로 적용되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 기법은 공간을 해석함에 있어 새로운 가치 판단과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공간의 다양한 유·무형 콘텐츠 영향 요인을 통해 공간을 다각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고자 새롭게 시도되는 연구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