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효 질량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불평형 회전체의 동적평형 방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Seven Run Method를 이용하여-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Balancing Method of an Unbalanced Rigid Rotor -Using Seven Run Method-)

  • 장호경;최현태;김예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5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동적평형 방법을 이용하여 두 지지축대에 설치된 불평형 회전체의 평형을 바로 잡았으며, seven run method를 이용하여 보정질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평형잡이 전후 진동의 감쇠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두 지지축대에서 측정된 진동의 진폭은 불평형 질량에 비례함을 확인하였으며, 위상각 측정없이 진동의 진폭 측정만을 필요로 하는 seven run method가 동적평형 방법으로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 PDF

가변 동 특성을 갖는 선박 거주구의 진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bration Control System of Ship Superstructure wit Dynamic Characteristics)

  • 엄재광;조대승;한성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63-972
    • /
    • 2002
  • 선박 거주구는 승무원 및 여객들이 상주하는 곳으로서 대형 상선의 경우 주선체 상부에 건물형태의 높은 구조이므로, 선박의 불균형력과 프로펠러 기진력으로 인해 주 선체와 연성되어 진동이 발생한다. 대형상선의 거주구는 육상구조물과는 달리 주선체와 마찬가지로 강성은 일정하나 화물적재량의 변화에 따라 선박 거주구의 유효질량이 변화함으로 가변적인 진동특성을 갖는 구조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변 동특성을 갖는 대형상선의 거주구 진동을 수동형 및 능동형 흡진장치를 통하여 제어할 경우 거주구의 고유진동수 변화에 따른 제어성능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으면서도 제어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난 강건제어 시스템의 설계 가능성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적용대상은 진동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컨테이너 운반선과 초대형 원유운반선의 거주구 진동특성을 3차원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검토하고,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거주구 형태의 구조물의 질량변화에 대한 동조형 흡진기의 제어성능을 시험과 선형이차 진동제어 장치의 진동제어성능 실험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트윈스크롤 터보과급기에서 맥동유동의 질량유량 측정 (Mass Flow Rate Measurement of Pulsating Flow in a Twin-Scroll Turbocharger)

  • 정진은;전세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23-729
    • /
    • 2019
  • 터보과급기는 엔진에 장착하여 연비를 개선하는 효과적인 장치로 디젤엔진과 가솔린엔진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용 가솔린엔진에 사용되는 트윈스크롤 터보과급기에서 발생하는 맥동유동의 질량유량을 측정하였다. 자체 설계 제작한 맥동유동장치를 사용하여 맥동이 있는 비정상상태에서 유동의 질량유량을 측정하였고, 맥동이 없는 정상상태의 질량유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맥동유동장치는 회전하는 상판과 고정된 하판을 사용하여 변하는 엔진의 배기밸브 유효면적을 반영하였다. 맥동이 있는 비정상상태 질량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압식 압력계를이용한 오리피스 유량계를 사용하였다. 이때 기체의 온도와 절대압력을 측정하여 기체 밀도 변화를 고려하였다. 터보과급기의 저속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터보과급기 회전속도 60,000rpm에서 100,000rpm의 범위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비정상상태의 질량유량은 정상상태와 비교하여 크게 다른 결과를 보였다. 정상상태 질량유량 계수는 터빈 팽창비가 증가함에서 따라 증가하지만, 비정상상태 질량유량 계수는 정상상태 값 주변의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형성하며 변화량은 정상유동 기준 최대 5.0배이다. 이것은 맥동유동에 의하여 터빈 볼류트 공간에서 충진과 방출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진동대 반력기초의 진동사용성 평가 (The Vibration Comfort Evaluation of the Shaking Table Mass Foundation)

  • 최형석;정다정;김성도;정진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3-60
    • /
    • 2011
  • 최근 구조물의 사용성이 설계시 중요한 항목으로 대두되면서 구조물의 안전성 뿐만 아니라, 구조물 내 거주자 및 고가의 장비에도 영향을 주는 기계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계진동은 기초의 질량과 가진 질량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질량비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질량비는 사용성 기준에서 제시한 구조물의 가속도 허용치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동 사용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치적인 접근과 실제 구조물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대형 진동대 장비가 설치된 시설에 적용하여 실험한 해석적 연구를 바탕으로 인체진동특성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최적의 질량비를 확인하였다. 단자유도로 수치해석한 결과값은 실제 구조물을 유한요소 해석한 결과와 잘 부합하여 Spring-Damper Model로 이상화하는 것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ISO 2631 기준에서 제시한 사용성 한계인 0.8 $m/sec^2$과 비교한 결과, 실제 구조물의 자중을 고려한 진동대와 콘크리트 기초의 최적 질량비는 0.013이하여야 함을 확인하였고, 예제 실험 시설은 진동실험에 대해 적정질량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개성단 NGC 1245와 NGC 2506의 역학적 진화와 헤일로 구조

  • 이상현;강용우;안홍배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56.1-56.1
    • /
    • 2012
  • 구경 3.6m CFHT 관측으로 얻은 산개성단 NGC 1245와 NGC 2506의 측광결과를 이용하여 두 성단의 역학적 진화와 헤일로 구조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별들의 색-등급 도상의 위치와 천구 상에서의 위치를 동시에 고려하여, 각 별들에 대한 측광학적 구성원 확률을 정의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구성원 확률을 이용하여 성단의 반경에 따른 구성원 별들의 광도함수와 반경에 따른 별들의 유효개수밀도 분포를 구하였다. 이들로부터 우리는 두 성단에서 질량분리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성단에서 증발한 별들에 의해 형성된 헤일로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성단들의 공간상에 투영된 유효개수밀도 분포를 분석하여, 두 성단 모두 형태가 찌그러져 있으며 그 방향은 은하면과 관련이 적음을 보였다. 본 발표에서는 새로 개발한 구성원 확률을 정의하는 방법 및 두 성단의 역학적 진화와 헤일로 구조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Ultrathin-body MOSFET의 leakage current와 관련한 SiGe alloy substrate의 특성 평가

  • 이동헌;강영호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3회(2014년)
    • /
    • pp.415-419
    • /
    • 2014
  • 나노스케일 MOSFET에서 leakage current는 중요한 이슈로서 $Si_{1-x}Ge_x$ alloy를 substrate로 사용할 경우 leakage current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Si_{1-x}Ge_x$ alloy에서 G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효질량이 작아졌으나 conduction band minimum의 위치는 Si에 비해 상승하였다. 이로 인해 tunneling 확률이 증가하여 $Si_{1-x}Ge_x$ alloy를 substrate로 사용할 경우 leakage current를 더욱 증가시키게 되었다.

  • PDF

스핀트로닉스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HgCdTe의 물리적 성질 : Rashbar effect 와 Zeeman spin splitting

  • 홍진기;이진서;이긍원;안세영;이제형;김진상;이병찬
    • 한국자기학회:학술대회 개요집
    • /
    • 한국자기학회 2002년도 동계연구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32-33
    • /
    • 2002
  • 최근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spin FET[1] 소자의 구현은 강자성 물질에 의하여 반도체에 주입된 spin 편향된 전자가 반도체 계면에 유도된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spin-orbit interaction을 하는 mechanism(Rashbar effect)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작은 band gap을 가지는 반도체(narrow gap 반도체)는 작은 유효질량의 전자에 의해서 이러한 Rashbar effect[2]를 크게 할 수 있는 물질로서, spin FET 구현을 위한 강력한 후보이며, 요즘 한창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다[3]. (중략)

  • PDF

비평형 그린함수 방법을 이용한 저유전-고유전-게이트-스택 구조에서의 터널링 장벽 제어

  • 최호원;정주영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2회(2013년)
    • /
    • pp.217-220
    • /
    • 2013
  •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저전압, 저전력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얻기 위해서는 터널링 장벽 제어가 필수적이며, 저유전체와 고유전체를 적층한 VARIOT 구조는 터널링 장벽 제어에 매우 효과적이다. 우리는 비평형 그린함수 방법을 이용하여 전자 수송을 계산함으로써, VARIOT 구조가 기존의 단일 유전층 구조에 비해 비휘발성 메모리 관점에서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터널링 장벽 제어에 있어 고유전체가 가져야 할 가장 유리한 조건을 찾아내었다. 또한 유효질량이 에너지 장벽(유전층)의 전계 민감도와 거의 무관함을 보임으로서 시뮬레이션 결과가 합리적임을 증명하였다.

  • PDF

선형모델을 이용한 수동변속기의 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Manual Transmission Using Linear Models)

  • 윤종윤;이일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40-248
    • /
    • 2013
  • 자동차 수동변속기 내 래틀과 같은 회전체 진동은 엔진 연소폭발 주기와 연동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충격형 진동 특성은 선형 시간 불변 분석법을 적용하여 살펴볼 수 있다. 기어의 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특정 형태의 앞 바퀴 굴림 방식 수동 변속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동특성 고유값과 주파수 응답함수를 기반으로 자유도를 줄이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행렬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단일 질량 플라이휠과 이중 질량 플라이휠의 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모빌리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이중 질량 플라이휠의 효과를 검토하였는데, 이로부터 진동에 의해 가진되는 충격을 회피하기 위한 기본 개념을 이해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두 단계 클러치 댐퍼로부터 유효 강성 값을 도출하여 선형 불변형 시스템 모델을 연구하였다. 두 단계의 서로 다른 클러치 강성조합을 이용하여 클러치 댐퍼의 동적특성에 대한 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차분 진동형 가속도계 전기적 모델링 및 실험적 검증 (Electromechanical Modeling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Differential Vibrating Accelerometer)

  • 이정신;임재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17-525
    • /
    • 2011
  • 차분 진동형 가속도계는 입력 가속도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는 공진형 센서이다. 이 때 가속도계 전기적 동역학의 수학적 모델링 및 구조 특성의 실험적 검증이 정밀한 제어기 및 높은 양질계수를 가지는 구조 설계에 앞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분 진동형 가속도계의 공진자, 전극 모듈 및 전치증폭기 등의 전기적 모델링을 제시한다. 이러한 모델링 기법은 공진 주파수, 유효 질량, 유효 강성, 양질 계수 등을 측정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검증된다. 또한 모델링을 통해 예측된 진폭과 측정된 전치증폭기 출력의 직접적인 비교는 본 연구의 유효성을 보여준다.